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명성이 높은 콜레주 드 프랑스의 피에르 코르볼 총장이 방한하여 국내 언론과 인터뷰를 가졌다. 미셸 푸코와 피에르 부르디외 등 명망 있는 최고의 학자들이 모두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일반 대중을 위해 강의를 한 바 있다. 조금 부럽기도 한 학제인데, 인터뷰 기사를 자료삼아 스크랩해놓는다. 현직 총장이 보는 콜레주 드 프랑스의 모습은 어떤 것인지 알 수 있다.  

 

서울신문(10. 07. 03) “대학은 서비스입니다” 

“상아탑 안에 갇힌 엘리트들만이 공유하는 지식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대중을 상대로 소통하고 새로운 지식을 나누는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학문을 연구하는 대학과 교수의 진정한 존재 가치입니다.”

프랑스 최고의 지성집단 ‘콜레주 드 프랑스’의 피에르 코르볼 총장은 2일 서울신문과의 단독인터뷰에서 고등교육 및 연구기관으로서의 대학의 의무에 대해 강조했다.

●“한국 기초학문 경시 아쉬워”
한국을 처음 찾은 코르볼 총장은 국내 대학과 연구소의 연구 열기에 놀라워하면서도, 기초학문을 경시하는 풍토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나타냈다. 그는 “유럽의 대학들은 기초부터 순차적으로 연구단계를 밟아 올라가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지만,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권 대학에서는 독창적이고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더 높이 사는 것 같다.”고 지적하고 “이런 대학 문화는 응용과학 분야에서는 두각을 나타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역효과가 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코르볼 총장은 콜레주 드 프랑스의 존재 이유를 ‘지식의 전파’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설립 당시 프랑스에는 소르본대학으로 대표되는, 바깥 세상과 철저히 격리된 ‘지식인들만의 대학’이 있었다.”면서 “이 같은 틀을 깨고 대학과 교수의 새로운 역할 모델을 만들기 위해 학교가 세워졌다.”고 설명했다. 1530년 설립된 콜레주 드 프랑스에는 인문학과 자연과학에 걸쳐 모두 52명의 석좌교수가 몸담고 있다.

●연구 성과 시민들에 강의 의무화
석좌교수들이 시민들에게 자신의 연구에 대해 공개강의를 할 의무를 지고 있는 점이 다른 대학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이다. 시민이면 누구나 강의를 들을 수 있고, 수업료도 없다. 지난해에만 무려 12만명의 시민들이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하는 강의를 들었다.  

서울신문(10. 07. 03) “교과서의 죽은 학문이 아니라 현재진행형 지식을 가르친다” 

프랑스 지성의 전당인 콜레주 드 프랑스의 피에르 코르볼 총장은 콜레주 드 프랑스가 프랑스 지성을 상징하게 된 이유로 ‘융통성과 역동성’을 꼽았다. 연구영역에 대한 제한이 없기 때문에 학문의 변화에 쉽게 적응하고 학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대중들과 끊임없이 소통하는 것이 교수들의 연구를 발전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매년 10만명이 넘는 시민들이 콜레주 드 프랑스의 강의를 듣는 것은 ‘교과서 안에 있는 죽은 지식’이 아니라 석학들이 직접 연구하고 있는 ‘현재진행형 지식’을 듣고 싶어 하는 호기심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콜레주 드 프랑스는 올해부터 한국 기초기술연구회와 함께 국제협력활성화사업을 진행한다.

●융통성·역동성이 최대 장점
→콜레주 드 프랑스가 500년 가까이 유지돼 온 비결은 어디에 있나.
-1530년 설립 당시의 정신이 아직도 유효하기 때문이다. 당시 소르본 대학을 비롯한 프랑스의 고등교육기관들은 외부로부터 철저히 닫힌 연구를 했다. 이들은 기초과학이나 언어학 등은 학문으로 인정하지도 않았고, 대중을 우매한 존재로 여겼다. 콜레주 드 프랑스는 이런 엘리트들의 인식을 깨기 위해 만들어졌고, 지금도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대중을 상대로 완전히 열려 있는 대학, 지식을 나누는 대학의 의미를 잊지 않았기 때문이다. 콜레주 드 프랑스의 강의는 공짜이고, 강의내용에 대한 저작권도 없다. 애플 앱스토어에 올려진 무료강의는 지난 한 해에만 500만시간 넘게 다운로드됐다.

●엘리트의식 깨기 위해 설립
→노벨상, 필즈메달 등의 수상 실적에서 규모가 수백배 큰 독일의 막스플랑크 연구소와 비견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연구방식에 특별한 비결이 있는가.
-융통성과 역동성을 꼽을 수 있다. 콜레주 드 프랑스의 교수들은 강의 주제를 정하는 데 있어서 외부 간섭으로부터 100% 자유롭다. 가능성만 있다면 어떤 접근방식도 용인된다는 얘기다. 이 덕분에 학문의 변화에 쉽게 적응할 수 있다. 시민과 소통해야 한다는 점도 동기부여가 된다.

●1시간 강의 최소 2주 준비
→많은 대학교수들이 강의와 연구를 병행하는 것이 어렵다고 말한다. 이 때문에 연구중심대학의 필요성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기도 하다. 콜레주 드 프랑스의 교수들은 이 같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나.
-프랑스나 미국의 다른 대학교수들도 같은 불만을 얘기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콜레주 드 프랑스는 기존 대학과 다르게 학위과정이 없다. 교수들이 그만큼 자신의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다는 얘기다. 교수들은 시민을 상대로 강의하기 위해 자신의 연구성과를 정리하고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강의 준비에는 많은 시간이 들어간다. 1시간의 강의를 위해서는 최소 2주 이상의 준비 과정이 필요하다.

→KAIST, 연세대, 이화여대 등 한국 대학을 방문했다. 어떤 인상을 받았고, 유럽 대학과는 어떤 차이가 있나.
-한국은 첫 방문인데 상당히 깊은 인상을 받았다. 연구하는 교수와 학생들의 열의는 정말 뜨거웠다. 유럽 대학과의 차이는 연구를 대하는 가치관에서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연구를 중시해온 유럽에서는 D를 가기 위해서는 순차적으로 A, B, C를 거치는 것을 당연시한다. 하지만 한국 등 아시아권의 대학들은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중시하고 위험성이 높은 연구를 즐기는 듯한 분위기가 있다.(박건형기자) 

10. 07. 03.  

P.S. 프랑스 축구는 최강의 자리는 진작에 내놓았지만, 콜레주 드 프랑스 같은 프랑스식 교육제도는 아직 세계 최강인 듯싶다. 인상적인 건 두 가지다. 이 교육기관의 가장 중요한 존재 목적이 철저하게 '지식의 전파'에 놓여 있다는 것. 때문에 모두 시민에게 개방돼 있고, 저작권도 없다. 말 그대로 지식의 '코뮤니즘'이다. 그리고 또 한 가지는 그 실제 효과. 연간 12만 명이 강의를 듣고 무료강의는 500만 시간 넘게 다운로드 됐다는 것. 우리에게 이에 견줄 만한 게 있다면 EBS 수능방송 정도가 아닐까. 혹은 EBS의 지식채널? 5분 분량의 지식을 50분, 100분 분량의 '사유'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 그것이 이제는 우리에게 필요하지 않을까. 국가는 이에 대한 관심과 의지를 갖고 있는 것인지 궁금하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aul 2010-07-04 10:18   좋아요 0 | URL
과거에 김용옥 교수의 TV 강연도 있었죠, 그 이후에 몇몇 TV 강연 프로그램들이 생겨났지만, 그때처럼 파격적인 시간대에 편성되어 이목을 집중시킨 적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혹자들은 그것을 인기에 영합하는 행위라고 비난했지만, 현장에서 느낄 수 있는 열기는
누군가를 기점으로한 "자신의 열망의 확인"에 다름아니었습니다. 모두들 김용옥이라는 한 개인의 강연을 들으러갔지만, 강연이 끝날 무렵 저마다 마음 속에 다른 열망들을 품고 있는 듯 보였으니까요. 모두 같은 생각을 했다면 끔찍 했겠죠, 오히려 중요한 것은 그 열기와 열망 자체였습니다.
앞으로 또 언제, 이 대한민국이라는 자랑스러운 나라에서 훌륭한 석학이 그처럼 대중들을 향해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강연을 하는 날이 오게될지..........

로쟈 2010-07-04 16:37   좋아요 0 | URL
그러니까 지식에 대한 사회적 '수요'는 있는 것이죠. 그걸 모른 체하는 대학과 정부가 있는 것처럼...

푸른바다 2010-07-04 19:50   좋아요 0 | URL
파리에 갔다가 콜레주 드 프랑스를 굳이 찾아 간적이 있었습니다. 문이 굳게 잠궈져 있어 안에 들어가 보지는 못했지요. 소르본 대학(지금의 파리 1대학) 뒤편과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습니다. 그 좁고 차도 별로 많이 다니지 않는 듯 보이는 길에서 바르트는 어떻게 차에 치게 되었을까 하고 잠시 생각해 봤답니다.^^

로쟈 2010-07-04 20:32   좋아요 0 | URL
그런 교육기관을 세우는 게 한국에선 불가능한 건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