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전 '프란츠 파농 읽기'란 리스트를 만들었는데, 오늘이 그의 기일이라고 한다. 한국일보의 '오늘의 책'에서 <대지의 저주받은 사람들>(그린비)를 다루게 된 연유이다. 우연찮게도 엊그제 책의 영역본을 도서관에서 대출했는데 타이밍을 잘 맞춘 듯하다. 파농은 개인의 행방으로서의 '존재의 탈식민화'도 역설했는데, 그런 관점에서 보자면 '탈식민화'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전략이고 당위이다.    

한국일보(오07. 12. 06) [오늘의 책<12월 6일>] 대지의 저주받은 사람들

프랑스령 서인도제도 태생의 흑인 정신과 의사로 알제리 독립투쟁을 이끈 혁명가였던 프란츠 파농이 1961년 12월 6일 36세로 사망했다. 그의 생애는 짧았지만 그 삶과 사상은 20세기 후반 세계의 민권 운동과 탈식민주의 운동, 흑인 운동의 길잡이였다.

파농, 하면 떠오르는 책은 <대지의 저주받은 사람들>(1961)이다. 한국에서는 당초 1979년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로, '사람'과 '자(者)'라는 단어 하나 차이지만 한층 선명한 제목으로, 번역됐었다. 서구 제국주의ㆍ식민주의가 제3세계에 가하는 야만적 폭력, 물리적 폭력은 물론 인간을 사물화시키는 경제적ㆍ문화적 폭력을 정신병리학자의 임상체험을 통해 고발하고 탈식민화를 위한 '정화'로서의 혁명적 폭력을 역설한 파농이즘이 담긴 이 책은 한국 젊은이들의 필독서가 됐다.

이 책에 장문의 서문을 쓴 사르트르는 "제3세계가 자신에 대해 알게 된 것도, 자신에 대해 얘기할 수 있게 된 것도 파농을 통해서였다"는 말을 남겼다. 하지만 식민지나 제3세계, 혹은 이데올로기라는 말들이 낡아빠진 것으로 여겨지는 지금, 파농이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 <대지의 저주받은 사람들> 2002년 프랑스어판 서문을 쓴 알리스 셰르키(파농과 함께 알제리 독립투쟁에 참여한 여성 정신분석학자)는 이렇게 묻고 답하고 있다. "이 책을 다시 읽어야만 하는 것일까? 이 책이 지금의 우리와 무슨 관계가 있을까?… 파농의 삶과 사상은 여전한 현재적 가치를 갖는다.

이데올로기의 몰락이라 일컬어지는 시대를 넘어서, 지금처럼 경제의 세계화와 주체의 상실이 지배하는 시대에, 젊은 시절 파농이 외친 한 마디, 요컨대 그의 사상을 실천적으로 끌어간 한 마디, '내 몸이여, 나를 언제나 의문을 품는 사람으로 만들어주오!'라는 절규는 오늘날에도 많은 젊은이들의 정신 속에서 메아리치고 있다. 언어와 출신지의 경계를 넘어서!"(하종오기자)

07. 12. 06.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인 2007-12-06 08:31   좋아요 0 | URL
전 올해 마음의 길잡이를 못 찾아 헤맬 때 파농을 다시 읽었어요. 난 알리스 셰르키의 서문은 오히려 사족이라고 봐요. 여전히 가슴 떨리는 건 파농, 그리고 사르트르죠.

로쟈 2007-12-06 12:32   좋아요 0 | URL
이런 책이 여전히 유효한 현실이 유감스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