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것은 미술이 아니다 - 미술에 대한 오래된 편견과 신화 뒤집기 Beliving is seeing
메리 앤 스타니스제프스키 지음, 박이소 옮김 / 현실문화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오래전에 사둔 책을 불쑥 끄집어 내어 뒤적거린다, <이것은 미술이 아니다>. 원제는 <믿는 것이 보는 것이다>인데, 이것은 아사 버거의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를 뒤집은 것이다. 믿는 것(believing)이란 우리가 가진 고정관념과 선입견이고, 그걸 가능하게 하는 인식틀이자 제도이며, 이데올로기이다. 저자 스타니젭스키는 우리가 보기(seeing) 전에 이미 작용하고 있는 믿음(beleing)들에 대해서 폭로하고자 한다.
사실 번역서의 제목인 <이것은 미술이 아니다> 또한 이런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르네 마그리트의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와 같은 제목의 푸코의 마그리트론을 패러디한 것인데, 마그리트/푸코가 문제삼은 것 또한 이미지와 재현 사이의 불일치이기 때문이다. 그것들 사이의 자연스러운 일치를 가정하는 것이 바로 우리의 선입견이자 이데올로기가 아닌가!
지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당수의 도판을 통해서(도판이 흑백이란 것이 좀 아쉽다) 저자가 입증하고자 하는 것은 비교적 간명하다: '우리가 아는 미술은 상대저으로 최근에 나타난 현상으로, 미술관에 전시되고, 박물관에 보존되며, 수집가들이 구매하고, 대중매체 내에서 복제되는 그 무엇이다. 미술가가 미술작품을 창조한다 하더라도 그 자체로서는 아무런 소용이나 가치가 없다. 그러나 이 미술작품들은 미술의 여러 제도들 내로 순환하면서 비로소... 깊은 의미와 중요성을 획득하고 그 가치가 증폭된다.'(38쪽)
이러한 주장을 저자는 논증한다기보다는 많은 사례들을 동원해 암시하고 있는데, 가령 마르셀 뒤샹이 화장실 변기를 미술 전시회의 좌대 위에 올려놓고 <샘>이라고 명명함으로써 변기를 미술로 바꾼 것은 미술사가들이 25,000년 전의 인물상을 박물관에 전시하여 <비너스>라 명명한 것(빌렌도르프의 비너스)과 마찬가지라고 지적하는 대목들이 그렇다(41쪽).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보다 본격적인 본론을 아직 남겨놓고 있다. 좀더 빽빽하고 무게 있는 책이 기다려진다.
존 버거의 <이미지>(원제는 <보는 방법>)과 함께(버거의 책도 아쉽지만 흑백 도판이다) 미술에 대한 유용한 입문서인 이 책에서 저자가 도달하는 결론. '미술은 근대-지난 200년간-의 발명품이다'(38쪽) 여기서 미술을 '인간'으로 바꾸면, <말과 사물>에서 푸코가 도달하고 있는 결론과 동일하다. 즉, 거꾸로 말하면 이 책은 일종의 미술(개념)의 고고학인 것이다. 하여간에 그런 저자의 도발적인 문구, 혹은 곰브리치의 '미술이란 존재하지 않고, 다만 미술가만이 있을 뿐이다.'란 문구로 우리의 미술 교과서가 시작된다면 얼마나 멋질 것인가! 존재하지 않는 미술을 배우며, 또 미술의 얼굴이 바닷물에 씻겨져 가는 걸 보며 싱긋이 미소지을 수 있을 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