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 테일러의 영화 <지젝!>에 나오는 한 강연에서 대표적인 데리다주의자로 지젝이 거명하는 이름이 '아비탈 로넬'이었다. 그때 잠시 이 여성 철학자에게 흥미를 가진 적이 있는데, 마침 '해체론의 후계자'로 로넬의 철학을 소개하는 기사가 눈에 띄기에 옮겨놓는다. 기사 덕분에 야코프 타우베스에게서 수학했다는 사실도 이번에 알게 됐다.
교수신문(09. 04. 13) 해외 학자_해체론의 후계자 아비탈 로넬 뉴욕대 교수
아비탈 로넬(Ronell, Avital: 1952- )은 체코 프라하에서 태어나 독일 베를린자유대학에서 유대학자이자 저명한 종교철학자였던 야코프 타우베스에게 수학했다. 미국 프린스턴대학에서 괴테, 휠덜린, 카프카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파리에서 "해체주의"의 아버지라 불리는 쟈크 데리다, 그리고 뤼스 이리가레이, 쥴리아 크리스테바와 함께 현대 프랑스 페미니즘의 큰 축을 이루는 엘렌 씨수등과 공부하였다. 현재는 뉴욕대학에서 독문학과 비교문학을 가르치고 있고, 스위스의European Graduate School의 철학과 교수로도 재직중이다. 2004년 데리다가 타계하기 직전까지 뉴욕대에서 우정, 환대, 용서, 괴물등의 주제로 매해 가을 대학원 세미나를 함께 강의하기도 하였다. 대표적인 저서로 『받아쓰기(Dictations)』(1986), 『전화수첩(The Telephone Book)』(1989), 『마약전쟁(Crack Wars)』 (1992), 『어리석음(Stupidity)』(2003), 『테스트욕동(The Test Drive)』(2005) 등이 있다.
글쓰기의 기원으로서 타자
칸트에서, 프로이드, 니체, 하이데거, 레비나스, 블랑쇼, 데리다, 라쿠-라바르트와 들뢰즈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워즈워드, 도스토예프스키, 클라이스트, 뮤질, 괴테, 플로베르, 카프카까지, 또한 텔레비젼, 전화, 가상현실, 정신분열증, 걸프전, 오페라, 후천성면역결핍증, 마약중독, 트라우마, 소문, 무지함, 공권력 등 아비탈 로넬은 특유의 거침없고 신랄한 문체로 서양철학과 문학, 문화이론, 고급문화와 대중문화를 종횡무진한다. 우리에게 이미 익숙한 영역과 요소들을 천착하며, 인위적인 경계를 넘고 닫힌 뚜껑을 열고 상식을 의심하고 정돈된 명제들을 휘저어 놓는다. 걸러지지 않은 듯한 거리의 언어, 그 거칠음, 무모함, 대범함이 문헌 (혹은 쟁점)에 대한 숨막힐 정도의 미시적 엄밀성과 이성의 변두리에 대한 무르익은 윤리적 성찰, 그리고 섬세한 여성적 감성과 함께 묘하게 어우러져 있다.
그러나 펜을 든 그의 손을 움직이는 것, 이 아름답고 힘있고 거침없는 글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로넬 자신이 아니다. 무엇인가가 뒤에서 그를 원격조정한다. "유령에 홀린 글쓰기," "몽환적 글쓰기," 혹은 "수동적 글쓰기" (받아쓰기, 립씽크, 윤리적 채무관계, 부름에의 부응, 볼모 등으로 표현되는) 라고 스스로도 말하고 있지만, 이 수동적이고 비자발적인 글쓰기를 조정하고 있는 그 힘이 정확히 어디에서 기인하는 것인지는 로넬 자신도 알지 못한다. 개념화 할 수도 개념화 하고자 하지도 않는다.
그 힘의 기원을 "타자"라고 한다면, 그에게 글쓰기란 언어를 읽어버린, 혹은 언어 밖에 있는-그러나 끊임없이 말하기를 갈망하는- "타자"를 위하여 자기 손을, 자기 몸을 빌려주는 행위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로넬의 글들에는 "왜 나는 내가 쓰고 있는 이것을 쓸 수 밖에 없는지"에 대한 성찰과 고뇌가 밑바닥에 깔려있다. (글쓰기의) 주체가 생성되기 이전, 자아가 이루어지기 이전부터 자아에 각인되어 있는 타인의 흔적에 대한 채무의 이행이든, 그 희미한 기억에 대한 집착이든, 욕망이든, 어쨌든 그는 호텔 프론트의 전화 교환원처럼 리셉션 데스트에 앉아 걸려오는 전화를 받고, 그의 귀에 들리는 소리를 받아쓴다.
결정되지 않은 한계의 순간
서양문화의 근간을 이루는 이성적 사고가 그 체계 유지를 위하여 심혈을 기울여 은폐하고 망각해 온, 끊임없이 철학의 주변으로, 이성의 뒤꼍으로 배재해 온 그 "것"이 로넬의 철학적 사고가 향하고 있는 곳이다. 망각되고 배재되고 지워지는 과정에서 그 저항의 손톱 자국이라도체제 안에 각인되어 있을 것이며, 그 사유되지는 않지만 어떤 식으로든 각인 (inscribed, written) 되어있는 그 변형과 소멸, 왜곡과 망각의 흔적을 문헌에서 찾아 읽는 것, 그것이 로넬의 해체철학이 실천하고 있는 것이다.
손에 잡히지 않고, 설명하거나 개념으로 가둘 수 없지만, 결코 아무것도 아닌 것은 아닌 - 유령과도 같이 - 그것, 즉 단일자 (singularities)에 대한 긍정과 celebration에 로넬철학의 핵심이 있다. 해체는 결코 존재하고 있는 모든 것에 대한 테러리스트적 파괴가 아니다. 부정을 위한 부정도, 냉소적 허무주의도 아니다. 해체는 가혹하리만치 세밀한 문헌분석과, 타자, 단일자, 혹은 ‘유령’의 부름에 응하는 진실하고 엄밀한 글쓰기, 그리고 익숙한 사유체계의 뼈대가 드러날 때까지 확신하고 있는 모든 것을 끝까지 몰아 부치는 의심과 회의이다. 목소리를 빼앗긴 자들의 소리 없는 비명과 눈물 (로넬은 이를 "ethical scream"이라고 말한다), 쉽게 개념화 할 수 없는 내 몸에 난 타자의 흔적, 역사의 결에 거꾸로 난 손톱 자국… 로넬의 철학은 그것들을 향해있지만, 굳이 그것을 설명하고 정리하고 이해하려고 하지 않는다.
언어가 목젓까지 올라왔다가 나오지 못하고 목에 걸려버리는 그 순간, 그의 펜은 그곳에 머문다. 이것이 한계인지 미래를 향해 열려있는 가능성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우리의 몫일 것이다. 단 하나, 확실한 것은 그의 언어 속에서 철학은 끊임없이 그리고 가차없이 흐트러지고 다시 흐르고 있다는 점이다.
아비탈 로넬을 다룬 영화로 로넬 외에 슬라보이 지젝, 쥬디스 버틀러, 마사 누스바움, 코넬 웨스트 등 동시대를 사는 흥미로운 서양 철학자 8인을 담은 아스트라 테일러 (Astra Taylor) 감독의 <음미되어진 삶: Examined Life> (2008)가 있다. 또한 로넬의 <전화수첩 The Telephone Book>에서 영감을 받아 아리아나 레인즈 (Ariana Reines)가 각본을 쓴 연극 <전화: Telephone>가 현재 뉴욕의 Cherry Lane Theatre에서 상연 중이다.(장지은 뉴욕대 박사과정)
09. 04. 14.
P.S. '어리석음'에 대한 로넬의 연속 강의 동영상은 http://www.youtube.com/watch?v=SaP6rRor32Q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