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는 모르겠지만 이제니의 시집 <그리하여 흘려 쓴 것들>(문학과지성사)이 손 닿는 곳에 있어서 펼쳐들었다. 머리를 비우고 싶을 때 읽을 수 있는 시집은 아니어서 덮었다. 요즘 나오는 많은 시집들과 마찬가지로 이 시인의 관심도 언어로 보인다. 언어를 관찰하고 심문하고 학대하고 다시 어르기. 자기지시적이라는 시어의 특징은 자폐적이라는 말과도 바로 통한다. 좀처럼 외출하지 않는 언어들.

가장 많은 시편들의 제목이 ‘발화 연습 문장‘이다. 제목 ‘그리하여 흘려 쓴 것들‘조차도 그 시편들 가운데 한 문장이다. 어느 스포츠 경기이건 선수들의 연습 장면이나 연습경기(시범경기라고도 하고)도 관람거리가 된다. 열성팬들이라면 기꺼이 스타 선수들의 일거수일투족에 관심을 쏟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시에 대해서 더이상 그런 열정이나 인내를 갖고 있지 않다. 언어실험이나 무의미시는 이상부터 김춘수, 오규원까지로 충분했다고 생각한다. 이승훈의 비대상시도 때로 속도감을 보여주었다. 나는 왜 많은 젊은 시인들이 자폐적 세계에서 발화연습만을 거듭하고 있는지 이해 불가하다.

이제니 시에 한정된 건 아니지만 가령 이런 제목의 시. ‘있었던 것이 있었던 곳에는 있었던 것이 있었던 것처럼 있었고‘. 소위 젊은 시인들의 어떤 시집을 펼치더라도 이런 투의 식상한 문장과 발상을 만나게 된다(지시와 의미의 문제는 언어학과 언어철학에서 매우 진지하게, 지겨울 정도로 다뤄온 주제다. 시가 특권을 주장할 수 있는 주제가 더이상 아니다).

한낮은 태양의 눈으로 빛을 발하고 있었다. 있었던 것이 있었던 곳에는 있었던 것이 있었던 것처럼 있었다. 사라진 것의 자리를 메우는 것 같지만 빛은 공백을 환기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었다. 마음의 짐이 있는 사람이라면 과거의 자리로 돌아올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익숙한 자리에서 위안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사라진 것들은 흔적을 남긴다. 사라진 흔적조차 흔적을 남긴다.(...)

말에 정서와 실감이 얼마나 실려있는가. 그게 빠진다면 비어있는 말이고 무의미한 말이다. 그게 소위 발화연습 삼아 흘려쓴 것들이리라. 열성 독자가 아닌 나는 선수들이 진짜 경기에서 전력을 다하는 모습을 보고 싶다(독자는 이상의 ‘절벽‘부터 김춘수의 ‘꽃‘과 김수영의 ‘꽃잎‘까지 다 읽어왔다. 이들을 뛰어넘거나 그에 준하는 시를 읽고 싶은 것이지 ‘연습‘을 읽으려는 게 아니다). 시인들의 발화연습을 굳이 독자를 상대로 할 이유가 없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맘 2020-03-05 05: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적으로 동의하는 바입니다!
전력질주보다 눈에 띄는 운동복과 헤어스타일에 더 신경을 쓰고 나온 선수를 보는 씁쓸함~ 한편을 읽고도 오랜시간 그 의미에 잠길수있는 그런 시가 좋습니다~

로쟈 2020-03-05 10:56   좋아요 0 | URL
시집도 시인도 너무 많아서 ‘연습‘까지 지켜볼 시간이 없다는 생각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