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보예 지젝의 문제작 <신체 없는 기관: 들뢰즈와 결과들>(도서출판b, 2006)이 드디어 번역/출간됐다. 원서는 2004년판으로 돼 있지만, 기억에는 2003년말에 출간됐고 나는 그 즉시 아마존에서 구입했었다. 한데, 1년간 러시아에 나가 있느라 책을 뜯어볼 시간이 없었고 귀국 후에도 책을 읽는 일은 이래저래 미뤄졌었다. 그건 단지 게으름 때문만은 아니고 곧 번역서가 나올 거라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에 '천천히' 읽어보자는 계산이었다. 그리고 이제 때가 된 것.

책은 아마도 (지젝의 독자들 때문이 아니라) 들뢰즈의 독자들 때문에 꽤 팔려나가고 한동안 회자될 듯싶지만, 지난주 언론의 리뷰에서는 '지젝의 그림자'도 찾기 어려웠다(예상할 수 없는 일은 아니다. 기자도 읽어야 쓸 것 아닌가? 아마 내주쯤에는 '정상적인' 리뷰가 나올 수 있을 것이다). 그나마 내가 읽은 기사들 중 가장 비중있게 다룬 것이 '들뢰즈 속 헤겔의 그림자'란 타이틀을 달고 있는 한국일보의 리뷰였다.   

"라캉 정신분석학과 헤겔, 마르크스를 융합해 현대 분석철학의 독창적인 영지를 확보한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들뢰즈'라는 또 하나의 우람한 정신의 새 면모를 선뵌다(*'현대 분석철학'? 이 얼마나 '독창적인' 해석인가!). 들뢰즈가 제기한 개념인 '기관 없는 신체'(기관으로서 부여된 기능적 고정성에서 탈피해 다른 '기관'으로 변형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질료)를 뒤집어 놓은 책의 제목처럼, 그는 들뢰즈의 공저서가 아닌 '의미와 논리' 등 단독 저서들을 텍스트 삼아 그 속에 내포된 헤겔의 그림자를 포착한다. 그리고 들뢰즈가 '생성' 이전의 '잠재'의 철학자임을 부각하고 있다."

그렇다, 이게 전부다! 해서 좀더 기다렸다가 괜찮은 리뷰를 읽게 되면 옮겨올까 생각했지만, 기다리는 동안 마당이나 쓰는 기분으로 몇 마디 거들기로 한다. 러시아 영화감독 지가 베르토프와 관련한 대목을 중심으로.

 

 

 

 

들뢰즈와는 다른 진영에 속해 있는 철학자의 들뢰즈론이라는 점에서 <신체 없는 기관>은 여타의 들뢰즈론과 구별되며 바디우의 <들뢰즈 - 존재의 함성>(이학사, 2001)에 근접한다(사실 지젝과 바디우는 절친한 사이라고). 그리고 두 사람은 모두 들뢰즈에게서 헤겔의 그림자를 보거나 그 목소리를 듣는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들뢰즈가 살아있다면 뜨끔하거나 기겁할 일이겠다). 그 문제는 복잡하니까 남겨놓도록 하고, 여기서는 지난 2003년 방한시 지젝이 '신체 없는 기관'라는 제목으로 강연했던 내용 중에서(이 강연 내용은 단행본의 후반부에 포함돼 있다) '신체 없는 기관'의 전형적인 사례라 할 만한 '카메라의 눈'과 관련하여 지가 베르토프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대목을 따라가본다. 아래에서 강연문 '신체 없는 기관'이 포함돼 있는 <탈이데올로기 시대의 이데올로기>(철학과현실사, 2005)로부터의 인용은 쪽수만을 적어준다. 

"(*히치콕의 <현기중>에서) 주체로 귀착되지 않으면서 주관화된 두 쇼트는 다름 아닌 순수하고 전-주체적인 현상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초과분은 봉합-논리에 수용도어 객관적 쇼트와 주관적 쇼트의 표준 절차의 수준으로 환언(*환원)된다. 우리가 이 과도함(*과잉)에서 맞닥뜨리는 것은 특정 주체의 완력으로부터 자유로운 '대상으로서의 응시'다. 그렇다면 (혁명영화의 절정기였던) 1924년에 지가 베르토프가 만든 옛 소련 무성영화의 고전인 <영화의 눈(Kino-Eye/ Kino-glaz)>에서 베르토프가 (카메라의) 눈을 영화의 상징으로 삼고 이 '자율적 기관'으로서으 눈을 통해 신경제정책(NEP) 하에서 구소비에트연방의 현실의 단편을 제시하며 1920년대 초반의 모습을 전달하는 것은 그리 낯설게 보이지 않는다."(332-3쪽, 강조는 지젝의 것)

"무엇을 흘깃 훔쳐보다(to cast an eye over something)'라는 관용구를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눈에서 안구를 뽑아 주위에 던진다는 뜻인데, 이것이 바로 프랑스 동화에 나오는 엽기적 백치 마르탱이 어머니가 아들이 영영 맞지 못할 것을 염려하여 아들에게 교회에 가서 그곳에 있는 여자들을 좀 훝어보고(cast an eye over the girls there) 오라고 했을 때 한 행동이다. 그는 우선 푸주한에게 가서 돼지의 안구를 샀으며, 그후 그것을 교회로 가져가 그곳에서 기도하고 있는 여인들을 향해 던졌던 것이다. 후에 마르탱이 어머니에게 여자들이 자기의 행동에 그리 좋은 인상을 받은 것 같지 않다고이야기하게 되는 것은 당연지사다. 그런데 바로 이것이 혁명 영화의 소임이다: 즉, 카메라를 부분대상으로 사용하여 주체에게서 도려내어져 주위로 자유롭게 던져질 수 있는 '눈'으로 만드는 것이다."(334쪽, 강조는 나의 것)

"베르토프 자신을 인용하면: 영화의 카메라는 손부터 발까지, 또 발부터 눈이나 다른 부분까지 가장 효율적인 순서로 관객의 시선을 이끌고(관객의 안구를 질질 끌고 다니고)(drags the eyes of the audience), 세부를 조직할 때는 일반적으로 몽타주 기법을 구사한다."(*강조는 원문에 따름. 리차드 테일러와 이안 크리스티 편, <영화 공장: 러시아-소비에트 영화 문건 1896-1939>로부터의 인용인데, 334쪽 각주에는 <영화의 요인(The Film Factor)>로부터의 인용으로 잘못 기재돼 있다. 'Factory'를 'Factor'로 잘못 본 것. 참고로 테일러는 헉명기 러시아 영화에 정통한 영화학자이다.)

이어서 지젝은 카메라에 대한 이러한 베르토프적 통찰을 자신의 일상적 경험과 연계시킨다: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괴이한 순간들 중 하나는 자신의 영상과 얼핏 맞닥뜨렸을 때 그 영상이 자신에게 시선을 되돌려주지 않는 것이다. 한번은 거울 두 개로 머리 측면에 이상하게 돌출된 부분을 살펴보려 한 적이 있는데, 그때 갑자기 내 옆얼굴이 흘깃 보였다. 그 영상은 내 모든 몸짓을 이상한 일관성 없는 방식으로 본뜨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우리의 거울상이 우리로부터 분리되는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우리의 시선이 더 이상 우리 자신을 향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다리언 리더)"(334-5쪽) 즉, 전-주체적, 혹은 탈-주체적 영상(이미지)가 태어나게 되는 것.

"이 괴기한 경험은 자신의 영상의 한 부분이지만 거울과 같은 대칭적 관계를 회피하여 라캉이 '대상 소타자(*대상 a)로서의 응시'라고 부른 것을 예증한다. 이 불가능한 지점으로부터, 즉 '밖으로부터' 우리 자신을 볼 때의 외상적 특징은 내가 응시를 위한 외부대상으로 대상화되었다는 사실이라기보다는 대상화된 것이 내 응시 자체라는 것이다. 대상화된 응시는 외부에서 나를 바라보므로 내 응시가 더 이상 내 소유가 아니며 내가 그것을 도둑맞았음을 뜻한다."(335쪽) 즉, '내 것이(었)지만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응시', 그것이 '신체 없는 기관'의 가장 전형적인 사례라 할 만하다.

이러한 주제에 잘 들어맞는 영화가 김성호 감독의 <거울 속으로>(2003)가 아닐까 싶다. (아직 보지 않았지만) ''동일한 형상의 사물을 비춰주면서도 반대적인 면을 보여주는 거울의 양면성을 세심하게 포착한 심리스릴러"라면 말이다. 더구나 "'스릴러의 거장'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고전영화 <현기증>의 뼈대에 거울공포란 소재를 도입해 현대적인 공포영화로 만든 작품"이라고 하지 않는가?..

지젝은 잠시 <로스트 하이웨이>를 경유해서 다시 <현기증>(1958)에 대한 분석으로 돌아간다. 스코티(제임스 스튜어트)가 금문교 밑 샌프란시스코 만에서 마들렌(킴 노박)을 구한 다음인 그의 아파트 장면을 자세히 분석해볼 것을 제안하면서.

하지만, 이 본격적인 이야기는 다음 기회에 다루어야겠다. 스코티는 마들렌을 들고 가는 게 무거웠겠지만, 독자들은 지젝을 이 정도 읽는 것도 버겁다! 벌써부터 '이론적 현기증'을 느낀다면 엄살이라고 해야 할까? 겨우겨우 버티고(Vertigo) 버틴 분들은 이제 <신체 없는 기관>으로 손을 뻗으시면 되겠다. 굿럭!..

06. 06. 25.


댓글(3)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6-06-25 2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읽어보고 싶어라!!!! 근데 제대로 읽으려면 적어도 몇 년이 걸릴 듯 하네요..


근데 지젝이 분석철학의 대가였군요.ㅋㅋㅋ
글고 저 신체없는 기관이 맞나요, 신체 없는 기관이 맞나요?

로쟈 2006-06-25 23: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잘못 썼나요? 단순한 국어 상식에 의지하시면 될 거 같은데요... 덧붙여,'제대로' 사는 건 더 오래 걸립니다!..

비로그인 2006-06-25 23: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단순한 국어 상식인가요? 책들 마다 표기가 달라서.....

근데 제목만 훝어봐도 재기가 철철 넘치는 군요.
제목이 죄다 패러디인데.

언제가, 아마도 경험일원론의 세기가 될 것인가?
들뢰즈 뒤에 달라붙기
스피노자를 사랑하지 않는 것이 가능한가?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