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세밑에 나온 책 중의 하나는 <독서의 역사>(세종서적, 2000)와 <독서일기>(생각의나무, 2006)의 저자로 잘 알려진 알베르토 망구엘의 <보르헤스에게 가는 길>(산책자, 2007)이다. 찾아보니 작년초에는 <보르헤스와 불멸의 오랑우탄>(웅진지식하우스, 2007)이란 책이 출간됐었다. "보르헤스에 대한 오마주이자, 날카롭고도 엉뚱한 유머를 구사하는 문학 미스터리"라는 후자와는 달리 영어본의 제목이 'With Borges'인 전자는 말 그대로 '보르헤스와 함께 한 날들'에 대한 기록이고 증언이다(책의 부제는 '열여섯 소년, 거장 보르헤스와 함께 책을 읽다'이다). 갖고 있던 보르헤스 전기를 꼼꼼히 읽어보지 않은 탓에 망구엘이 국립도서관장 보르헤스의 '책 읽어주는 남자'였던 건 알았지만 불과 16살의 서점직원이었다는 건 이 책을 읽고 알았다. 분량이 소략해서 약간 아쉬움을 남기는 책인데, 좀더 두툼한 보르헤스 전기를 읽고 싶다는 생각은 들게 한다. 김홍근의 <보르헤스 문학전기>(솔출판사, 2005)를 어디에 두었더라... 

한국일보(08. 01. 05) 보르헤스에게 책 읽어주던 소년 老 작가의 '도서관 낙원' 엿보다

1964년 어느날 초저녁,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의 구미문학 전문서점 ‘피그말리온’에 단골인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1899~1986)가 찾아왔다. 당시 이미 세계적 명성을 얻고 있는 소설가이자, 국립도서관장이었던 보르헤스는 16세의 서점 직원인 알베르토 망구엘(1948~)에게 “저녁에 집에 와서 책을 읽어주지 않겠느냐”고 물었다.

유전적으로 약한 시력을 타고난 보르헤스는 30세 무렵부터 서서히 시력을 잃어가다가 50년대 후반엔 실명한 상태였다. 지금은 캐나다에서 손꼽히는 소설가로 활약 중인 망구엘은 문호의 청을 받아들여 일주일에 서너 번씩 4년간 보르헤스가 노모와 함께 사는 작은 아파트를 드나들었다. 이 책은 망구엘이 책을 읽어주러, 구술 작품을 받아쓰러 다니며 보고 들은 보르헤스에 관한 기록이다. 100쪽 가량의 본문 분량(남은 60여 쪽엔 보스헤스의 생애ㆍ작품 해설, 연대기, 어록이 실렸다)이 말해주듯 세세하고 정치한 기록은 아니다.

그도 그럴 것이 저자가 스페인어 원서를 출간한 것이 2004년, 그 시절을 40년쯤 흘려보내고 난 뒤다. 망구엘도 “이건 기억이 아니다. 이건 기억의 기억의 기억”이며 “기억들을 일으킨 사건들은 몇 개의 잔상, 몇 개의 낱말만을 남기고 사라졌다”고 고백한다. 크게 실망할 일은 아니다. 책 1권을 독자 100명이 읽으면 100권의 책이 탄생한다는 것이 당시로선 선구적인 보르헤스의 지론이었다. 망구엘은 작가를 두 부류, “세계를 한 권의 책에 담아내려는 작가”와 “그보다 드물기는 하지만 세계가 한 권의 책이어서 본인과 다른 이들을 위해 그 책을 읽으려는 작가”로 나누고 보르헤스는 단연 후자라고 썼다.

보르헤스는 존재와 세계를 해석의 여지가 무한히 열린 텍스트로 본 것이고, 그 점에서 이 책은 매우 보르헤스적인 보르헤스에 관한 글쓰기다. 저자는 보르헤스의 독서를 공들여 서술한다. 그는 처음 보르헤스의 서재를 봤을 때 “낙원을 도서관의 형태로 상상한다는 사람의 서재치고는” 규모가 작아 실망했다고 말한다. 낡은 책꽂이는 키플링, 스티븐슨, 체스터턴, 조이스, 오스카 와일드, 마크 트웨인 등 영미 작가 작품과 쇼펜하우어, 슈펭글러, 기번, 리하르트 마이어 등의 철학ㆍ역사서로 소박했다. 하지만 곧 노작가에게 장서의 양은 그리 중요하지 않음을 곧 깨닫는다. 스스로 ‘쓰레기 하치장’이라 부른 놀라운 기억력 덕분에 보르헤스는 언제든 필요한 구절을 읊어 인용할 수 있었다.

나아가 그는 현실의 정수가 책에 있다고 믿는 텍스트주의자였다. 그는 책을 읽고 쓰고, 책에 대해 이야기하며 “수천 년 전에 시작돼서 한 번도 끝난 적이 없는 대화를 이어가고 있음을 본능적으로 인식했다.” 그에게 역사는 바로 책이었던 셈이다. 망구엘은 책등을 쓰다듬으며 그 제목과 저자를 정확히 알아내는 보르헤스를 묘사하며 “그와 책 사이에는 생리학의 법칙으로는 가능하지 않은 어떤 관계가 존재한다”고 찬탄한다.

망구엘은 공정한 저자다. 문자를 편애한 탓에 보르헤스가 음악, 그림 등 다른 장르엔 별다른 조예가 없었음을 분명히 밝힌다. 균형 잡힌 서술 덕에 이 책은 거장의 인간적 약점을 엿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보르헤스는 자신에게 헌정하는 작품을 낭독하는 작가를 면전에서 모욕하는 심술을 부리거나, 이따금 인종차별적 발언을 쏟아내기도 했다. 반면 그는 좋아하는 사랑 노래를 듣고 싶어 여러 번이나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를 보러가자고 어린 조력꾼을 조르거나, 서부극이나 갱 영화를 보며 몰락한 영웅을 눈물로 애도하는 천진한 노인이기도 했다.

“꿈 같은 이야기를 쓰고 싶어. 시도는 해봤지. 그런데 성공한 적이 없는 것 같아”란 몽상가적 발언을 전하며 저자는 지난 세기를 풍미한 보르헤스의 환상문학의 연원을 보여준다. 라틴문학의 또다른 거장이자 절친한 친구였던 비오이 카사레스-실비나 오캄포 부부와의 유쾌한 잡담은 보르헤스가 어떤 일상에서 창작의 동력을 얻었는지를 알게 한다.(이훈성기자)

08. 01. 04.

P.S. 유튜브의 자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망구엘과 보르헤스에 관한 영상자료도 올라와 있는데(http://www.youtube.com/watch?v=QX0i5F7P2Dg) 스페인어인지라 고유명사밖에는 알아듣지 못하겠다. 'Manguel'에서 'u'가 묵음이기 때문에 '망겔'이라고 발음한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람혼 2008-01-05 01:21   좋아요 0 | URL
'Manguel'의 경우 'u'가 묵음이라기보다는 '헤'로 발음되는 것(예를 들자면, 바로 '보르헤스(Borges)'^^)과 '게'로 발음되는 것을 구분하기 위한 'u'의 사용이 아닌가 합니다. 곧 'gu'가 모음 'e' 앞에 오면 [ge] 발음이 나기 때문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또한 그래서 '멋진 오빠' Luis Miguel 또한 '미구엘'이 아니라 '미겔'인 것.^^)

로쟈 2008-01-05 01:55   좋아요 0 | URL
네 자세하게 설명해주셨네요. 이게 불어도 그렇듯이 g나 q 다음에 'i'나 'e', 'a'가 올 때 그 음가를 보전하기 위해서 사이에 'u'가 들어간다고 고등학교 때(!) 배운 것 같습니다. 최근에 나온 책을 보니 Guattari를 '구아타리'라고 표기했던데(그게 맞다면서) 맞는 건가요?..

람혼 2008-01-06 03:34   좋아요 0 | URL
'e'나 'i' 앞에서는 [g] 발음의 음가를 위해 'g' 다음에 'u'가 붙는 것은 맞는데(예를 들어 'guerre'나 'guide'의 경우), 'a' 앞에서는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ga'는 에스파냐어나 프랑스어에서 그대로 [ga]로 발음되니까요. 그렇게 본다면, 저 또한 실제로는 '관습적으로' Guattari를 '가타리'라고 발음하고 있긴 하지만,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gua-'는 [gwa-]로 발음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곧 일관된 표기법과 발음법에 따르자면 정확히는 '과타리'나 '구아타리'가 맞는 것이겠죠(개인적으로는 '과타리'라는 표기를 더 선호하게 되네요).

로쟈 2008-01-06 09:12   좋아요 0 | URL
애초에 '과타리'란 표기도 쓰였었는데, 어떻게 '가타리'로 굳어진 것인지 궁금하네요. 이 경우엔 관행을 존중해야 할지 발음을 존중해야 할지 헷갈립니다('구아타리'는 물론 오버 같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