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만큼이나 우중충한 기분이 계속되고 있는데, 과거 일기를 잠깐 들춰보다가 딱 10년 전 기록을 발견하고 약간의 감상에 젖는다. 우연찮게도 어제 귀가길 좌석버스에서 읽은 책이 가라타니 고진의 <정치를 말하다>(도서출판b, 2010)였는데, 10년 전에 읽던 책도 고진이었다. 그해 봄 <탐구> 시리즈를 읽었던 듯하다. 고골 작품에 대한 강의를 하게 돼 있는 일정도 얼추 비슷하다. 그러고 보면 10년간 크게 달라진 것도 없는 모양이다. 그사이에 <이것이냐 저것이냐>만 재출간됐는데, 낮에 찾아서 조금 들춰보고 싶다. 잠시 시간여행을 해본다...

00. 3. 21
고진의 책으로 <탐구2>를 읽고 있다. 에세이식이지만, 이론적인 논의라서 찬찬히 집중해서 읽어야 한다. 현대 서양철학의 중요한 주제에 대한 비서양권의 개입으로선 유례없이 탁월하다는 느낌을 준다. 김상환 교수의 리뷰는 고진의 특장과 ‘자만’을 잘 지적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그의 글은 유혹적이다. 타자와 텍스트의 바깥을 말하는 부분에서 그가 약간은 과장하고 있지 않나 하는 느낌은 갖는데, 어쨌든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서 자신만의 힘(논리)으로 밀고나가는 모습은 인상적이다.


아침신문 문학기행란에 윤대녕의 <상춘곡>이 실렸다. 읽어보진 않았지만, 선운사 동백을 다룬 작품이다. 문득 모든 일에서 떠나버리고 싶어 하루종일 아무일도 하지 않았다.
선운사 골째기로
선운사 동백꽃을 보러 갔더니
동백꽃은 아직 일러 피지 안했고
막걸리집 여자의 육자배기 가락에
작년 것만 상기도 남었습디다
그것도 목이 쉬어 남었습디다
어딘가 목이 쉬어 남아 있는 날들이 나를 어지럽게 하였다...


키에르케고르(1813-1855) 42세의 죽음. <이것이냐, 저것이냐>(1843) 30세부터 굉장한 다작, 다산성의 저자. 물론 고진의 키에르케고르 읽기에 이끌려 다시 집어들었다.
내일 강의는 고골의 <외투>이다. 딱히 더 준비할 건 없지만, 버만의 <현대성의 경험>에서 고골에 관한 장(주로 <넵스키 거리>를 다루고 있다)을 읽고, 연구서에서 부분부분, 그리고 작품을 다시 읽고 있다. 그런데 벌써 2시다. 세상이 무언가 달라졌으면 싶은데, 참...
10. 03. 21.

P.S. 오늘 아침부터 듣는 노래는 빅토르 최(키노)의 '이상한 이야기'다(http://www.youtube.com/watch?v=p8j7z1NiLmQ). 그의 노래 가운데 자주 듣지 않았던 곡들에 요즘은 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