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신간들 가운데 내가 입수한 책은 케이트 밀렛의 <성 정치학>(이후, 2009), <뉴레프트 리뷰>(길, 2009), 베블런의 <자본의 본성에 관하여>(책세상, 2009), 바우만의 <유동하는 공포>(산책자, 2009) 등이다. 이순예의 <예술, 서구를 만들다>(인물과사상사, 2009)는 리뷰를 읽고서 구입하기로 했다. 유종호 교수의 '회상 에세이' <그 겨울 그리고 가을: 나의 1951년>(현대문학사, 2009)은 나중에 <나의 해방전후>(민음사, 2004)와 같이 도서관에서 대출해서 읽기로 했다. 이런 것이 신간에 대한 이 주의 '정산'이다.   

아쉬운 것은 언론 리뷰에서 내가 챙기지 못한 새로운 책을 발견하지 못한 점. 오히려 로널드 드워킨의 <생명의 지배영역>(이대출판부, 2008)과 하버마스의 <진리와 정당화>(나남, 2008)는 '학술서'로 분류되는 탓인지 마땅한 리뷰가 눈에 띄지 않는다(<진리와 정당화>는 <인식과 관심>의 속편이라는데, <인식과 관심>은 언제 재번역되는 것일까?). 사실 이전 페이퍼의 소재인 <자본의 본성에 관하여>에 대한 리뷰도 없었다. '권력으로서의 자본'이란 그의 이론 때문에 생각난 책은 지난달에 나온 <달러>(AK, 2009). '사악한 화폐의 탄생과 금융 몰락의 진실'이 부제이고, 원제는 'The Web of Debt'(빚의 거미줄). 베르나르 리에테르(전 유럽중앙은행장)에 따르면 "이 책을 읽으면 우리 금융 시장에서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해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왜 그런 정보가 필요한가? 이런 걸 학교에서 배우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일보(09. 01. 24) '사악한 화폐' 달러, 왜 금융 몰락의 주범 됐나 

아시아가 1997년 금융위기로 초토화되자 한국을 비롯해 '아시아의 호랑이'로 불렸던 이 지역의 신흥공업국들은 하루아침에 국제적인 말썽쟁이로 전락했다. 위기의 책임은 전적으로 말썽쟁이가 져야 했다. 부패한 경제시스템, 무능한 정치와 관료, 무모한 기업경영이 몰매를 맞았다. 돌에 걸려 넘어져 코가 깨진 어린아이에게 정신을 어디 두고 다니는 거냐며 회초리로 때리고 굶기는 식이었다.

하지만 아시아에 이어 러시아가 무너지고, 마침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말썽쟁이 아시아를 훈계했던 미국까지 경제위기에 몰리자, 끝없이 되풀이되는 국제 금융위기의 원인을 보는 시각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사악한 화폐의 탄생과 금융 몰락의 진실'을 부제로 단 <달러>(원제 'The Web of Debt')는 세계의 기축통화인 달러와 영ㆍ미식 금융시스템을 이 모든 사태의 주범이라고 주장하는 책이다.

달러가 왜 문제인가. 변호사이자 법학박사로 국제금융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면서 11권의 책을 낸 저자 엘렌 H 브라운은 달러에 대한 막연한 통념부터 뒤집는다. 저자에 따르면 세계경제의 제1 변수인 달러를 발행하는 미 연방준비은행(FRB)은 미국 정부기관이 아니라 민간법인이다. 그리고 주주로서 실질적으로 FRB를 좌우하는 세력은 유럽 최대의 금융재벌인 로스차일드 일가에 뿌리를 두고 있거나, JP모건과 록펠러 가문과 연관된 극소수의 숨어있는 자본가들이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물론 FRB가 멋대로 달러를 찍어내지는 않는다. 달러가 발행되려면 먼저 미국 정부, 즉 재무부가 정부 지불증권인 국채를 찍어 FRB에 맡기고, FRB는 그만큼의 지폐를 발행해 국채를 담보로 정부에 빌려주는 식이다. 하지만 FRB는 이 과정에서 확보한 국채를 독자적으로 시장에 풀거나 회수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달러 통화량의 목줄을 쥐게 되는 것이다.

미국 정부가 직접 달러를 찍어내도 될 것을 굳이 FRB라는 민간법인에게 국채 이자를 주면서 돈을 빌려 쓰는 일이 도대체 어떻게 정착하게 된 것일까. 또한 그렇게 함으로써 달러의 지배권을 궁극적으로 숨어있는 극소수의 자본가들에게 넘겨주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저자는 미국의 독립 이래 달러 발행권을 정부로부터 찬탈해 미국을 경제적으로 지배하려 했던 영ㆍ미 자본가들의 집요한 음모를 소개한다. 이 과정에서 맞서 싸웠던 토머스 제퍼슨, 에이브러햄 링컨, 앤드류 잭슨, 존 F 케네디 등 역대 미 대통령의 좌절과 암살도 경제음모론적인 시각으로 조명한다.

극소수의 세계 자본가들의 이해에 따라 달러가 움직이고 있는 현실 외에 저자가 주목하고 있는 금융시스템의 또 다른 맹점은 은행의 '부분준비금 제도'이다. 오늘날 대출에 대한 은행의 지불준비금은 대출 원금의 10% 정도. 이 지불준비금으로 은행은 최초의 예금 100달러로 1,000달러의 신용화폐를 팽창시킬 수 있게 된다. 저자는 현재의 금융시스템이 이같은 '뻥튀기 마술'과 이자 메커니즘을 통해 세계의 자산을 거의 무제한적으로 소수의 자본가들에게 집중시키고 있다고 고발한다.

책은 모두 6부로 구성됐다. 특히 3부에서는 달러와 영ㆍ미식 금융시스템의 계획된 공격이라는 시각에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의 금융위기를 조명하고 있다. 6부에서는 금융의 주권을 민간으로부터 국가로 복원하기 위한 현실적 대안을 모색한다. 친절한 역주나 보다 적절한 번역용어 선택 등 책에 아쉬운 부분이 없지 않지만, 내용의 흥미를 훼손할 정도는 아니다.(장인철기자) 

09. 02. 07.   

P.S. <달러>의 원서에는  '우리의 금융 시스템에 관한 충격적인 진실(The Shocking Truth About Our Money System)'이란 부제가 붙어 있다. 그런 부제가 상기시켜주는 책은 나오미 클라인의 <쇼크 독트린>(살림Biz, 2008). 그리고 아주 유익하지만 잊혀진 책으로 한스  크리스토프 빈스방어의 <부의 연금술>(플래닛미디어, 2006)가 있다. <부의 연금술>은 '괴테 경제를 말하다'가 부제인데,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파우스트>가 오늘날 중요한 경제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가 이 작품에서 경제를 일종의 연금술 과정, 즉 인조금을 만드는 일로 그리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그의 경제 사상이 이 작품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하고 있"는 책이다. 괴테가 그리고 있는 부의 연금술은 주로 <파우스트> 제2부 초반부에 등장하며 가장 덜 주목받는 대목이다(하지만 '괴테와 근대'를 이해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대목이다). 하지만, 빈스방어는 "경제의 연금술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은 현대 경제의 중요한 차원을 결코 이해할 수 없으며, 이것이 오늘날 괴테의 <파우스트>가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라고 말한다."   

 

P.S.2. 참고로, <달러>의 홈피(http://www.webofdebt.com/)에서 관련정보와 일부 원문을 읽어볼 수 있다. 저자가 동영상을 통해 직접 설명하는 책의 요지는 http://www.youtube.com/watch?v=Bn6mlgrG51I 참조.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9-02-07 22: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로쟈 2009-02-07 22:28   좋아요 0 | URL
채무자에다 노예지요.^^;

2009-02-07 22: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2-08 10: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쿠자누스 2009-03-15 15:04   좋아요 0 | URL
중앙은행이 사기업인 나라는 미국 뿐인가요?

로쟈 2009-03-15 15:49   좋아요 0 | URL
그건 잘 모르겠습니다. 드물지 않을까 싶은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