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세계문학을 주제로 한 강의를 하는데, 작품이 아니라 세계문학론을 다룰 때면 매번 어려움을 느낀다. 세계문학에 대한 정의부터 세계문학사의 전개까지 기본적으로 해명해야 할 사항들이 너무 많아서다. 그런 설명의 부담을 덜어줄 책을 몇 권 써야겠다는 생각은 그때마다 다지게 된다(올해부터도 한권 낼 계획이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842/61/cover150/8936483307_1.jpg)
당연하게도 국내외에서 관련서가 적잖게 나와 있다. 강의에서도 참고가 필요하지만 책을 내려고 한다면 자연스레 선행 저작들을 검토해보아야 한다. 내가 이 일의 견적으로 염두에 두고 있는 몇몇 저자들을 한 자리에 모으려 한다. 먼저, 국문학자로서 세계문학사에 대한 예외적인 관심을 보여준 조동일 교수의 저작들이 있다. <세계문학사의 전개>와 <세계문학사의 허실>, 그리고 <한국문학과 세계문학> 등.
세권으로 갈무리된 <소설의 사회사 비교론>도 이 주제와 관련해서는 요긴한 참고문헌이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61/65/cover150/8936463217_1.jpg)
세계문학 강의에서 '세계문학'이란 담론 자체는 창비 담론이라는 설명을 덧붙이고는 하는데(<세계문학론> 자체도 창비에서 나왔다), 거슬러 올라가면 이 담론에서 가장 많은 지분을 갖고 있는 이가 백낙청 교수다. 전체 평론집의 공통 제목(혹은 부제)인 '민족문학과 세계문학'은 말 그대로 백낙청 비평과 문학론의 화두이다.
영문학자로 다수의 번역서를 펴낸 김욱동 교수도 최근에 낸 <세계문학이란 무엇인가>를 포함하여 세계문학 수용과 번역, 그리고 비교문학에 관한 저작들을 여럿 펴냈다. 이론적으로 유익한 길잡이가 되는 건 <세계문학이란 무엇인가>이지만 여타 저서도 참고할 만하다.
또다른 영문학자로 정정호 교수도 포스트모더니즘을 포함한 비평이론과 비교세계문학론에 해당하는 저서들을 펴냈다. 필명으로 펴낸 <문학의 타작>도 관련한 주제들에 대해 폭넓게 다루고 있다.
영문학자 김용규 교수도 세계문학과 번역학에 관한 주요 논저들을 발표하고 있다. 편저인 <세계문학의 가장자리에서>는 세계문학론의 현단계를 가늠하게 해주는 앤솔로지다.
국문학 전공자이지만 외국문학 독서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는 김한식 교수의 책들도 세계문학 독서의 유익한 참고가 된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110/6/cover150/1859842240_2.jpg)
국외 학자로는 두 명만 꼽겠다. 먼저, 국내에도 잘 알려진 이탈리아 학자 프랑코 모레티. 소설론의 교과서격인 <소설1,2>의 편자이기도 하다(분량상 번역되기 어려울 듯하다). 소설론과 관련해서는 필수적인 참고서를 여러 권 썼다.
<근대의 서사시>나 교양소설론 <세상의 이치>, 그리고 초기작 <공포의 변증법> 모두,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독자들에게도 자극과 영감을 준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9820/32/cover150/1119009251_2.jpg)
그리고 아직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저자로, 세계문학사 출간과 세계문학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 학자 데이비드 담로시 교수의 책들. 세계문학 앤솔로지까지 포함하여 다수의 저작이 나와있다. 이 주제의 대학원 세미나에서라면 읽고 토론해볼 수 있는 책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