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재의 사막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추석 연휴에 묻히게 됐지만 오늘은 9.11 테러 10주년이 되는 날이다. 미국에서 나온 관련서들이 그래도 조만간 몇권은 소개되지 않을까 싶다. 국내서로는 이슬람권 전공자들이 쓴 <이슬람>(청아출판사)이 9.11 이후 가장 큰 화제를 모았던 책으로 돼 있다. 그밖에 어떤 책들이 있는가란 기자의 질문을 받고 나도 생각나는 대로 몇권을 주워섬겼는데, '추천서'라기보다는 '관련서'로 든 것이었다. 지난주 기사를 옮겨놓는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0/1/cover150/898942277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664/38/cover150/8950921812_1.jpg)
한국일보(11. 09. 03) '추악한 전쟁' '경도와 태도' 등 읽어볼 만
"글쎄요. 아직 번역 안 된 해외서적 가운데는 읽을만한 게 더러 있긴 한데." 중동전문가인 인남식 외교안보연구원 부교수는 9ㆍ11 테러와 이후 세계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읽을만한 책을 추천해 달라는 부탁에 다소 망설이는 눈치였다. 전문가의 머릿속에 이거다 하는 책이 얼른 떠오르지 않는다는 건 그만큼 국내의 관련 도서층이 빈약하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뜸을 들인 뒤 인 교수가 추천한 책은 3권. 우선 미국 abc방송 기자 존 쿨리가 쓴 <추악한 전쟁>(이지북 발행)이다.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소련의 영향력을 제거하기 위해 지원한 이슬람 테러 조직이 결국 미국에 칼끝을 겨누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그리고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토머스 프리드먼이 쓴 <경도와 태도>(21세기북스). 9ㆍ11을 전후해 자신이 쓴 칼럼과 일기를 모은 책으로 9ㆍ11로 자살을 감행한 이들은 누구이며 이슬람 세계는 왜 이들에게 암묵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는지, 미국인들은 왜 분노의 표적이 됐는지에 대한 생각들이 펼쳐져 있다. 최근 출간된 <진리를 향한 이정표>(평사리)도 추천 목록에 들어갔다. 이슬람 과격파의 아버지로 불리는 사이드 쿠틉이 옥중 집필한 책으로 이슬람 원리주의의 이념 구조를 알 수 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43/71/cover150/897418544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1/4/cover150/898038245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97/79/cover150/8984987573_1.jpg)
인문학 서적을 중심으로 활발한 서평활동을 하고 있는 이현우씨는 슬라보예 지젝의 <실재의 사막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장 보드리야르의 <테러리즘의 정신>(동문선), 테리 이글턴의 <성스런 테러>(생각의나무)를 추천했다. 9ㆍ11과 테러의 이면에 도사린 철학적인 문제들을 짚어본 책들이다. 지젝의 책은 <실재계 사막으로의 환대>(인간사랑)라는 제목으로 국내 번역출간됐으나 절판된 것을 이씨 등이 새로 번역해 낼 계획이다. 지젝은 책과 같은 제목의 창비웹진 투고에서 9ㆍ11로 분명해진 것은 '이런 폭력은 텔레비전 스크린을 통해 안전한 거리에서 바라보기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던 미국이 이제 직접적으로 이런 폭력에 개입되었다는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7/29/cover150/893647077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4/54/cover150/898899624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288/3/cover150/8964620151_1.jpg)
이슬람 역사서로는 정수일 전 단국대 교수가 쓴 <이슬람문명>(창비), 레바논계 프랑스 소설가 아민 말루프의 <아랍인의 눈으로 본 십자군 전쟁>(아침이슬) 정도가 많이 읽혔다. 최근 출간된 미국 저술가 타밈 안사리의 <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뿌리와이파리)도 반응이 좋다.(김범수기자)
11. 09. 11.
![](http://images.betterworldbooks.com/185/Welcome-to-the-Desert-of-the-Real-Zizek-Slavoj-9781859844212.jpg)
P.S. <실재의 사막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에 대해선 작년에 <로쟈와 함께 읽는 지젝> 연재를 통해 다룬 바 있는데, 내달에는 이 연재를 묶은 단행본과 함께 새로운 번역본이 출간될 예정이다(나는 새 번역본 출간을 제안하고 감수를 맡았다). 나름대로 9.11 10주년의 의미를 생각해본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