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 작가 아지즈 네신의 소설 <생사불명 야샤르>(푸른숲, 2006)이 출간됐다. 작가의 이름은 처음 들어봤는데, 그간에 동화 두 권만 번역됐었다고 하니까 내가 특별히 과문했던 건 아니겠다. 자료를 검색해보니 터키의 이 저명한 '유머작가'는 100권 이상의 책을 쓴 걸로 돼 있다. 터키의 '국민작가'라고는 하지만, 살만 루시디의 <악마의 시>를 번역하려고 한 탓에 이슬람 과격단체의 타겟이 되었고, 지난 93년엔 이들이 그가 묵고 있던 호텔에 방화함으로써 (작가는 목숨을 건졌지만) 37명의 투숙객이 희생되기도 했었다고. 그의 사후엔 유언에 따라 아무런 장례예식도 치러지지 않았고 아무도 알지 못하는 곳에 묻혔다고 한다. 여러 수식어가 필요 없이 그는 한 사람의 '진정한 작가'였다고 말할 수 있겠다. 그의 소설에 관한 두 개의 리뷰를 옮겨놓는다.
![](http://photo-media.hanmail.net/200607/28/hankooki/20060728175009.499.0.jpg)
동아일보(06. 07. 29) 내가 죽었다고?호적이 사람잡네…‘
-“아버지이이이… 제가 죽었대요. 죽었대요.” 열두 살에 날벼락을 맞았다. 호적엔 ‘사망’으로 나온단다. 그것도 제1차 세계대전 중 전사한 것으로. 야샤르의 인생은 그때부터 꼬여 버렸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67/39/coversum/8971844698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5/47/coversum/897184428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1/46/coversum/8971845511_1.jpg)
-소설가 아지즈 네신(1915∼1995)의 이름은 낯설게 들린다. 국내에는 아동 도서 두 권만 나와 있어 동화작가로만 인식되기 쉽다. 그런데 이 책을 읽다 보니 ‘구라’가 여간 아니다. 알고 보니 ‘터키의 국민 작가’란다. 터키에선 “완전히 아이즈 네신의 소설이군”이라는 관용어가 있을 정도라고 한다.
-이 책은 실화가 바탕이 됐다. 정부의 검열과 탄압을 비판한 작품을 발표해 유배와 수감생활을 반복했던 작가가 감방 동료에게서 들은 사연이다. 무대는 감방. 야샤르 야샤마즈라는 사내가 새로 들어왔다. 터키어로 야샤르는 ‘살다’, 야샤마즈는 ‘죽다’라는 뜻이다. 황당한 이름에 동료 죄수들은 폭소를 터뜨리는데, 정작 야샤르의 삶의 비극은 이름에 압축돼 있다. 그에게는 ‘살아있음’을 증명하는 주민등록증이 없는 것.
-책은 ‘생사불명 야샤르’가 감방 동료들에게 21개의 경험담을 밤마다 하나씩 풀어놓는 형식이다. 이야기꾼 야사르가 들려주는 얘기는 주민등록증 없이 살아가면서 겪는 황당무계한 사건들이다. 첫날엔 처음으로 동사무소 호적과에 갔던 열두 살의 어느 날. 부모는 1911년 결혼했는데 아들 야샤르는 1915년에 전사한 것으로 나온다니, 말이 안 된다고 따져 봐도 소용이 없다. “호적 대장에 그렇게 써 있는데 난들 어쩌겠소?” 그렇게 말해 놓곤 공무원은 나 몰라라 한다.
-다음 날 에피소드는 결혼을 앞두고 군대에 끌려간 날. 죽었다던 야샤르가 난데없이 병역기피자로 몰린다. 주민등록증은 나중에 발급해 줄 테니 입대부터 하라는 것이다. 또 그 다음 날 이야기. 제대하고 돌아와서 아버지의 유산을 받으려고 백방으로 뛰었지만, 주민등록증이 없으니 돈이 들어올 턱이 없다.
-포복절도할 ‘구라’를 통해 작가가 전하는 메시지는 관료주의의 지독한 횡포다. 눈앞에 사람을 두고도 주민등록증 하나 발급하지 않으려는 게으름, 정부의 필요에 따라 사람을 살렸다 죽였다 하는 고무줄 원칙. 소설 속 야샤르의 분통 터지는 외침은 우습고도 기막히다. “공공기관이 하는 일이 뭐요? 학교에 입학하려고 할 때는 ‘넌 죽었어’라고 하고, 군대에 끌고 갈 때는 ‘넌 살아 있어’라고 하더니, 또 유산을 받으려고 할 때는 ‘넌 죽었어’라고 하고, 세금을 거두어 갈 때는 다시 또 ‘넌 살아 있어’라고 하는, 도대체 씨알도 안 먹히는 이야기를 해대는 공공기관이라는 곳은 뭘 하는 곳이냐고!”(*이런 게 어디 남의 나라 일만이랴?)
-야샤르뿐 아니다. 자수하러 갔다가 복잡한 절차 때문에 포기하는 스파이, 어느 날 갑자기 자신보다 나이 많은 남자가 아들로 호적에 올라왔는데 고치지 못하는 노인처럼 비슷하게 고생한 사람들이 감방엔 적지 않다. 감방뿐일까. 터키뿐일까. 작가의 풍부한 입담과 풍자적인 문체에 배를 잡다가도 읽고 나면 씁쓸해지는 마음, 어느 나라 독자든 마찬가지일 듯하다.(김지영 기자)
![](http://photo-media.hanmail.net/200607/28/hankooki/20060728175009.499.1.jpg)
한국일보(06. 07. 29) 웃기지만 웃지 못할 통제 국가의 현실풍자
-“풍자는 세계가 웃음거리가 되는 것을 막아준다”고 말한 터키 작가 아지즈 네신(1915~1995). ‘제이넵의 비밀편지’ ’당나귀는 당나귀답게’ 등의 동화로, 어른들보다 아이들에게 친숙한 그의 장편소설 ‘생사불명 야샤르’(푸른숲)가 출간됐다.
-그는 통쾌한 작가다. 그의 글은 늘 불의와 거짓을 향해 시퍼렇게 날이 서 있기 때문이다. 권위와 권력을 조롱하고, 소수와 약자를, 또 그들의 저항을 흔들림 없이 옹호한다. 그리고 그는 유쾌한 작가다. 문학의 험난한 지향을 그는 웃음의 동력으로 이끌고 간다. 적당한 과장과 넉넉한 재치, 그리고 정곡을 파고드는 냉철한 지성, 그의 글에서는 냉소마저도 따듯하다. 소수와 약자를 향한 사랑이 있어서다. 하지만 그의 문학을, 달리 말해 웃음과 사랑의 맥락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그의 삶과 그의 조국 터키의 현실을 우선 이해해야 한다.
-그는 작가이자 인권운동가였다. 번역자인 이난아씨의 소갯말을 빌자면 그는 작품을 발표하기 무섭게 내란 선동이나 좌익 활동의 죄목으로 수갑을 찼고, 약 250번 가량의 재판을 받았으며, 유배생활을 제외하고 5년 6개월의 수감생활을 했다. 계엄령 하에서 신문 잡지에 칼럼을 쓸 수 없게 되자 자신이 스스로 신문을 발행하고 출판사를 만들기도 했다(*역자는 오르한 파묵의 소설들을 모두 우리말로 옮긴 바 있는 터기문학 전문번역자이다).
-유럽연합(EU) 회원국 가입을 추진중인 그의 조국 터키는 지금도 국가모독죄 규정(형법 301조)을 두고 있는 드문 국가다. 정부와 사법부, 군부, 보안조직 등에 대한 모욕행위를 하면 처벌 받고, 터키 국민이 국외에서 이를 행했을 때는 가중처벌 된다. 유력한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되는 오르한 파묵이 지난해 스위스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터키의 아르메니아인과 쿠르드족 학살사건을 성토했다가 국가모독혐의로 기소된 사례(국제사회의 거센 비난 여론에 밀려 연초에 공소가 기각됐다)가 있었고, 최근에도 터키에 사는 영국인 화가가 터키 총리를 풍자한 그림을 그려 피소 위기에 처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네신의 풍자는 문학 역사의 모든 빛나는 풍자들이 자라난 바로 그 자리, 곧 삼엄한 권력과 참혹한 현실 위에서 나고 자란 저항의 웃음이다(*오르한 파묵과 함께 네신은 우리가 기억해두어야 할 이름이겠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9/5/coversum/893740319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8/38/coversum/893748041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8/38/coversum/893748042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6/32/coversum/8937480662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6/32/coversum/893748067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9/2/coversum/8954601162_1.jpg)
‘생사불명 야샤르’는 동사무소 직원의 어이없는 실수로 호적에 전사자로 기록된 ‘야샤르’의 이야기다. 주민등록증이 없어 학교에도 입학하지 못하고, 군대에도 못 가고, 뒤늦게 입대는 하지만 제대를 못하고, 사랑도 잃고, 부친의 유산마저 상속 받지 못하고…, 급기야 공무원에게 대들다가 정부를 모독했다는 이유로 교도소에 수감되는 남자. 소설은 ‘야샤르’가 감방 ‘형님들’에게 자신이 갇히게 된 연유를 들려주는 형식이다.
-주민등록증 없이 살면서 겪은, 우습지만 웃지 못하고 울자니 또 너무 우스운 ‘파란만장 인생역정 스토리’. “그날 가장 큰 실수는 (…)충고를 잊은 거였죠. 욕을 하고 싶을 때는 공공기관의 이름을 바로 대지 말고 ‘세상’으로 바꿔서 욕을 하라고. (…)어쨌든 이렇게 하면 형법으로는 도저히 어떻게 할 수 없다고.”(486쪽)
-재갈 물린 감옥 같은 현실과, 그 현실로부터 격리된 존재들이 나누는 교감의 아이러니. 네신은 소설 결말부에 또 하나의 반전을 묻어두고 독자들을 야릇하게 웃긴다. 그 웃음은 물론 아주 복잡한 감정이 실린 웃음이다(*19세기 러시아 작가 고골을 문득 떠올리게 한다).(최윤필기자)
06. 0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