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간경향(1370호)에 실은 리뷰를 옮겨놓는다. 얼마 전에 언급한 바 있는 엘리자베트 바댕테르의 <잘못된 길>(필로소픽)에 대해 적었다. 

















주간경향(20. 03. 30) 두 가지 페미니즘 '성공' 비교


제목의 ‘잘못된 길’은 구체적으로 ‘페미니즘의 잘못된 길’을 뜻한다. 그렇다고 저자 바댕테르가 반페미니스트인 것은 아니다. 오히려 행동주의 페미니즘의 투사로 활약했고, <만들어진 모성>이란 책에서는 모성적 사랑을 신화적 믿음으로 신랄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페미니스트 저자가 페미니즘이 잘못된 길로 접어들었다고 비판하는 것은 복수의 페미니즘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서구를 기준으로 저자는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여성운동이 거둔 승리를 높이 평가한다. 하지만 1990년대로 접어들면서 여성운동이 미묘한 방향전환을 겪었고, 이것이 오히려 여성운동의 전진을 가로막는다는 게 저자의 판단이다. 어떤 변화이고 무엇이 문제인가.


유럽과 미국에서 여성운동은 1970년대에 본격화된다. 그것을 가능하게 한 가장 중요한 두 계기가 피임과 낙태에 대한 권리다. 피임과 낙태를 통해 여성이 생식의 조절권을 갖게 되면서 남성지배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다. 이를 바탕으로 남성에 비해 수동적인 전통적 여성상은 더 강하고 씩씩한 여성상으로 대체되었다. 남성의 영역과 여성의 영역이라는 전통적인 성 구분은 점차 경계가 지워지면서 양성평등 사회의 실현이 가시화되는 것처럼 보였다. 16세에 보부아르의 <제2의 성>을 읽고서 페미니스트가 되었다는 바댕테르 역시 이러한 시대의 공기를 호흡했다.

그런데 상황이 달라졌다. 이론적으로는 1980년대에 미국에서 새로운 유형의 여성해방운동이 대두했다. 미국의 페미니스트들은 모든 종류의 남성 폭력을 고발하면서 가부장적 남성지배에 대한 전면 투쟁을 선언했다. 급진주의 페미니즘으로 일컬어지는 이 새로운 입장의 주창자들은 주로 강간과 성희롱, 포르노를 주제로 다룬 책들을 통해서 남성의 폭력성을 부각시켰다. 그들은 여성을 남성 폭력의 희생자로 묘사하고 심지어 유대인 강제수용소의 생존자에 비유했다. 이러한 분위기에 따라 대단한 업적을 이룬 여성보다 남성 중심사회의 희생물이 된 여성에게 관심의 초점이 맞춰지게 되었다.

‘여성의 희생자화’는 새로운 연대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하지만 여성을 무능력한 피해자로만 간주하는 입장은 기껏해야 ‘더 많은 여성 희생자 내세우기’와 ‘남성들에게 더 많은 처벌 내리기’를 목표로 하게 된다. 게다가 남성 폭력을 단죄하기 위해서 남성과 구별되는 여성성을 강조하려다 보니 모성애를 다시 소환하고 성적 자유 대신에 다시금 ‘길들여진 성’으로 회귀하게 된다. 자유주의 페미니즘 세대인 저자가 새로운 페미니즘에 대해 불만을 갖는 이유다.

미국의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보조를 맞춘 프랑스의 새로운 페미니즘은 남성과 여성의 차이와 함께 여성의 희생자성을 부각시켰다. 이 과정에서 초기 페미니스트들이 이뤄낸 성의 개방도 다시금 단죄되었다. 급진적 레즈비언 페미니스트들은 성의 개방이 남성에게 유리하게 작용해 여성을 일회용품으로 만들며 여성의 굴종을 더 강화한다고 비판한다. 성의 개방과 상업화에 대한 맹렬한 비판은 저자의 아이러니한 평가에 따르면 “오래된 유대-기독교의 권선징악적 어투를 닮아갔고, 그렇게도 힘들여 없애려고 했던 성에 대한 상투적 개념을 되살려내는 데 성공했다.” 프랑스의 사례지만 두 가지 페미니즘의 ‘성공’을 비교해보는 것은 우리에게도 좋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20. 03. 25.

















P.S. 저자가 많은 책을 언급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서 파스칼 브뤼크네르의 <순진함의 유혹>(동문선)은 나도 인상적으로 읽은 책이라 다시 적어둔다(저자가 현대사회에서 유아화와 희생자화 경향을 비판하고 있는 책이다). 현재는 절판된 상태. 미국의 급진주의 페미니스트로 안드레아 드워킨의 대표작 <포르노그래피>(동문선)도 현재는 절판된 책이다. 드워킨과 함께 급진 페미니즘을 이끈 저자로 바댕테르는 수전 브라운밀러와 캐서린 매키넌을 더 꼽는데, 강간을 주제로 한 브라운밀러의 대표작이 <우리의 의지에 반하여>(오월의봄)다. 성희롱을 주제로 한 매키넌의 책(<직장여성에 대한 성희롱>)은 아직 번역되지 않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추풍오장원 2020-03-28 1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라딘 서재에 보이는 수많은 여성주의자들이 이상하게 이 책은 읽지 않는가 봅니다.
미국식 신보수주의 페미니즘에 완전히 동화된 사람에게는 이런 책 조차 마초적으로 느껴지겠지요..

로쟈 2020-03-28 16:08   좋아요 0 | URL
잘못 든 길에서 벗어나는 건 특별한 충격이 없다면 어려운 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