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국외 저자들로만 '이주의 저자'를 채운다. 게다가 모두 거물 철학자들이다. 주저가 아닌 얇은 책들이 나왔다는 점에서도 공통적이다. 푸코의 책으로는 <철학의 무대>(기담문고, 2016)가 연초에 나왔었다.  



먼저, 미셸 푸코. '미셸 푸코 미공개 선집'의 첫 권으로 <비판이란 무엇인가?/ 자기 수양>(동녘, 2016)이 출간되었다. '비판이란 무엇인가'와 '자기 수양', 두 강연문을 묶은 것으로 강연에 대한 토론문도 함께 실었다.  

"1978년 5월 27일에 소르본대학교에서 프랑스 철학회 주최로 열린 푸코의 강연 <비판이란 무엇인가?>와 1983년 4월 12일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에서 있었던 푸코의 강연 <자기 수양>, 그리고 버클리캠퍼스에서의 강연과 함께 기획된 세 차례의 토론을 싣고 있다. 이 텍스트들에 대한 상세한 해설과 유용한 각주들을 독자들에게 제공한다. 푸코의 이 두 강연은 그의 사상의 변화와 연속성을 동시에 명확히 해명하는 중요한 텍스트이며, 특히 푸코 후기 사유의 중심 주제들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는 주체의 문제, 더 구체적으로 말해 ‘자기’의 문제에 대한 풍부한 성찰을 제공한다."

푸코의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가 계속 소개되고 있는 와중에 '간식' 거리가 될 만한 시리즈가 아닐까 싶다. 시리즈의 책으로는 <담론과 진실>, <자기 해석학의 기원> 등이 내년에 출간될 예정이다.  


막간에 보태자면 푸코 연구서로는 나카야마 겐의 <현자와 목자: 푸코와 파레시아>(그린비, 2016)가 지난 가을에 출간됐었다. "후기 푸코 사유의 핵심 개념 ‘파레시아’를 중심으로,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에 ‘자기’와 ‘진실’이 어떤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1부), 그리고 초기 그리스도교 시대를 맞이하며 원래 공공을 향한 ‘진실 말하기’였던 파레시아가 어떻게 자기 자신에 대한 검열과 고백의 실천으로 변해 갔는지를 살핀다." 묵직한 책들을 읽어볼 만한 (시국적) 여유를 언제쯤 갖게 될까?



조르조 아감벤의 신간 <불과 글>(책세상, 2016)도 번역돼 나왔다(심지어 영어판보다도 빨리). 아감벤의 책으로는 여름에 나온 <왕국과 영광>(새물결, 2016)과 함께 '유이한' 올해의 수확이다. '우리의 글쓰기가 가야 할 길'이 부제. "문학에 가까운 글쓰기를 보여주는 열 편의 철학적 단상을 묶은 책이다. <불과 글> <관료주의적 신비> <비유와 왕국> <창조 행위란 무엇인가?> 등, 읽고 쓰기에 관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볼 만한데, 일단 영어본도 주문해놓아야겠다. 



끝으로 알랭 바디우도 뜻밖의 책을 펴냈다. <행복의 형이상학>(민음사, 2016). 올해 나온 바디우의 책은 <우리의 병은 오래전에 시작되었다>(자음과모음, 2016)과 함께 '유이'하다. 분량으로는 둘다 팸플렛에 가깝다. 어떤 책인가. "알랭 바디우가 펼치는 혁신적 행복론이다. 침울한 일상 속에서 빛나는 삶을 획득하기 위해 우리는 스스로 새로운 행복을 선택하고, 그 대가를 치러야 한다. 행복이란, 주체로 서는 것이다. 지금 이곳 열정과 분노로 가득한 광장에서, 다시는 이전과 같은 세계로 돌아가지 않기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할 새로운 행복의 정체가 밝혀진다." 


찾아보니 영어본은 내년에 <행복>이란 제목으로 나온다. 아감벤의 책도 그렇고 요즘은 한국어판들이 영어판보다 앞서 나오는 일이 드물지 않다. 바디우 관련서로 올해 나온 가장 중요한 책은 피터 홀워드의 <알랭 바디우: 진리를 향한 주체>(길, 2016)이었다. 해를 보내면서 한번 더 확인해둔다... 



말이 나온 김에 내년 기대작도 적는다. 바디우의 책은 <행복> 외에 <성관계는 없다: 라캉에 관한 두 강의>가 기대를 모은다. 바디우의 라캉론이다. 더불어 슬라보예 지젝의 <레닌 2017>은 러시아혁명 100주년과 관련하여 미리부터 구미를 당기는 책. 이런 책들에 대한 기대 때문에라도 '병신년'과 빨리 작별하고 싶다...


16. 12. 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