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로그인 2006-07-12  

로쟈 님, 로쟈 님.
정신분석 풋내기 입문자가 읽을만한 책이 무엇이 있을까요? 신경증이니 히스테리니 리비도니 같은 개념도 잘 모르는 상태라서요... p.s 저 혹시 홀링데일의 니체 책 읽어보셨나요? 제가 읽은 바로는 홀링데일의 니체 이해는 상당히 오해가 많은 것 같던데요. 도덕 상대론자 로서의 니체만 나와있으며 힘에의 의지라든지 영원회귀같은 개념은 죄다 설명이 빈약하거나 오해되어 있다는 판단이 들더군요. 관점주의 인식론은 아예 언급도 안 되어 있고요. 김재인 씨도 홀링데일은 학자로서는 별로라고 하시던데.
 
 
로쟈 2006-07-13 0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정신분석 전문가도 아니고 니체 전공자도 아닌데요(^^;). 저로선 막바로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같은 걸 읽어보시는 게 어떨까 싶습니다. 길들여진 정신분석을 기대하시는 게 아니라면 막바로 길들여지지 않은 정신분석과 직접 대면해보시는 게 낫지 않을까 싶네요.

홀링데일의 책은 부분적으로 읽어보았고 소장도서도 아닙니다(영어본은 어딘가 있을 텐데). 카우프만과 함께 '영역본 니체'를 대표하는 양반이니까 그런 의의 정도를 고려하면서 읽을 수 있지 않나 싶네요. 세대론적 한계 같은 것도 있을 텐데, '첨단'에 근거하여 무조건 폄하할 수도 없지 않을까요? 단점들을 들추기보다는 장점을 배우면 되는 것이죠...

비로그인 2006-07-13 12: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이라... 겁 나네요.ㅡㅡㅋ
근데 왜 이 책은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이라고 제목이 번역되어 있는지.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