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강의를 마치고 귀가하여 호두파이로 밤참을 대신하면서 오늘 온 책들을 살핀다. 당장의 강의와 관련하여 주문한 책도 있지만 관심 때문에, 혹은 향후의 강의와 관련하여 주문한 책도 있다. 국내 저자 2인이 공저한 <투르게네프, 동아시아를 횡단하다>(점필재)가 후자에 해당한다. 따로 나 같은 독자가 아니라면 손에 들 사람도 별로 없을 것 같은 책이다.

투르게네프의 소설 <그 전날 밤>(국내에서는 <전날밤>이나 <전야>로 번역됐었다)이 러시아에서 어떻게 극화되었고 그것이 다시 일본과 한국(조선) 연극계에는 어떻게 소개되어는가를 다룬 연구서로 아르부조프의 각색본과 일본의 각색본, 한국의 번역본을 자료로 수록하고 있다. 투르게네프의 작품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서는 아니지만 <전날밤>의 수용과 각색 문제를 살펴보는 데 중요한 참고가 될 만하다.

그렇다고 극화된 <전날밤>까지 강의에서 다룰 건 아니고, 나의 주된 관심은 투르게네프의 소설 <전날밤>에 놓인다. 내년이 투르게네프의 탄생 200주년이기도 해서 주요 작품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면 좋겠다 싶은데 문제는 주요작의 번역본이 없거나 마땅치 않다는 점. <전날밤>도 그 가운데 하나다. 얼마전에 언급한 바 있는 <사냥꾼의 수기>도 마찬가지고, 후기소설 가운데서는 <연기>와 <처녀지>도 다시 나왔으면 싶은 작품들이다. 내년봄까지 기다려봐서 이 가운데 몇작품이라도 다시 나온다면 8강 정도의 강의를 꾸리려고 한다. 탄생 200주년을 맞는 나대로의 자세다.

도스토예프스키와 톨스토이에 대해서는 각각 16강, 12강의 강의를 진행하고 있거나 진행할 계획이기에 투르게네프에 대해서도 그 정도의 시간은 할애하는 게 형평에 맞다고 생각한다.

한편, 생각난 김에 적자면, 투르게네프의 단편 ‘밀애‘가 동아시아문학, 특히 일본문학에 끼친 영향은 정선태 교수의 <지배의 논리 경계의 사상>(소명출판)에 실린 논문을 참고할 수 있다. 김진영 교수의 <시베리아의 향수>(이숲)에는 투르게네프의 산문시 ‘거지‘의 번역과 수용에 대한 논문이 수록돼 있다. ‘투르게네프와 동아시아‘라는 주제 범위에 포함되는 논문들로 참고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