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의 대작 <신화학> 4부작 가운데 셋째권이 번역돼 나온 걸 뒤늦게 알고 구입했다. 1권 <날 것과 익힌 것>이 2005년에 처음 번역됐고, 2권 <꿀에서 재까지>가 2008년에 나왔을 때는 '설마 완간되는 건가?' 싶었는데, 이후에 오랫동안 소식이 없어서 '결국 절반만이군'이란 느낌을 갖던 터였다. 그런데 3권 <식사예절의 기원>이 지난 여름에 번역된 것(13년만이다!).
'수집도서'로 구입은 했지만 당장 읽을 여유는 없고, 어쩌면 앞으로도 없을지 모르겠다(그래도 4권 <벌거벗은 인간>이 마저 번역된다면 당연히 구입할 예정이다). 레비스트로스의 책은, 특히 신화학은 '사유의 악보' 같아서 악보 독해력이 필요한데(그리고 그걸 즐길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런 능력을 나는 갖고 있지 않다. 게다가 더 중요하게는 그런 여유나 시간이 주어지더라도 읽어야 할 다른 책들이 많다는 것. 레비스트로의 책만 하더라도 <신화학>보다 먼저 읽어야 하는 책들이 있다. 박사학위논문인 <친족의 기본구조>(1949) 이후 그의 주저는 아래와 같다(*표시는 아직 우리말로 번역되지 않은 책).
<슬픈 열대>(1955)
<구조인류학>(1958)
<야생의 사고>(1962)
<신화학1: 날 것과 익힌 것>(1964)
<신화학2: 꿀에서 재까지>(1966)
<신화학3: 식사예절의 기원>(1968)
*<신화학4: 벌거벗은 인간>(1971)
*<구조인류학2>(1976)
레비스트로스의 얇은 책은 몇권 더 번역되었는데, 대략 이 정도가 대표작이라고 가늠하고 있다. <신화학 4부작을 한 종으로 치면 <슬픈 열대>와 <야생의 사고>, 그리고 논문집인 <구조인류학>(저2권)과 <신화학>(저4권)까지 8권. 그 가운데 기본적인 저작이 <구조인류학>인데, 유감스럽게도 절반만 번역되었고 그마저도 절판된 지 오래다(나는 책을 갖고 있지만 현재로선 찾을 수 없다). <구조인류학>을 거치지 않고 <신화학>으로 넘어가는 건 무의미하거나 불가능하다는 게 나의 판단이다. <신화학>을 미뤄놓는 이유다.

레비스트로스의 생애와 학문에 대해서는 자서전 <슬픈 열대>와 함께 인터뷰집 <레비스트로스의 말>, 절판됐지만 디디에 에리봉의 대담집 <가까이 그리고 멀리서> 등을 참고할 수 있다. 아, 강연집 <레비스트로스의 인류학 강의>도 나와있군.

오랜만에 레비스트로스에 대해 검색하다 보니 자연스레 그에게 언어학을 가르쳐준 로만 야콥슨, 그리고 그 언어학을 전수해준 자크 라캉까지 떠올리게 된다(구조주의의 탄생 장면이다). 야콥슨과 레비스트로스, 레비스트로스와 라캉도 같이 묶어서 살펴볼 수 있는 지성사의 짝이다. 관련한 책, 특히 방대한 분량의 레비스트로 평전이 영어로 번역되었기에 바로 구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