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준만 교수의 '한국생활사' 시리즈의 첫 권으로 <영혼이라도 팔아 취직하고 싶다>(개마고원, 2010)가 출간됐다. 월간 <인물과 사상>에 연재될 때 언젠가 책으로 묶일 줄 짐작하고 있었지만, 이 시리즈가 40여권이나 기획돼 있는 줄은 몰랐다. 거의 '메가 프로젝트'다. <한국 현대사 산책>과 함께 '한국인의 모든 것'을 까발려놓겠다는 야심찬 시도가 아닌가 싶다. 까발려놓는다? 정치란 ‘그 주체들이 고급 일자리를 얻기 위한 투쟁일 뿐’이라는 그의 '냉소적 현실주의'가 이 시리즈의 밑바탕에 깔린 듯싶기 때문이다. 이념을 걷어내고 '사실'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는 그의 방대한 자료섭렵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내친 김에 동시대 한국인의 초상을 그린 몇 권의 책을 리스트로 묶으며 제목은 '이것이 한국사회다'라고 붙여놓는다...
![](http://nimg.nate.com/orgImg/dj/2010/12/18/2010121812927894.jpg)
서울신문(10. 12. 18) 승자독식 대한민국 실업탈출 아직 멀었다
‘영혼이라도 팔아 취직하고 싶다’(강준만 지음, 개마고원 펴냄)는 한동안 한국 사회문제 전반에 대한 비판적 글쓰기로 유명했던 강준만 전북대 신방과 교수의 ‘한국 생활사’ 작업이다. 강 교수의 ‘한국 생활사’는 전화, 커피, 축구, 입시, 어머니 등 일상을 주제별로 나눈 통시적 저술 작업으로 이번 주제는 제목 그대로 실업이다. ‘한국 생활사’는 전 18권인 강 교수의 ‘한국 현대사 산책’이나 전 17권인 ‘미국사 산책’보다 더 많은 40여권의 책을 예정하고 있다.
‘영혼이라도’는 해방정국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국 실업의 역사와 슬픈 구직 수난사를 살펴 실업 문제 해결이 단순히 ‘방법’이 아니라 ‘철학’과 ‘자세’에 있음을 제시한다. 왜 구직에 철학이 등장할까. 우리나라는 ‘1등만 기억하는’, 한 번 나락으로 떨어지면 끝장이라는 식의 승자독식 문화가 강고하다는 게 저자의 진단이다. 이런 문화에서 정규직-비정규직 문제나 기업형 슈퍼마켓, 이마트 피자, 롯데마트 치킨 논란에서 보듯 누군가 제아무리 ‘기막힌 방법’을 마련해도 이해당사자 모두를 만족하게 하는 해결책은 내놓기 어렵다.
따라서 저자는 실업 문제를 넓고 깊게 보기를 권한다. 실업 문제는 그 어떤 이념도 뛰어넘는 한국 사회의 근본적인 운영과 작동방식의 문제란 것이다. 기존의 좌우 이념의 틀을 벗어나 승자독식 문화의 의식과 관행을 바꾸고 공존공생의 자세를 찾지 않으면 영원히 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것이 저자의 진단이다.
일본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난 1945년 8월 15일 이후 해방정국에서 우익 청년·학생 단체가 엄청나게 많이 생겨났다. 이는 당시의 대규모 실업과 심각한 경제난 때문이란 게 강 교수의 설명이다. 청년단의 폭력 행사는 배고픔을 해결하려는 방편이었다는 것이다.
1960년대 폭발적으로 늘어난 대학생과 30%가 넘는 실업률은 4·19 혁명을 촉발시킨 요인이었다. 5·16 쿠데타 역시 주동자들의 실업 문제가 큰 원인이었다. 강 교수는 정치란 ‘그 주체들이 고급 일자리를 얻기 위한 투쟁일 뿐’이라고 단언한다. 아무리 정교한 법과 제도라도 공기업과 정부 산하단체의 보은성 ‘낙하산 인사’를 차단하기 어렵다는 게 그의 지적이다. 결국 실업을 경제적 문제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원수와도 같이 살자’는 자세를 갖춰야 “영혼이라도 팔아 취직하고 싶다!”는 절규를 해소하는 길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 책의 결론이다.(윤창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