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초에 읽은 시사IN의 칼럼을 스크랩해놓는다. 고종석 한국일보 객원논설위원(직함이 좀 길다)이 '마르크스라는 유혹'에 대한 불편함을 적고 있다. 사회적 담론이 대개 그렇지만, 중요한 것은 의미론적 마르크스가 아니라 화용론적 마르크스다. '진정한 마르크스'라는 수사가 어떻게 사용되느냐는 것(나는 '마르크스의 연인들'에 대한 고종석의 비판에 공감한다). 마르크스를 지식인의 아편으로 본다는 점에서(레이몽 아롱의 말이던가) 고종석의 자유주의를 다시금 확인하게도 해주는 칼럼이다(이념적 포지션으로 보자면, 그는 진보정당을 지지하는 중도 보수이다).      

  

시사IN(09. 09. 15) 마르크스라는 유혹

‘마르크스의 거대한 귀환.’ 프랑스 시사 주간지 <누벨 옵세르바퇴르> 최근 호의 커버스토리 제목이다. 표제가 하도 거창해서 본문에 눈길을 주었는데, 별것 아니었다. 근년의 경제 위기가 다시 마르크스 붐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 자본주의 심장부인 뉴욕 월스트리트에서까지 ‘마르크스가 옳았다’는 외침이 터져나온다는 것, 이 19세기 경제학자가 예언한 ‘자본주의 체제의 필멸’을 많은 사람이 다시 떠올리고 있다는 것. 상투적 마르크스 예찬도 고명처럼 얹혀 있다. “오늘날의 세계화 시장경제를 분석할 수 있는 최량의 지적 도구들은 마르크스의 책에 있다” “돌아와요 마르크스! 사람들이 미쳤어요!”  

마르크스를 향한 이런 초혼가(招魂歌)는 지금까지 그래왔듯 앞으로도 때때로 울려 퍼질 것이다. 세계 경제가 어려울 때마다 그럴 것이고, 어렵지 않을 때라도 지식인 사회 일각에서는 무시로 그럴 것이다. 종교가 민중의 아편이라는 마르크스의 말을 어느 프랑스인이 야유의 맥락에서 비틀었듯, “마르크스주의는 지식인의 아편”이므로. 유럽만이 아니라, 한국에도 마르크스주의자를 자처하는 지식분자가 적잖다. 

그러나 가까운 앞날에 자본주의가 사멸할 것 같지는 않다. 지금의 야만스러운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가 크게 교정된다 하더라도, 우리가 숨쉬는 공기는 여전히 자본주의의 공기일 것이다. 시장경제라는 의미의 자본주의 말이다. 무엇보다도, 마르크스 예찬은 그의 이름으로 20세기의 70년간 저질러진 ‘역사의 범죄’에 눈을 감는 짓이다. 지금부터 스무 해 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면서 사회주의 체제에 금이 쩍 갔을 때, 그것을 역사의 반동이라고 말할 수는 결코 없었다. 그것은 자유와 존엄을 향한 인류의 욕망이 내딛은 거대한 발걸음이었다. 일각에서 고르바초프는 제 권력 기반인 공산당을 스스로 무너뜨린 ‘바보’로 기억되지만, 그는 더 많은 사회주의가 더 많은 억압을 뜻한다는 걸 깨닫고 용기 있게 세계사의 물줄기를 바꾼 위대한 단독자다.

물론 마르크스의 연인들은 그 이름을 때 묻은 현실사회주의와 연루시키지 않는다. 그들은 스탈린이나 마오쩌둥이, 더 근본적으로는 레닌이 구부러뜨리기 이전의 ‘진정한’ 마르크스주의를 꿈꾼다. 그러나 마르크스라는 이름을 역사적 사회주의에서 떼어놓으려는 시도는 덧없고 비겁하다. 우리에게 알려진 마르크스주의 체제는 유혈 낭자했던 역사적 사회주의 체제뿐이므로. 스탈린의 사회주의, 마오쩌둥과 엔베르 호자의 사회주의, 차우셰스쿠와 폴 포트와 김일성의 사회주의 같은 것들 말이다. 지상에 건설된 마르크스주의 체제는 이 독재자들의 체제였다. 이 학살자들이 입에 달고 살았던 마르크스가 바로 역사적 마르크스, 우리가 아는 실존인물 마르크스다. 이들에게 불려나온 마르크스 말고 다른 ‘진정한’ 마르크스 같은 것은 없다. 아니 ‘진정한’ 마르크스, ‘진정한’ 마르크스주의가 있다 하더라도, 지금의 자본주의를 지양해 이룩할 더 나은 사회에 그 이름을 갖다 쓰는 것은 부적절하다. 20세기 ‘마르크스주의 체제’가 이 이름의 함의를 거의 남김없이 빨아들였기 때문이다.

‘진정한 마르크스’라는 장신구로 치장하고 싶은 사람들
실상 마르크스의 새 연인들도 그의 부활을 실제로 바라는 것 같지는 않다. 그들 가운데 다수는, 그저 ‘진정한 마르크스’라는 때깔 좋은 장신구로 저를 치장하고 싶은 것일 게다. 그것은 이해할 만한 일이다. 그리고 가장 ‘자본주의적인’ 자본가들 처지에서도 받아들일 만한 일이다. 담론은, 그것의 ‘불온함’이 근본주의에 가까워질수록, 현실과의 접촉면을 잃어버리기 마련이니 말이다. 현실의 자본과 권력을 불안하게 하는 것은 ‘자본주의 타도’를 요구하는 근본주의적 구호가 아니다. 그들을 힘들게 하는 것은 법인세율을 조금 높이라는 요구, 서민 복지를 조금 늘리라는 요구, 노동 현장에서든 거리에서든 법정에서든 양식(良識)이 통하는 사회를 만들겠다는 연대의 움직임 같은 것이다.

용산 참사가 일어난 것이 마르크스주의 부족 때문이 아니듯, 재벌이 죄짓고도 벌받지 않는 것이, 기무사가 민간인들을 사찰하는 것이, 평화 시위가 공적 폭력에 노출되는 것이 마르크스주의가 모자라서는 아니다. 심지어 실업자와 비정규 노동자가 늘어나고 사회 양극화가 심해지는 것조차 마르크스주의 부족 때문은 아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마르크스주의가 아니라 자유와 평등과 연대를 향한 한 줌의 정치적 욕망, 한 줌의 정의감, 한 줌의 시민적 양식이다.(고종석_한국일보 객원 논설위원) 

09. 09. 17. 

P.S. 내가 전적으로 동의하는 것은 "마르크스라는 이름을 역사적 사회주의에서 떼어놓으려는 시도"에 대한 비판이다. 그리고 국가의 야만적인 폭력이란 관점에서 보자면, 용산 참사와 민간인 사찰과 공적 폭력의 남용은 그 '역사적 사회주의'와 그리 먼 거리에 있지 않다. 박정희식 계획경제가 스탈린식 계획경제와 먼 거리에 있지 않았던 것처럼. '마르크스'에 대한 호명이 필요한 것은 거꾸로 그런 이유 때문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우리에겐 '진정한 마르크스'가 아니라 그냥 '마르크스'가 필요하다. 마르크스에 대항하는 마르크스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외투 2009-09-17 20:45   좋아요 0 | URL
식물이나 동물이나 독은 필요합니다.
상대를 치유하는 약으로도 가능하니까요.

로쟈 2009-09-19 09:06   좋아요 0 | URL
상처를 입힌 화살만이 상처를 치유할 수 있다고 하지요...

philocinema 2009-09-17 22:56   좋아요 0 | URL
'지식인의 아편'이라는 말에 동감합니다.
실천도 못하면서 늘 머릿속에서나 말로만 평등, 분배, 정의등을 반복하는
저의 모습을 돌아보게 합니다.


로쟈 2009-09-19 09:08   좋아요 0 | URL
지젝이 반복적으로 주장해온 것이기도 합니다. 진보 담론이 오히려 진보의 장애물로 기능한다는. 자유에 대한 담론이 오히려 자유의 신장에 장애가 되는 것처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