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이 밝았다(*이 글은 2004년 1월초에 씌어졌다). 그것이 의미하는 바는, 이제 발행년도가 2004년이라고 찍힌 책들이 나온다는 것이다. 물론 한두 주 가량은 시차적응을 못한 책들이 좀 나왔고, 또 나올 것이다. 작년년말에 나온(사실은 지난주에 나온) 책들 가운데 일부가 이미 2004년이라고 박혀서 나온 것처럼. 새해에도 새로운 저자들이 탄생하고, 새로운 책들이 육체를 얻을 것이다. 책의 바다에서 허우적거리는 사람에게 감동적인 것은 해돋이가 아니라, 그러한 책들의 풍경이다(불쌍해도 할 수 없는 노릇이다!).

 

 

 

 

최근에 나온 책으로 제일 먼저 손에 꼽을 만한 것은 박노자의 <하얀 가면의 제국>(한겨레신문사)이다. 2001년 12월 <당신들의 대한민국>(한겨레신문사)으로 우리에게 자신의 존재를 정식으로 각인시킨바 있는 이 러시아계 한국인은 소비에트 교육체계의 탁월성을 입증하는 산증인인지, 한 인간의 지적 성취는 교육체계와 무관함을 입증하는 돌연변이인지 종잡을 수 없지만, 하여간에 내가 아는 한, 한국어를 구사하는 우리세대 외국인들(?) 가운데 가장 똑똑하다. 나는 <당신들의 대한민국>을 그해의 책으로 꼽은바 있고, 아주 감격적인 독후감을 쓰기도 했는데(이 독후감의 일부는 신문광고에 사용되기도 했다), 이후에도 그는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꼬박꼬박 우리의 게으름과 타성적인 사고를 후려치는 책들을 출간하고 있다(*그의 자전적 약력에 대해서는 공저인 <젊은 날의 깨달음>(인물과사상사, 2005)을 참조할 수 있다).

이번 신간은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란 문제의식으로 채워져 있는데, 사실 나는 이 책을 인터넷서점에 주문하는 것보다 빨리 사보려고 네댓 군데의 서점을 돌아다녔지만, 끝내 구할 수 없었다. 서점들의 아둔한 감각에 혀를 찰 수밖에. 해서, 순수하게 2003년의 책이지만, 2004년에도 아직 손에 들지 못한 책이다. 아마도 모레쯤 사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사실, 박노자의 책을 추천한다는 것은 다반사(茶飯事; 먹고 마시는 일)이기에, 크게 떠들 만한 일도 아니다.

 

 

 



두번째 책은, 조광제의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 강해록인 <몸의 세계, 세계의 몸>(이학사)이다. 이 책도 나오긴 작년에 나왔지만, 발행일자는 2004년 1월 10일로 돼 있는 ‘미래의 책’이다. 그러니 공식적으론 아직 읽으면 안되는 책이기도 하다. ‘강해’라는 건 강의와 해제를 말한다. 저자가 철학아카데미에서 국역본 <지각과 현상학>이 나오기 이전에 이 메를로-퐁티 ‘선생님’의 주저를 풀어서 강의한 내용이다.

‘거의 독학하다시피 한 연구’라는 저자의 말에서도 알 수 있는 바이지만, 메를로-퐁티에 관한 국내 학계의 연구는 아직 걸음마 단계이다. 더구나 지난번에 나온 국역본조차도 조광제에 의하면, 오역의 범벅이기 때문에(“<지각의 현상학> 번역문에 대한 분석", <아카필로> 제8호, 2003) 일반 독자가 메를로-퐁티를 읽어낸다는 것은 거의 기적적인 일이다. 그런 점에서, 이 신간의 의의는 원전 독해에 대한 갈증을 어느 정도 채워줄 수 있을 거라는 점이다.

 

 

 

 

세번째 책은 실천윤리학의 거장인 호주의 철학자 피터 싱어의 <세계화의 윤리>(아카넷)이다. 이 책도 발행일자가 2003년 12월 30일이니 벌써 한 해 묵은 책이다. 원제는 . 지젝은 여러 글들에서 현재의 세계화의 일면성과 불충분성(경제적 세계화에 대한 열변들에는 정치적 진리의 보편성에 대한 주장이 빠져있기 십상이다)을 비판하는데(즉 그는 현재의 ‘세계화’가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싱어의 주장은 어떤 것인지 궁금하다. 책의 소개에는 그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전 지구 공동체적 윤리'를 내세운다고 하는데, 관심있는 분들은 일독해 보시길. 한편, 싱어의 생명윤리학 책으론 <동물해방>(인간사랑, 1999), <삶과 죽음>(철학과현실사, 2003) 등이 번역돼 있다(*이후에도 싱어의 책은 줄기차게 출간된 바 <윤리의 기원과 역사>, <응용윤리>, <생명윤리학1> 등이 모두 그의 책들이다.) 


 

 


 

네번째 책은 처음 소개되는 두 작가의 소설이다. 멕시코 현대문학의 거장이라는 후안 룰포의 대표작 <뻬드로 빠라모>(민음사)와 옛 유고의 현대작가 다닐로 키슈의 <보리스 다비도비치의 무덤>(책세상)이 그것이다. 모두 처음 소개되는 작가/작품들인 만큼, 내가 덧붙일 수 있는 말은 없다. 룰포의 소설에 대해선 마르케스가 “스페인어로 씌어진 가장 아름다운 작품”이라고 평하고 있다는 것과 키슈의 작품은 수용소 문학 범주에 들어간다는 점 정도를 덧붙인다(*키슈의 책에 대해서는 언젠가 따로 다루고자 한다).

 

 

 

 

영화감독으로의 데뷔를 준비하고 있는 작가 폴 오스터의 신작(시나리오) <다리 위의 룰루>(열린책들)도 번역돼 나왔는데, 그는 이 작품을 현재 영화화하고 있다고(*오스터의 책들도 줄기차게 쏟아지고 있다. 매년 두어 권 이상씩. 거의 '아메리카의 하루키'가 아닌가 싶을 정도이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그는 웨인왕의 <스모크> 등의 시나리오를 쓴 바 있다. 사실, 오스터에 대해선 아직 관심을 두고 있지 않기에 군말은 삼가겠다.

 

 

 



다섯 번째 책은 하이네의 이야기시집 <로만체로>(문학과지성사, 2003)인데, 나는 아직 <노래의 책>(문학과지성사, 2001)도 사두고 읽지 않았으므로, 신간에 대해서 왈가왈부할 자격은 없다. 다만, 하이네의 경우 내가 관심을 두고 있는 러시아낭만주의(1820-40)와 같은 시기에 활동한 시인이기 때문에 ‘직업적인’ 관심을 좀 갖게 된다(*하이네의 최신간은 <낭만파>(한길사, 2004)이다).

 

 

 

 

그런 관심에서 좀 벗어나면, 한달쯤 전에 나온 스티븐 킹 걸작선 정도를 읽어보면 어떨까도 궁리중이다(실행에 옮겨질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미국의 현역 작가들 가운데, 가장 대중적이면서도 비평계의 높은 지지를 얻고 있는 작가가 스티븐 킹이지만, 나는 아직 그를 읽어본 적은 없다. 다만, 이번에 작품선집이 나왔으므로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고 생각한다. 혹자는 그를 아메리칸 스타일의 도스토예프스키라고 평하기도 하므로.

사실, 스티븐 킹에 대한 관심은 어젯밤에 읽은 대담집에서 지젝이 <샤이닝>에 대해 언급하고 있기에 생겨난 것이다. 이 대담집은 작년에 학교 도서관에 주문해서 구한 책 가운데(하지만 발행년도는 2004년이다), (지젝이 편집한) 4권짜리 <라캉 연구선집>과 함께 가장 성공작이라고 할 만한 책이며, 지젝 입문서로 가장 좋은 책이다. 책의 대략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시간이 나는 대로 정리해서 올리도록 하겠다. 올해의 책읽기도 이제 첫걸음은 뗀 셈이다...

 

 

 

 


덧붙임: 폴 오스터의 책은 <다리 위의 룰루>와 함께, 소설 <환상의 책>과 에세이집 <타이프를 치켜세움>이 열린책들에서 동시에 출간됐다. 이쯤되면, 일종의 문화상품이다. <다리 위의 룰루>는 본문에서 영화화하고 있다고 했지만, 1998년에 이미 만든 영화이다.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걸로 봐서, 상업성이 없거나 예술성이 '지나치게' 뛰어난 영화인 듯. 소설 <환상의 책>도 사라진 미남 배우의 이야기를 다루는데, (가상의) 영화 한 편의 내용이 통째로 들어가 있다고 한다. 오스터는 아무래도 비주얼이 가장 강한 작가인 듯. 짐작엔 우리 작가 중에, 김영하나 김경욱 스타일이 아닌가 싶다. 아니 좀 경쾌한 윤대녕이라고 할까? 일본 작가론 하루키 스타일. 뉴요커의 '실존'을 가벼운 멜랑콜리로 터치하기(내가 상상하는 폴 오스터)...

2004. 01. 0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woshot 2006-05-20 10:08   좋아요 0 | URL
폴 오스터..김영하나 김경욱도 아니고 좀 경쾌한 윤대녕은 더더욱 아닌데요...훨씬 더 박진감이 넘칩니다. 산문집 [굶기의 예술]을 감탄하며 읽었는데 그거와는 또다른 진경이 소설에서 펼쳐집니다. 나른한 봄날에 [달의 궁전]이나 [거대한 괴물]을 읽어 보심이...

로쟈 2006-05-20 10:24   좋아요 0 | URL
<굶기의 예술>은 저도 읽었습니다. 그의 소설들에 조금 흥미를 느낄 때쯤 너무 떠버려서 한편으론 의혹을 갖게 됐습니다. 하루키 소설도, 언젠가 한 지인이 <상실의 시대>를 26번을 읽었다고 하더군요. 코엘료의 <연금술사> 같은 소설도 마찬가지인데, 저는 진짜 소설은 '독서에의 저항' 같은 것을 유발한다는 편견을 갖고 있습니다. 더불어, 다른 한가지는 아직 매력적인 서평/비평을 읽지 못했다는 것이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