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이 지배적인 시대라곤 하지만, 출판분야는 좀 예외적이어서 올해의 최고 베스트셀러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1Q84>(문학동네, 2010)가 될 거라는 걸 누구라도 알 수 있다. 또한 그에 버금하는 책으로 인문분야 최고의 화제작이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김영사, 2010)가 될 거라는 것도. 이미 30만부 이상 판매됐다고 하니까 아무튼 당분간 깨지기 힘든 '기록'을 세우게 될 듯하다. 이미 아는 사람은 다 알겠지만 그 샌델이 한국에 온다. 실상은 그의 두 번째 방한이지만, 베스트셀러 저자로서의 감회는 새로울 듯하다.
![](http://www.current.org/education/ed0917justice.jpg)
최근 국내 서점가에 인문서 열풍을 몰고온 '정의란 무엇인가'(김영사)의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가 5천명 한국 독자와 만난다. 아산정책연구원(원장 함재봉) 초청으로 다음주 방한하는 샌델 교수는 20일 저녁 7시 경희대 평화의 전당(4700석 규모)에서 강연을 한다. 19일 오전 10시에는 아산정책연구원에서 기자간담회도 갖는다. 20년 연속 하버드대 최고 명강의로 꼽히는 샌델 교수의 강연을 직접 들을 수 있는 기회로, 7월 26일~8월 3일까지 선착순으로 신청을 받았다.
30년간 샌델 교수가 하버드대생들에게 강의했던 '정의' 이야기를 담은 '정의란 무엇인가'는 5월 24일 출간된 후 3개월 여만에 32만부(8월 12일 기준)가 판매됐다. 한국출판인회의가 집계한 8월 둘째주 종합 베스트셀러 순위(전국 온,오프라인 서점 10곳 판매부수 종합)에서도 무라카미 하루키 장편소설 '1Q84'(문학동네) 3권에 이어 2위를 기록 중이다.(노컷뉴스)
![](http://image.aladin.co.kr/coveretc/book/cover150/893493960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723/11/cover150/0141041331_1.jpg)
첫 번째 방한시의 강연을 모은 책이 <공동체주의와 공공성>(철학과현실사, 2008)이지만 이 책은 '<정의란 무엇인가> 바람'을 전혀 타지 않았다(놀라울 정도다!). 한 문학평론가는 그래서 그의 강연 모습을 담은 표지 이미지가 오히려 샌델이란 고유명사나 그의 얼굴 사진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한 게 아닌가란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원서의 이미지와 비교하면 마케팅의 한 축으로 고려했음 직하다는 게 억지는 아니다. 그 샌델의 책이 한 권 더 나왔다. '유전학적으로 완벽해지려는 인간에 대한 반론'이 부제인 <생명의 윤리를 말하다>(동녘, 2010).
![](http://image.aladin.co.kr/product/756/41/cover/897297630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60/72/cover/067401927X_1.jpg)
이번엔 독사진이긴 하지만, 저자의 이미지를 조금 더 키웠다. 물론 강연하는 모습이고, '<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라는 사실도 부각시켰다. 책이 어떤 반응을 얻을지 궁금하다. '생명의 윤리'란 타이틀을 달고 나온 책 가운데서는 가장 많이 나갈 듯싶지만, '윤리'란 말의 '저항선'도 만만찮기 때문이다('윤리'는 '정의'와 다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14/78/cover150/899324414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46/22/cover150/897775671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9/35/cover150/8930039340_1.jpg)
개인적으론 샌델의 강연에 갈 계획이 없지만, <생명의 윤리를 말하다>는 바로 읽어볼 마음이 있다. 내가 같이 떠올린 책은 자유주의 법철학자 로널드 드워킨의 <생명의 지배영역>(이화여대출판부, 2008). 대학출판부에서 나온 책답게 <공동체주의와 공공성>보다도 덜 주목받은 책이다(이런 경우 저자의 지명도는 거의 '제로'다). 그리고 역시나 같은 '다산 기념 철학 강좌'의 초청으로 방한 강연을 했던 피터 싱어의 강연집 <이 시대에 윤리적으로 살아가기>(철학과현실사, 2008). 샌델이 2006년, 싱어가 2007년 초빙 연사였다. 싱어의 네 차례 강연은 윤리적 문제의 본질, 세계화의 윤리, 동물해방의 윤리, 생사판정과 관련한 생명윤리 등을 다루고 있다. 샌델의 <생명의 윤리를 말하다>와 초점이 겹치는 대목이 있을 듯하다.
그리고 한 권만 더하자면, 하버마스의 <인간이라는 자연의 미래>(나남, 2003). 독일 사회철학의 거장이 "'생명윤리'의 문제와 더불어 생명공학(또는 유전공학)의 발전이 제기하는 윤리적, 도덕적 문제를 심층적으로 살펴본 책"이다. 모두가 대중적으론 별로 주목받지 못한 책들인데, 샌델의 책이 이 주제의 독서경험을 확장해보도록 부추길지도 모르겠다. '마이클 샌델 붐'이란 게 있다면, 거기에서 내가 기대하고 싶은 건 그것이다...
10. 08.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