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크 랑시에르의 초기 저작이자 대표작 <프롤레타리의 밤>(문학동네)이 출간되었다. 수년 전에 영어판만 구해놓고 번역본이 나오길 기다리던 책이다. 랑시에르의 출발점이면서 그의 문제의식을 오롯하게 보여주는 저작.
"자크 랑시에르의 국가박사학위논문으로, 잘 알려져 있다시피 프랑스 68혁명을 경유하며 알튀세르와의 관계를 논쟁적으로 청산한 뒤 랑시에르가 자신의 문제의식을 첨예화한 저작이자 대문자적 주체와 그 표상에 이의를 제기한 문제작이다. 랑시에르가 문서고에서 1830~50년대 프랑스 노동자들의 저널과 일기, 편지들을 독해하며 써내려간 이 책은 노동자들의 문화사나 사회사가 아니다. 오히려 <프롤레타리아의 밤>은 노동자의 말하기가 이들의 노동 조건을 반영한다거나 어떤 동질적인 문화를 표현한다고 추론하는 역사학적 방법론에 대한 비판, 노동자의 과학임을 자처했던 당대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포함한 학문적 사유에 내재적인 분할 논리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프롤레타리아의 밤>을 기다린 건 <무지한 스승>의 원 아이디어를 담고 있다고 생각해서인데, 내가 알기로 랑시에르는 현대 정치철학자들 가운데 인민(노동자)에 대한 가장 깊은 신뢰를 보여준다. 그러한 태도가 어떤 근거에서 비롯되며 얼마나 유효한지 알고 싶은 것.


랑시에르에 대해 오랜만에 언급하다 처음 수입/수용되던 때가 생각난다. <민주주의는 왜 증오의 대상인가>의 초역본부터 번역이 매번 논란이 됐던 철학자이기도 했다. 그 이후에는 사정이 달라졌을까?(그렇지 않은 책이 여전히 많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랑시에르 수용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최정우의 두번째 책도 최근에 나왔다. <사유의 악보>(2011) 이후 9년만에 펴낸 <드물고 남루한, 헤프고 고귀한>(문학동네)이다.
"정교하고 치밀하며 음악적인 문체로 정평이 나 있는 저자는 이 책에서 용산 참사, 천안함과 세월호, 촛불 집회와 태극기 집회, 페미니즘과 그 반동, ‘한국적’ 포스트모던 담론의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장면 등 이천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정치적 풍경을 미학과 감성의 차원에서 새롭게 읽어나간다."
2010년대의 랑시에르는 들뢰즈와 지젝 등과 함께, 혹은 그 뒤를 이어서 한국 인문학과 비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철학자로 지목할 수 있는데, 최정우의 평론집도 그 사례로 읽어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