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한겨레21에 실린 신형철 평론가의 '시 읽어주는 남자' 꼭지를 옮겨놓는다. 어제 검찰의 '박연차 게이트' 수사결과 발표가 있었는데, 역시나 기대할 것 없는 용두사미였다(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60233.html). 민주주의 위기에 대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우려성 발언에 "김대중씨도 자살하라"는 말이 오고가는 게 현 정부와 그 겁없는 지지자들의 수준이다. 무얼 상상하든 그 이하를 보여준다. “그 밤을 생각하면/ 눈물이 나는 시간이 올 것이다.”는 시구절을 읽으며, 버린 눈을 씻는다.    

» 1990년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당시 김영삼 민주당 총재의 3당 통합 연설 중 항의하고 있다.  

한겨레21(09. 06. 12) 그가 남몰래 울던 밤을 기억하라 

순결하고 아름다운 말들이 이미 많아서 누추한 말 보태기가 버겁다. 그러나 아니 할 수가 없다. 고인을 ‘미화’하지 말라고 냉소적인 태도를 취하는 이들이 있다. 미화는, 없는 아름다움을 인위적으로 부여하는 일이지만, 고인은 충분히 아름다운 사람이었다. 가장 아름다운 부분으로 고인을 기억하고 추모하려는 마음들은 이해할 만한 마음들이다. 고인의 잘잘못을 냉철하게 따지지 않고서는 고인을 추모하지 못하는 이들도 있다. 일정 부분 업적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잘못을 범했으니 무작정 감상에 젖지들 말라고 그들은 말한다. 그들이 옳다. 그들은 늘 옳다. 그래서 싫다. 그저 내가 아는 바와 믿는 바를 쓰겠다.  

고졸 출신 변호사가 민주화운동에 뛰어들었고, 정치판에 나가 자신을 내던져가며 지역구도와 싸웠고, 마침내 대통령이 되어 권위주의 시대의 잔재들과 싸웠고, 권력을 국민에게 넘겨주고 권위마저 잃어버려서는, 그를 비판할 자격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비판을 모조리 감내하면서 고향으로 돌아갔고, 자신이 지켜온 가치가 무너지자 뒷산 바위에서 뛰어내렸다. 그는 어느 순간 자신이 살아야 할 삶이 무엇인지 알게 되어 그렇게 살았고, 자신이 어떤 방식으로 죽어야 하는지를 마침내 알게 되어 그렇게 죽었다. 나는 늘 문학은 ‘성공’을 찬미하는 세계에 맞서 ‘몰락’의 의미를 사유하는 작업이라고 믿어왔다. 바로 그런 의미에서, 인간 노무현의 몰락이 내게는 견디기 힘들 정도로 문학적이다.

죽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대개의 인간에게는 그의 삶을 떠받치는 척추 같은 것이 있다. 고인의 그것은 ‘깨끗함’이었을 것이다. 권력은, 한 인간이 가장 소중하게 지켜온 가치, 바로 그 척추를 하나씩 부러뜨렸다. 뜻을 함께했던 동지들을 잡아들였고 가족들을 소환해 목을 졸랐다. 가족과 측근이 돈을 받은 사실을 뒤늦게 알았다는 그의 말을 나는 믿는다. 억울함과 죄책감이 동시에 목을 조였을 것이다. 억울함을 해소하려면 주변이 고통받는 것을 묵인해야만 했고, 죄책감을 덜려면 하지 않은 일을 했다고 말해야 했을 것이다. 진퇴양난이었을 것이다. 억울함과 죄책감을 동시에 해결하는 길은 자살뿐이라고, 5월23일 새벽에 그는 생각했을 것이다. 그 밤이 나는 아프다.

“아마 그는 그 밤에 아무도 몰래 울곤 했을 것이다/ 어느 시인은 세상에 어느 누구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고 말했지만/ 세상은 이제 그가 조용히 울던 그 밤을 기억하려 한다// 어둠 속에서 조용히 흐느껴본 자들은 안다/ 자신이 지금 울면서 배웅하고 있는 것은/ 아무도 보지 못하는/ 자신의 울음이라는 사실을/ 이 울음으로/ 나는 지금 어딘가에서 내 눈 속을 들여다보는 자들의 밤을/ 마중 나가고 있다고// 그리고 나는 아주 오랫동안/ 이 밤을 기억하기 위해 애쓰고 있을 것이라고.” 시인 김경주가 네이버 ‘문학동네’ 카페에 발표한 추모시 ‘그가 남몰래 울던 밤을 기억하라’의 전반부다. 이 시는 이렇게 끝난다. “그 밤을 생각하면/ 눈물이 나는 시간이 올 것이다.”

아마 많이들 그러했으리라. 5월23일 저녁이 되어서야 갑자기 눈물이 흘러내렸다. ‘왜 그는 죽을 수밖에 없었을까’를 생각하다가 ‘누가 그를 죽였을까’로 생각이 바뀌면서였다. 비열한 권력과 그 하수인들이 견딜 수 없이 혐오스러워서, 그들 밑에서 백성 노릇 하는 일이 수치스럽고 서러워서 울었다. 그날 내가 마음속으로 조문한 것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아니었다. 누군가를 욕할 자격이 내게 있는지 모르겠으나 무릅쓰고 말하거니와, 그날 죽은 것은 머리가 없는 이명박 정부와 영혼이 없는 검찰과 심장이 없는 언론이다. 그날 하루 동안, 나는 그들을 내 안에 잔혹하게 장사 지냈고 조문하지 않았다. 역사가 그들을 부관하고 참시할 것이다. 이제는 우리 각자가 하나씩의 정부, 하나씩의 검찰, 하나씩의 언론이 되어야만 하나.(신형철 문학평론가) 

09. 06. 13. 

P.S. 후렴 삼아 적어둔다. "그날 죽은 것은 머리가 없는 이명박 정부와 영혼이 없는 검찰과 심장이 없는 언론이다. 그날 하루 동안, 나는 그들을 내 안에 잔혹하게 장사 지냈고 조문하지 않았다. 역사가 그들을 부관하고 참시할 것이다." 그때까지는 다들 살아남아야겠다...


댓글(6) 먼댓글(1)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할 일
    from 실낱처럼 2009-06-14 00:45 
    김대중도 자살하라는 막말이 오고 가는 시절. 68 혁명과 6.10 항쟁을 기억하며 6.9 작가선언을 해야 하는 시절. 나 먹고 사는것도 급급한 세월이지만 이 땅이 창피하고 속상해서 도저히 못 살겠다고 웅얼거리고야 마는 순간들. 그럼에도 살아 남아야 한다고, 언젠가 역사가 부관, 참시할 때 함께 해야 한단다. 내가 무얼 알겠는가. 내가 아는 정치
 
 
2009-06-13 22: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6-14 11: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6-14 00: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6-14 11: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람혼 2009-06-14 0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번호 이 '시 읽어주는 남자' 꼭지를 종이잡지로 읽고 나서, 이건 지금까지 <한겨레 21>에 실린 신형철의 원고 중 나름 '절창'에 해당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후배의 자격으로 형철 선배께 감사의 문자 메시지까지 보냈더랬습니다. 저도 저 '후렴구'를 몇 번이나 되뇌어 보았답니다... 꼭 살아남아서 저 역사의 부관 참시에, 참관인의 자격으로나 집도의의 자격으로나, 반드시 참석하고 싶어졌습니다.

로쟈 2009-06-14 11:22   좋아요 0 | URL
네, 저는 잡지가 안 와서 늦게야 읽었습니다. '집도의' 람혼님의 역할도 기대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