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주간 기획회의(295호)에 실은 리뷰를 옮겨놓는다(이번호는 '거리로 나온 인문학'이 특집이군). 모처럼 비평집을 서평감으로 골랐는데, 번역 문제를 다룬 조재룡의 <번역의 유령들>(문학과지성사, 2011)에 대한 독후감을 간단히 적었다. 마감이 한참 지나 편집자의 애를 먹이며 쓴 기억이 난다.   

  

기획회의(11. 05. 05) 다시, 번역이 문제다

“다시 번역이 문제가 된다”를 화두로 내건 ‘비평집’을 읽었다. 불문학자 조재룡 교수의 비평집 <번역의 유령들>이다. 번역을 주제로 한 비평집이기에 ‘번역비평’이라 부름직하지만, 비평의 대상이 분명하거나 딱 떨어지는 건 아니다. 정확하게는 ‘번역’이 아니라 ‘번역의 유령들’을 상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번역의 유령이, 번역이라는 유령이 배회하고 있다.”  

이미 ‘유령’이라고 지정하고 또 명명하였기에 미리 짐작해볼 수 있지만 책에서 ‘번역이란 무엇인가’란 물음에 대한 확실하고도 확고한 대답을 찾기는 어렵다. “우리를 끊임없이 포위하고 우리의 내부로 침투하여, 이질적이건 동질적이건, 우리들의 저 관계들을 조정해나가면서 모국어의 잠재적 가능성을 일깨우는 유령”이 바로 ‘번역’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줄여서 ‘모국어의 잠재성을 일깨우는 유령’이라고 정리해볼 수 있겠지만, 당연하게도 그 형체가 손에 잡히진 않는다. 조금 더 구체적인 여정이 그려질 수 있을까. 번역의 유령이 떠돌아다니며 남겨놓은 흔적들의 여정 말이다.  

저자는 “문화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우리 국어도 번역의 혼백(魂魄)이 풀어놓은 산물”이라고 단도직입적으로 말한다. ‘구두점’의 체계적인 사용에서부터 일본식 한자어와 조선식 구어를 혼합해 최남선이 우리식 ‘에크리튀르’ 곧 서기체계를 만드는 것은 빅토르 위고나 레프 톨스토이의 작품을 우리말로 번역하면서다. “번역의 유령은 1895년 유길준의 국한문혼용체의 실험에서 1908년 최남선까지, 이어 1919년 김안서의 조어(造語) 창출과 이를 통한 시적 변용에 이르기까지” 쉼 없이 불려나온다. 저자가 일러주는 바에 따르면, 이러한 번역의 작업과 역할은 우리만의 특수한 정황이 요청한 것이 아니라 보편적인 것이다. “서양문학사를 돌이켜보면 문학장르가 탄생하는 매 시기, 번역의 유령들이 분탕질을 해댄, 바로 이 섞는다는 행위가 있었다”고 하니까.  

이제는 많이 알려진 대로, 한국 근대시의 효시로 평가되는 최남선의 「海에게서 少年에게」만 하더라도 번역의 유령이 불러낸 영감과 혼용의 결과였다. “번역이 동서양을 막론하고 창작을 추동하는 근본적인 행위이자 장르가 분화되고 새로운 유형의 문학을 촉진하는 결정적인 매개”였다는 사실에 대한 추인을 바탕으로, 한국 근대문학사는 한국 번역문학사와 분리될 수 없으며 분리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거개가 일본에서 이루어진 근대 개념어들의 번역이 수용돼 우리말로 전환되어 가는 과정에서 근대적 사유가 열렸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순수 한글’이 존재할 것이라는 막연히 추정하는 것은 환상에 불과하다. 일본의 근대가 ‘번역된 근대’였다면 우리의 근대는 ‘중역된 근대’였다.  

이러한 사실, 곧 ‘번역이라는 유령’의 존재성을 부인․부정하는 태도는 국가적․정치적․문화적 이데올로기의 산물이다. 특정한 나라의 문학과 그 문학 특유의 ‘감수성’이란 그 ‘특유’를 참칭하는 사람들에게만 특유할 뿐이라는 게 저자의 생각이다. 불문학자 황현산의 말을 인용하면, “실은 타자로 다시 일어서지 않는 주체는 주체조차도 아니다. 그것은 주체라는 공허한 메아리이며 그 그림자일 뿐이다.” 그 그림자 뒤에 버티고 서 있는 것이 그러한 이데올로기이다. 타자로 다시 일어서는 일이 ‘모국어의 감옥’을 깨뜨리는 일과 등가적이라면 그것은 달리 번역의 유령과의 조우이기도 하다. 이 유령과의 만남 이전에 주체다운 주체란 없다. ‘나는 번역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명제가 도출되는 이유다.  

번역의 유령들은 ‘언제 어디서나 동시에 존재’하기에 저자는 근대 이후를 ‘번역의 유비쿼터스 시대’라고까지 말한다. 그러한 편재적 양상 가운데에서도 특별한 관심과 주목의 대상이 되는 건 시이고 시 번역이다. 시에 대한 편애는, 하지만 임의적인 것이 아니다. 저자는 시인이야말로 가장 창조적인 번역가라고 말한다. 그리고 “시를 번역한다는 것은 시를 쓴다는 것”(앙리 메쇼닉)이라는 관점을 확장하여 “번역은 시를 시답게 구성하는 요소들, 때에 따라 한 단어가 될 수도, 텍스트 전체가 될 수도 있는 지점들로 파고들어, 그것을 읽어내고, 다시 쓰는 작업”이라고 규정한다. 그런 맥락에서는 저자는 시의 아포리아가 곧 번역의 아포리아라고 말하며, ‘번역의 눈’으로 시를 읽어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시를 읽지 못하는 사회는 시를 읽을 수 없다는 사실 앞에서 제 결함을 드러낼 수밖에 없다”고 서두에 못박아 놓고, 젊은 시인들의 ‘새로운’ 상상세계를 적극적으로 긍정하는 평문도 포함하고 있지만 이 비평집이 본격적인 시비평집은 아니다. 하지만 ‘예고편’으로서는 충분한 역할을 한다. “새로운 독자를 상정해온 젊은 시인들은, 지금, 새로운 독자를 요청해야만 하는 지점에 와 있다”란 진술에 기대 말하자면, 우리는 ‘새로운 독자’에 대한 요청을 ‘새로운 비평가’에 대한 요청으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본격적인 시비평 대신에 저자는 문학작품 속에 나타난 번역가의 모습을 추적하고 불문학자였던 평론가 김현의 번역의식과 번역론을 재평가하며 보들레르와 이상의 가상 인터뷰를 시도한다. 그와 함께 다양한 언어, 다양한 장르의 글과 이미지들을 인용하고 있는데, 개중에는 일본만화와 정훈이의 만화도 포함돼 있어서 자못 ‘심각한’ 비평담론에 숨구멍을 내준다. 남기남이 등장하는 두 컷 만화는 이런 내용이다. (소년 남기남은 어려서부터 의기총명하고) “I am a boy, 나는 오전의 소년이다.” (한심대학 영문과 강의실) “아이 애무 어 보이(I'm a boy), 나는 소년을 애무한다.” ‘독창적인’ 번역의 사례로 들고 있는 예이다. 저자의 관심영역이 얼마나 폭넓은가를 짐작하게 한다.  

대부분 출판계에 몸담고 있을 <기획회의>의 독자라면 익숙할 법한 에피소드도 한번쯤 음미해볼 만하다. 저자는 번역가의 ‘반역’을 부추기는 출판사의 행태를 직접적인 경험담을 통해 밝혀놓고 있는데, 세계문학전집을 기획한 모 출판사 부장과의 대화 장면은 이런 식으로 진행된다. 모파상의 <여자의 일생> 번역을 맡아준 데 감사를 표하면서 아무개 부장은 번역 원고의 양을 최대 A4 120매에 맞춰주도록 부탁한다. 아무리 적어도 140매 이상은 나올 거라고 말하자 아무개 부장 왈 “필요 없는 부분은 빼버리고 중요하지 않은 내용도 삭제하면 되지 않나요?” 물론 그런 부조리한 요구를 들이민 것은 알만한 속사정 때문이다. “이게 원래 똑같은 분량의 시리즈로 구성되어야 하거든요.” 그런 요구 속에서 번역가의 존재가 사회적 차원의 ‘유령’으로 전락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그래서 다시, 번역이 문제다.  

11. 05. 10.   

P.S. 저자가 이론적 지주로 삼고 있는 학자는 앙리 메쇼닉인데(책의 한 장이 메쇼닉에 할애돼 있다), 이미 번역서와 연구서를 몇 권 출간하기도  했다. <시학을 위하여1>(새물결, 2004)가 나오다 만 것이 아쉽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1-05-11 17: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5-11 23:3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