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 전에 나온 책이 있다. 김재준의 <한달 진보주의자 되기>(파레시아). '크리에이티브한 삶을 위한'이 수식어로 붙었다. '한달'은 오늘 선거일(며칠전 사전 선거일)을 염두에 둔 것이지 싶다.
첫문장과 목차만으로도 대략 어림할 수 있는 책이다. "어떻게 하면 젊어질 수 있을까? 어떻게 해야 크리에이티브한 인생을 살 수 있을까? 진보주의자가 되어 보라. 매일 진보적인 생각을 해 보라. 지금까지 오른쪽으로 떠밀려가는 삶을 살았다면 이제부터는 왼쪽으로, 더 왼쪽으로 밀고 가보자."
1. 보수는 정신적 노화다
2. 예술가는 왜 진보주의자인가?
3. 투표만으로 진보주의자가 될 수 있다
4. 진보주의자가 되는 것은 역사적 책무다
"투표만으로 진보주의자가 될 수 있다"에 해당하는 일이 자주 있지는 않은데, 오늘이 바로 그날이다(나는 지난 주말에 사전투표를 했다. 예상보다 줄이 길어서 40분만에). 이제껏 단 한차례도 '보수'에 투표한 적이 없으므로 내게는 크게 와닿지 않는 책이지만, 혹 나이가 들어가면서 자신이 점차 보수적이 되어간다고 생각되는 독자가 있다면 일독해볼만하다.
어떻게 진보주의자가 될 수 있을까? 예술을 창작하고 인문학을 공부하면 된다고 하지만,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다고 대안이 아주 없는 건 아니다.
“진보 정당에 투표하라 … 투표 한 차례로 진보주의자가 될 수 있다. 단 한 번이라도 어렵고 중요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해 본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차이는 크다. 세상을 보는 눈이 다르다. 진보 정당에 대한 투표는 간단한 행동이지만, 진보주의자가 되기 위한 가장 극단적이고 결정적인 선택이자 진보주의자로서의 첫 걸음이기도 하다.”
투표를 하고도 내친 김에 진보적 생활을 기획해보고자 하는 독자라면 저자의 조언대로 '예술하는 습관'을 시도해봄직하다. '예술적 상상력'을 연습하고, <푸코의 예술철학>도 손에 들 수 있겠다. 다음 대선때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