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문학을 강의하면서는 프랑스문학과 러시아문학의 ‘평행이론‘을 소개하곤 하는데(가령 발자크와 푸슈킨은 똑같이 1799년생이고, 플로베르와 도스토예프스키도 1821년생으로 생년이 같다), 미국문학과 러시아문학 사이에도 평행이론이 성립한다. 근거 가운데 하나가 러시아 농노제 폐지(1861)와 미국의 노예해방(1865)이다.

문학사에서 각각 농노제 폐지와 노예해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작품으로 꼽히는 게 투르게네프의 <사냥꾼의 수기>(1852)와 스토 여사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1852)이다. 이번 주에 <사냥꾼의 수기>에 대한 강의를 상당히 오랜만에 하게 되었고 내년 봄에는 <톰 아저씨의 오두막>도 강의에서 처음 다룰 예정이다(물론 누구의 주문도 아니고 내가 일정을 그렇게 잡았다). 단편집과 장편소설이란 차이점이 있지만 문학의 사회적, 정치적 역할이란 면에서 많이 비교되는 작품들이기도 하다(강의에서도 그렇게 비교해볼 참이다).

아쉬운 것은 <사냥꾼의 수기> 번역본이 현재 한 종밖에 없다는 점. 25편을 모두 수록하고 있는 번역본은 동서문화사판이 유일하다. 얼마 전에 투르게네프의 장편들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아쉬움을 표했지만 사정은 단편에서도 마찬가지다. 투르게네프의 단편들은 미국의 저명한 비평가 해럴드 블룸도 엄지손가락을 치켜들 정도로 수일하다. 복수의 번역본을 음미할 수 있으면 좋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카루스 2023-04-21 2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문당 출판사에 투르게네프 단편집 김학수 선생님 역으로 나온 거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