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달 예술의전당 소식지에 실은 글을 옮겨놓는다. 안톤 체홉의 삶과 문학에 대한 짧은 소개글이다(예술의 전당은 '체호프' 대신에 '체홉'이란 표기를 쓴다). 예술의전당에서는 오는 5월 러시아의 연출가 그리고리 지차트콥스키를 초청하여 국내 배우/스태프와 함께 <벚꽃동산>을 무대에 올릴 예정이다. 체홉에 관한 기사는 그런 계기로 마련된 것이고, 이후에 작품 <벚꽃동산>과 연출가에 대한 글이 이어질 예정이다. 내가 맡은 건 아니고 이 작가 소개도 필자의 사정으로 '대타'로 쓴 것이다.
예술의전당(10년 3월호) 체홉의 삶과 문학 - 소외된 삶들의 진실을 담아내다
안톤 파블로비치 체홉은 1860년 러시아의 조그만 항구도시 타간로그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는 농노 출신이었지만 장사를 통해 부를 축적했고, 아버지도 잡화상을 운영했다. 하지만 가게가 파산하자 가족은 모스크바로 이주하게 되고 막내인 체홉은 고학으로 중학교를 마친 후 모스크바대학 의학부에 입학한다. 이후 체홉은 의대에 다니면서 가족의 생계를 꾸려가기 위해 유머 잡지들에 글을 기고하기 시작한다. 이때 쓴 콩트와 단편들로 그는 인기를 끌었고, 안토샤 체혼테 등의 필명으로 400여 편 이상의 작품을 쓴다. 대학을 졸업한 후에도 그는 개업을 하는 대신에 문학에 전력을 기울였다.
단편작가로 확고한 명성을 얻던 1890년 체호프는 사할린 섬으로 긴 여행을 떠난다. 시베리아철도가 개설되기 이전이라 마차로 시베리아를 횡단해야 하는 힘든 여정이었다. 그는 4월에 길을 떠나 7월에 사할린 섬에 도착하고 3개월간 체류하면서 당시 유형지였던 사할린 섬의 실태를 조사하고 주민들과 일일이 만나 면접카드를 만드는 작업을 한다. 이때 작성한 카드만 8,000장 이상이었다. 바닷길을 통해 다시 모스크바에 돌아온 것이 그해 12월이었고, 이후 그는 <시베리아 여행>이란 기행문과 <사할린 섬>이라는 객관적인 인류학적 보고서를 발표한다. 이 보고서는 하루키의 소설 <1Q84>에서도 언급된다.
문학사가들은 이 여행을 통해서 사회적 현실에 대한 작가의 관심이 더욱 넓어지고 깊어진 것으로 평가한다. 그의 작품에서 ‘코믹’과 ‘우수’는 여전했지만, 그것은 저울에 추를 단 것처럼 다소 무거워진 형태였다. 한 시골 자선병원 의사가 자신의 생활에 환멸을 느끼던 차에 정신병동에서 유일하게 총명한 청년을 만나 자주 대화를 나누다가 미친 걸로 간주돼 감금되고 결국은 맞아 죽은 이야기를 그린 <6호실>. 자신을 외부로부터 끊임없이 보호방어하기 위해 애쓰다가 결국은 계단에서 굴러 떨어져 허무한 죽음을 맞은 시골학교 교사를 그린 <상자 속의 사나이> 등이 그 예다.
단편소설을 꾸준히 발표했지만, 정작 체홉이 좋아하고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던 쪽은 희곡이었다. 이미 1886년에 첫 완성희곡인 <이바노프>를 썼지만, 여러 차례의 시행착오와 낙담의 시기를 거치게 되었고, 그가 극작가로서 명성을 얻게 된 것은 <갈매기>(1895)부터이다. 초연에는 실패했지만 <갈매기>는 스타니슬라프스키와 네미로비치 단첸코가 세운 모스크바예술극장에서 재공연되어 대성공을 거둔다. 새롭게 힘을 얻는 체홉은 이후에 <바냐아저씨>, <세 자매>, <벚꽃동산> 등의 걸작을 연이어 발표하고 모스크바예술극장의 무대에 올리게 된다. 이 작품들에 대해선 특히 영국의 비평가들이 열광적인 반응을 보여 체홉은는 ‘셰익스피어 이후 최고의 극작가’란 찬사를 얻는다.
흔히 체홉의 드라마에는 주제도 플롯도 사건도 없다고 한다. 그것은 주로 작품의 중심에 놓인 주제가 ‘잘난 사람들’의 이념이나 행동이 아니라 ‘못난 사람들’의 무능력과 불가피한 회한인 것과 무관하지 않다. 콩트에서 시작하여 단편과 중편을 썼지만 체홉이 장편소설로까지 자신의 집필을 발전시키지 않은 것은 장편을 지탱할 만한 이념이나 행동을 인물들에게 부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 같은 ‘설교적인’ 작가가 아니었다. 단지 세상을 관찰하고 그가 보고 느낀 것을 정확하게 기록하고자 했을 따름이다.
그러므로 체홉이 쓴 드라마들이 ‘아무런 사건도 일어나지 않는 드라마’라는 건 전혀 이상하지 않다. 그의 주인공들은 모험에 나설 만한 용기도, 여자를 꼬여낼 만한 재간도 갖고 있지 못하다. 그렇다고 사색가나 사상가도 아니다. 대학교수인 처남을 숭배하면서 25년간 뒷바라지를 하느라 ‘도스토예프스키’(잘난 소설가)도 ‘쇼펜하우어’(잘난 철학자)도 되지 못한 ‘바냐 아저씨’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체홉의 인물들은 주로 삶의 결정적인 기회들을 두 눈 다 뜨고 놓쳐버린 가련한 ‘등신들’이다. 그걸 확인한 이상 차라리 ‘자살’이라도 하면 ‘비극적’일 테지만, 이들은 다시 마음을 가라앉히고 아무런 희망 없이 담담한 회한만을 가슴에 안은 채 예전의 일상적 삶으로 되돌아간다. 그러한 인물들이 체홉이 남긴 전 작품 속에 무려 2,355명이나 등장한다. ‘러시아 전체’나 다름없는 인물 군상이다. 그러므로 작품이나 무대를 통해서 체홉을 읽고 감상하는 것은 주인공들의 나약함과 회한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일이라고도 할 수 있다.
결핵을 지병으로 앓던 체홉은 1904년 6월에 의사의 권유에 따라 독일의 바덴바일러로 연극배우인 아내 올가 크니페르와 함께 요양을 떠났다. 건강이 약간 호전되는 듯했지만, 7월 2일 새벽 갑자기 병세가 악화되어 세상을 떠났다. 샴페인을 마시고 싶다는 것이 그의 마지막 유언이었다.
10. 03. 10.
P.S. 한편, 본문에는 편집자의 자잘한 손길이 묻어있는데, '잘난 놈들' '못난 놈들'이 '잘난 사람들' '못난 사람들'로 교정된 식이다. 서두의 한 문단은 아마도 분량상 편집됐는데, 하루키와 레이몬드 카버, 그리고 체홉의 커넥션을 다룬 대목이었다.
일본작가 무라카미 하루키가 좋아하는 작가에 미국의 단편작가 레이몬드 카버가 있다. 하루키는 카버의 단편전집을 일본어로 직접 옮기고 작품해설까지 붙였다. 바로 그 카버가 “가장 위대한 단편소설 작가”라고 경탄한 이가 있으니 바로 러시아 작가 안톤 체홉이다. 그 자신이 ‘아메리칸 체홉’이라고 불리기도 했던 카버는 체홉을 자신의 모델로 삼았고, 문학적 유언이라 할 마지막 단편소설 <심부름>에는 주인공으로 등장시키기까지 했다. 신병 치료차 독일의 한 휴양도시에 갔다가 숨을 거두게 되는 체홉의 임종 장면을 다룬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