솔제니친(솔제니찐)의 <수용수군도>(전6권)가 리커버판으로 재출간되었다. 오래 고대한던 일이라 반갑기 짝이 없다. 추천사 요청에 망설임 없이 응한 이유다. 알라딘의 이벤트 페이지에 실은 추천사를 여기에도 옮겨놓는다...

러시아혁명 100주년을 기념하는 책들이 올해 다수 출간되었고. 나대로는 <로쟈의 러시아문학 강의 20세기>를 통해서 내 몫의 입막음은 했다고 자부한다. 20세기 러시아문학 소개서를 쓰면서 내가 그린 그림은 ‘고리키에서 솔제니찐까지’라는 것이었다. 고리키의 <밑바닥에서>(1902)부터 솔제니찐의 <수용소군도>(1973)까지. 그러면서 유감스러워 한 것은 한때 완역되었던 전6권 가운데 1권만이 겨우 출간돼 있는 사실이었다.

언젠가 대학에서 이 작품을 강의하면서도 1권만을 읽힐 수밖에 없었는데, 딴은 학생들에게 다행스러운 일이었는지 모르겠지만 나로선 뭔가 부족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그러나 갈망하면 이루어진다던가. 무려 22년만에 전6권이 새로운 장정으로 다시 출간된다. ‘서프라이즈’한 일이자 러시아혁명 100주년을 마무리하는 멋진 피날레라고 생각한다. 더불어 내년에 탄생 100주년이 되는 작가 솔제니찐의 위업을 미리 기념하는 의미도 갖겠다. 

솔제니찐은 다른 어떤 작품보다도 중편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1962)로 기억된다. 주인공 이반 데니소비치 수호프가 수용소에서 보낸 하루, 심지어 아주 행복하기까지 한 하루를 정밀하게 묘사하고 있는 이 데뷔작으로 솔제니찐은 당시 소련사회에 큰 충격을 던졌다. 겉으로는 사회주의 유토피아를 표방했지만 실제는 거대한 수용소 국가라고 폭로한 이 단 한 작품만으로 솔제니찐은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작가 중 한 명으로 부상한다.

그렇지만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는 일종의 맛보기였다. 솔제니찐은 이 문제작을 발표하기 전부터 ‘수용소의 하루’가 아니라 ‘수용소의 모든 것’을 집약하는 대작을 준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1973년 프랑스의 파리에서 처음 출간되지만 실제로는 1958년부터 68년 사이에 집필한 <수용소군도>가 그것이다. 이 작품의 해외 출간이 결정타가 되어 솔제니찐은 결국 소련에서 추방당한다.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가 솔제니찐 문학의 선발대였다면, <수용소군도>는 바야흐로 본진에 해당한다. 실제로 2차세계대전이 끝나갈 무렵 사소한 빌미로 체포되어 8년간 수용소 생활을 했던 솔제니찐은 이 부조리하고 야만적인 체제의 알파와 오메가를 모두 기록하기로 작정한다. 당대 사회의 거대한 벽화를 그리고자 했던 발자크적 기획의 솔제니찐판이라고 할까.

1917년 러시아혁명으로 탄생했다가 1991년 역사의 무대에서 퇴장한 소련은 어떤 국가였던가. 누군가 내게 묻는다면, 나는 두 권의 소설(이라기보다는 논픽션)을 지목하고 싶다. 솔제니찐의 <수용소군도>와 알렉시예비치의 <세컨드핸드 타임>이다. 현실 사회주의, 곧 실제로 존재했던 사회주의 체제의 실상을 그 두 작품은 여실히 증언한다. 문학이 언제 위대질 수 있는가. 나는 이런 작품들과 함께할 때라고 생각한다. 위대한 기록, 위대한 증언, 위대한 고투를 읽는 시간은 우리에게도 결코 사소할 수 없는 시간이다. 바야흐로 우리에게도 <수용소군도>를 읽는 시간이 오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녁강의를 마치고 귀가하여 호두파이로 밤참을 대신하면서 오늘 온 책들을 살핀다. 당장의 강의와 관련하여 주문한 책도 있지만 관심 때문에, 혹은 향후의 강의와 관련하여 주문한 책도 있다. 국내 저자 2인이 공저한 <투르게네프, 동아시아를 횡단하다>(점필재)가 후자에 해당한다. 따로 나 같은 독자가 아니라면 손에 들 사람도 별로 없을 것 같은 책이다.

투르게네프의 소설 <그 전날 밤>(국내에서는 <전날밤>이나 <전야>로 번역됐었다)이 러시아에서 어떻게 극화되었고 그것이 다시 일본과 한국(조선) 연극계에는 어떻게 소개되어는가를 다룬 연구서로 아르부조프의 각색본과 일본의 각색본, 한국의 번역본을 자료로 수록하고 있다. 투르게네프의 작품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서는 아니지만 <전날밤>의 수용과 각색 문제를 살펴보는 데 중요한 참고가 될 만하다.

그렇다고 극화된 <전날밤>까지 강의에서 다룰 건 아니고, 나의 주된 관심은 투르게네프의 소설 <전날밤>에 놓인다. 내년이 투르게네프의 탄생 200주년이기도 해서 주요 작품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면 좋겠다 싶은데 문제는 주요작의 번역본이 없거나 마땅치 않다는 점. <전날밤>도 그 가운데 하나다. 얼마전에 언급한 바 있는 <사냥꾼의 수기>도 마찬가지고, 후기소설 가운데서는 <연기>와 <처녀지>도 다시 나왔으면 싶은 작품들이다. 내년봄까지 기다려봐서 이 가운데 몇작품이라도 다시 나온다면 8강 정도의 강의를 꾸리려고 한다. 탄생 200주년을 맞는 나대로의 자세다.

도스토예프스키와 톨스토이에 대해서는 각각 16강, 12강의 강의를 진행하고 있거나 진행할 계획이기에 투르게네프에 대해서도 그 정도의 시간은 할애하는 게 형평에 맞다고 생각한다.

한편, 생각난 김에 적자면, 투르게네프의 단편 ‘밀애‘가 동아시아문학, 특히 일본문학에 끼친 영향은 정선태 교수의 <지배의 논리 경계의 사상>(소명출판)에 실린 논문을 참고할 수 있다. 김진영 교수의 <시베리아의 향수>(이숲)에는 투르게네프의 산문시 ‘거지‘의 번역과 수용에 대한 논문이 수록돼 있다. ‘투르게네프와 동아시아‘라는 주제 범위에 포함되는 논문들로 참고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시 강연 공지다.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문학동네) 완간을 계기로 톨스토이의 3대 장편을 읽어보는 문학강연회를 세 차례에 걸쳐서 갖는다. 12월 7일과 21일, 28일 저녁 7시 30분에 진행되는데 자세한 일정은 아래 포스터를 참고하시길(신청은 알라딘의 ‘작가와의 만남‘ 페이지에서 각 강연별로 하실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 학기에 19세기와 20세기 러시아문학 강의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는데, 19세기 작가로는 레스코프와 살티코프-셰드린, 20세기 작가로는 알렉시예비치를 남겨놓고 있다(20세기는 가을학기 강의다). 이전에 다루지 않아서 이번에 일부러 집어넣은 작품도 있는데, 레스코프의 <왼손잡이>나 살티코프-셰드린의 <골로블료프가의 사람들>이 그에 해당한다.

반면에 분량 때문에 중요한 작품임에도 빼놓은 경우가 곤차로프의 <오블로모프>(1859)다. 발표시기를 고려하면 투르게네프보다 먼저 다룰 수 있는 작가다. 분량이 부담스럽다는 건 두 권짜리여서인데, 최소한 두 주 정도는 할애해야 한다. 오래전 대학 강의에서 한번 다루고 나도 읽은 지 오래 돼 문득 생각이 났다. 러시아 지주계급의 습속을 다룬 점에서는 고골의 <죽은 혼>(1842)과도 비교해서 읽어봄 직하다. 시기적으로는 투르게네프의 <귀족의 둥지>나 <전야>와 비교될 수 있다.

<오블로모프>는 1980년 니키타 미할코프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매우 뛰어난 영화다. 오블로모프 역은 러시아의 국민배우 올렉(올레그) 타바코프가 맡았다. 국내 출시 제목은 <오브로모브의 생애>다(아마도 일역된 제목을 옮겨서 표기가 그렇게 된 듯싶다). 유튜브를 통해서도 관람할 수 있는 영화. 책이 부담스러운 독자라면 영화를 통해서도 어떤 작품인지 가늠해볼 수 있다. 특히 앞장면만 20여분 정도 봐도 오블로모프란 인물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사실 작품의 핵심도 오블로모프란 인물, 내지 오블로모프적 기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오블로모프적 기질의 일례는 침대에서 빠져나오려고 하지 않는 습성이다.

번역본은 현재 두 종이 나와 있는데, 욕심으로는 하나 더 추가되도 좋지 않을까 싶다. 과도한 욕심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연 공지다. 연세대학교 미래사회통합연구센터에서는 12월 4일(월) 오후 3시-5시에 러사아혁며 100주년 기념 초청강연으로 ‘예술로 표현된 러시아혁명‘을 개최한다. 문학과 영화 두 분야에 대한 강연이 진행되는데 ‘러시아혁명과 문학‘ 강연은 내가 맡았다. 러시아혁명과 영화는 한국외대 이지연 교수가 강연을 진행한다. 자세한 건 아래 포스터를 참고하시길. 대학연구소 행사이지만 일반인도 참석하실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