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모로 특이한 책이 출간됐다. <무감각은 범죄다>(이루, 2009). 일단 번역서가 아니라는 점. 저자인 이희원씨는 독일에서 유물론 미학을 공부하다가 페터 바이스의 <저항의 미학>이란 책("<자본론> 이후 최고의 책"이란 평도 있다고 한다)을 접하고 흠뻑 빠져서 박사학위논문을 썼다고 한다. ''저항의 미학'으로서의 성 미학'이란 부제를 보고 나는 페터 바이스 연구서 정도를 생각했는데, 그것도 아니다. <저항의 미학>에 대한 소개는 차후에 이루어질 모양이고, 이번에 나온 책은 저자의 '성 미학'이다. 그런데, 이게 또 흔하게 연상할 수 있는 '섹슈얼리티의 미학'이 아니다. 굳이 구분하자면 '섹스의 미학'이다. '대상적 활동으로서의 성행위'를 주제로 한 책이기 때문이다. 짐작에 가장 유사한 범주의 책이라면 빌헬름 라이히의 <성혁명>이나 <오르가즘의 기능> 등을 떠올리게 하는 책이다. 여하튼 '성 미학'과 '저항의 미학'을 틀거리로 한 독특한 책이다. 그런 독특한 이론적 작업으로 이종영씨의 '이행총서'와도 견주게 하는데, 왠지 <성적 지배와 그 양식들>(새물결, 2001)과 짝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책을 읽기 전 인상이 일단은 그렇고, 관련리뷰를 미리 읽어본다.
한국일보(09. 01. 10) 인간의 성행위에 깃든 저항의 미학
이 책을 소화하려면 '대상적 활동'이라는 마르크스 철학의 개념부터 이해해야 한다. 마르크스는 모든 사물은 그 자체로 독립돼 설명되지 않고, 다른 것과의 연관 관계 속에서 파악된다고 본다. 인간도 마찬가지다. 자기 바깥의 세계를 조작해 변화시키고, 그 과정에서 자기도 변화하는 관계를 통해서만 인간은 이해된다. 이 책은 그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인간의 성행위를 분석한 결과다.
저자는 이 책을 쓴 이유를 "넘쳐나는 성 담론 중에서 그 어떤 것도 '성적 존재로서의 나'를 제대로 설명해주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서문에 밝혔다. 저자에 따르면 성행위는 한 개인의 이기적 만족을 위해 상대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다. "성행위는 행위를 통해 자신을 표현할 뿐 아니라, 상대를 이해하고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노동 및 예술 활동과 마찬가지로 철저히 대상적"이라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저자는 대상적 행위로서 성행위를 규명하기 위해 '오르가즘 체험'을 분석한다. 인간의 성적 능력이 제대로 펼쳐졌을 때를 가정하고, 그때의 성감 기제가 움직이는 원리를 밝힘으로써 성행위의 철학적ㆍ미학적 의미를 추출해낸다. 빌헬름 라이히의 오르가즘 이론과 조르주 바타유의 에로티즘 이론이 동원되고, 발전적으로 해체ㆍ수용된다. 그리고 오르가즘 체험이 지닌 인성론적 함의를 구성해 간다.
대상적 활동으로서 성행위를 다루는 저자의 관점은 결국 '성행위는 능력의 문제다'라는 명제로 수렴된다. 오르가즘은 전방위적 자기실현을 위한 자기 인식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르가즘 불능은 생리적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자기를 표현하고 그럼으로써 자기를 취하는' 저항능력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 부분에서 저자의 성 담론은 저항의 미학으로 연결된다.
내밀한 영역에 감춰져 있던 감각 기제들을 현대 미학의 복잡한 이론을 거푸집 삼아 사출해 낸 결론은, 마르크스의 테제이기도 한 '인간적 감각의 회복'을 향해 간다. 저자는 자신의 고통에 견주어 남의 그것을 감지해 낼 수 있는 것이, 대상적 활동으로서 성행위를 경험해 본 이들의 공통점이라고 강조한다. 반면 성관계를 제대로 못 하는 사람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상대의 고통을 정면으로 뚫어본 경험이 없는 사람일 가능성이 크다. '감각의 기능 장애로서 무감각'을, 저자가 '범죄'라고 규정한 까닭이다.(유상호기자)
09. 01. 10.
P.S. 몇 권의 이미지를 나열했지만, 바타이유와 라이히의 책들이 <무감각은 범죄다>를 읽기 위한 '베이스'이다. 저자의 설명에 따르면, "이 책에서 전개할 성에 대한 모든 논의들에 공통적으로 깔려 있는 전제는 인간의 성적 행위는 그 핵심에서 대표적인 '대상적 활동'의 예라는 것이다. (...) 인간의 성적 능력의 변화, 발전, 쇠퇴 등은 오르가즘 이론을 통해 매우 효과적으로 설명된다. 이를 위해 대상적 활동으로서의 성 행위라는 지평 위에서 빌헬름 라이히의 오르가즘 이론과 조르주 바타유의 에로티즘 이론이 적극적으로 수용된다."(20쪽)
한편, 저자가 관심을 부추기는 페터 바이스의 <저항의 미학>은 영역본 기준으로 3권으로 구성된 방대한 분량의 '소설'이다. 아무래도 쉽게 소개될 성싶지 않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