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일 끝물에 건진 책은 로레타 나폴레오니의 <적과의 동침>(웅진윙스, 2009)이다. 부제가 '자본주의와 세계화가 잉태한 악당 경제학, 그 실체를 파헤치다'. '악당 경제학'이 주제라면, '파헤치다'는 저자의 방법론이 되겠다. 서점에서 잠깐 봤을 때는 그다지 흥미를 끌지 않았는데(두껍기도 하고), 저자의 전작이 테러의 경제를 다룬 <모던 지하드>(시대의창, 2004)란 걸 알게 되니까 뭔가 그림이 그려진다(<모던 지하드>는 생소한 책인데, 내게 생소한 책의 8할은 2004년에 나온 것들이다).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겸 저널리스트만이 쓸 수 있는 책이란 생각도 들고.


세계일보(09. 03. 07) 세계 구해 낼 ‘경제적 종족주의’
“우리는 행복을 이루기 위한 방편으로 악당과 손잡았고 그들의 논리에 따라 살고 있다. 지구상에 노예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착각, 공산주의와 자본주의의 첨예한 대립, 모기지론으로 멋진 집을 사고 펀드로 금세 메울 수 있을 거란 세계인의 망상, 저지방 식품이 날씬한 몸매를 가져다 줄 것이라는 기대, 은행과 신용카드가 나의 삶을 윤택하게 만들어줄 거라는 믿음, 콩고 아이들의 피가 어린 반지로 백년해로를 약속하는 커플들…. 이렇게 아이로니컬한 모든 상황은 우리가 ‘악당’과 ‘동침’하고 있는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마치 영화 제목 같은 ‘적과의 동침’은 세계경제를 흔드는 ‘악당’의 존재를 이렇게 폭로하며 나름의 대안을 모색하는 책이다. 국제 돈세탁과 테러자금에 관한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는 여성 언론인인 저자가 말하는 악당은 세계를 풍요하게 하는 경제활동의 이면에 숨은 부정적인 그림자를 일컫는다. 이를테면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사태, 기업화되는 성매매, 중국의 짝퉁산업, 아프리카 노동력을 착취하는 다국적기업 등으로 모두 ‘악당 경제학’을 만들어내는 공범들이다.
문제는 대안. 저자는 현재의 경제 모순과 끝없는 불황의 해결책으로 두 차례 석유파동과 2000년대 아시아 금융위기를 넘어 세계 금융 강자로 부상한 ‘이슬람 금융’을 제시한다. 이슬람 금융은 돈을 생산적인 수단으로만 이용하고 투기를 금하고 있어서 자산을 약탈해 현금을 부풀리는 헤지펀드, 사모펀드, 파생금융상품 등을 발붙이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나아가 ‘악당 경제학’이 범람하는 세계를 구해낼 대안으로 ‘경제적 종족주의’를 제안한다. 경제적 종족주의는 이슬람 금융처럼 국가나 종족 또는 종교적 연대를 통한 긍정적 결속력으로 세계경제가 가진 고질병을 치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대안 없이 우왕좌왕하는 전무후무한 세계 경제 위기를 맞아 귀 기울여지는 신선한 제안이다.(조정진 기자)


경향신문(04. 06. 19) 모던 지하드; 테러, 그 보이지 않는 경제
‘테러’만큼 논란을 일으키는 용어는 많지 않다. 정의도 천차만별이고 테러행위에 대한 반응도 제각각이다. 유럽의 경제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인종, 종교, 정치적 성격 등을 배제한 채 경제적 관점에서 테러를 분석하고 있다.
현대적 테러는 냉전이 출발선이다. 1980년대 미국은 니카라과에서 좌파혁명이 일어나자 이웃국가인 엘살바도르에 경제지원을 한다. 소련은 이에 맞서 쿠바와 니카라과를 통해 엘살바도르의 공산게릴라에게 자금과 무기를 제공했다. 미국과 소련의 이런 식의 테러지원은 인도차이나, 중동, 동유럽 등 곳곳에서 일어났다. 테러단체들은 국가형태로까지 발전했다. 중동에는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하마스가 있고 중남미에는 각국 정부의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곳마다 게릴라 단체가 있다.
저자는 테러 네트워크를 움직이는 돈줄을 추적하면서 동시에 미국이 경제적 이익을 위해 어떻게 테러를 부추기는지도 자세히 들추고 있다. 그러나 이슬람 금융세력이 막대한 경제력으로 알바니아와 인도네시아를 이슬람으로 포섭했다고 주장하는 등 서구인들이 흔히 가지는 편견까지도 드러내놓고 있다.(박성휴기자)
09. 03. 08.


P.S. 참고로, '악당 경제학(rogue economics)'처럼 'rogue'를 제목으로 달고 있는 책은 여러 권이다. 주로 '국가'나 '정권'을 수식하는 말로 쓰이는데, '불량국가' '깡패국가' '불량정권' 등이 그 예다. 데리다의 정치철학 에세이 <불량배들>도 영어의 'rogue'를 불어로 옮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