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이란 제목의 소설과 상속을 주제로 다룬 법률서들이 있지만, 의외로 상속의 역사를 다룬 책은 드물다. 몇년 전의 백승종 교수의 <상속의 역사>(2018)를 서평강의에서 다루면서 든 생각인데, 그 뒤를 이을 만한 책이 나왔다. 권내현 교수의 <유유의 귀향, 조선의 상속>(너머북스)이다. 저자는 앞서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역사비평사)이라는 노작을 펴낸 바 있다. 
















"1556년 대구의 한 양반가의 가출 사건에 주목하면서 조선시대 상속의 역사를 담은 책. 소재가 된 사건은 이항복이 「유연전」이란 기록으로 남겼는데, 16세기 프랑스의 마르탱 게르 사건과 흡사하다. 균분 상속에서 장자 우대 상속으로 넘어가기 직전에 벌어진 소설보다 극적인 이 실화에는 ‘상속’을 둘러싼 당대인의 욕망과 갈등, 관습과 제도가 응축되어 있었다."
















소개에도 언급되지만 '유유의 귀향'은 영화로도 만들어진 내털리 데이비스의 역사서 <마르탱 게르의 귀향>을 상기시켜준다. 


백승종 교수의 <상속의 역사>가 전반적인 안내서 역할을 하지만 이 주제에 관해서는 좀더 묵직한 책이 소개되어도 좋겠다. 설마 드문 것일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1-07-28 16: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흔히 유교사회인 조선시대에 여성들을 많이 억압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조선 전기만 하더라도 상속의 경우 아들 딸 차별없이 균등하게 상속했따고 하더군요.다만 후기에 들어 주자중심의 성리학의 득세하면서 여성들을 차별하기 시작했다고 하더군.

로쟈 2021-07-29 20:59   좋아요 0 | URL
네, 한편으론 균등상속과 장자상속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가령 왕권이나 귀족권은 균등상속이 되지 않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