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반테스의 <모범소설집>(창비)이 오랜만에 다시 나왔다. <돈키호테> 완역본 출간이 어느 정도 일단락된 이후에 기대해봄직한 일이었는데, 다행히 제 때 새로운 번역본이 출간돼 반갑다. 안 그래도 이번 여름에는 스페인문학에 대해 다시 강의하면서 모범소설집을 읽어볼 계획이었다.
이번 번역은 창비판 <돈끼호떼>의 역자인 민용태 교수가 맡았다. <모범소설집>은 1613년에 발표된 작품으로 12편의 단편모음집인데, 시점은 <돈키호테 1부>(1605)와 <돈키호테 2부>(1615) 사이다. '모범소설'은 무슨 뜻인가. "단편소설은 세르반떼스 자신에게도 처음이었을 뿐 아니라 에스빠냐에서도 전례 없던 최초의 장르로, 제목의 ‘모범’은 말 그대로 하나의 전형을 제시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돈키호테>가 근대장편소설의 효시라면 <모범소설>은 근대 단편소설의 효시가 되는 것인가. 적어도 스페인문학사에서는 그런 의의를 갖겠다.
이전판은 <모범소설>(오늘의책)이란 제목으로 나왔었고, 지금 보니 2003년판이다. 바로 구입하지는 않다가 나중에 구한 기억이 있는데, 사실 어디에 있는지 현재로선 찾을 수 없다.
<모범소설>이나 <모범소설집>은 완역본이고, 12편의 단편 중에서 몇 편을 고른 선집은 따로 나왔었다. <개들이 본 세상>(시공사)과 <유리 학사>(문학과지성사) 같은 책이 그런 경우다. 강의에서는 일정상 전집을 참고하되 선집을 읽게 될 듯하다. <개들이 본 세상>은 5편, <유리 학사>는 4편을 수록하고 있는데, '유리 학사'와 '사기 결혼'이 공통적으로 들어가 있는 단편으로 대표작이라고 봐도 좋겠다.
발표 시기는 <돈키호테 1부>(2부에 대한 구상은 나중에 갖게 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세르반테스에게 <돈키호테 1부>는 그냥 <돈키호테>였다)보다 뒤이지만 상당수 작품은 그 전에 쓴 것으로 보이기에 <모범소설집>과 <돈키호테>의 관계는 이중적이다. 또 <돈키호테>에 들어가 있는 몇몇 에피소드는 <모범소설집>의 이야기와 비슷한 면모도 갖고 있는데, 그렇게 '활용'하고 남은 이야기들을 따로 묶은 것이 <모범소설집>이라고도 본다. 그래서 작품들 간에 편차가 있는 것.
"1613년에 출간된 <모범소설집>은 크게 귀족을 주인공으로 이상주의적 교훈을 담은 소설과 도시 서민과 날품팔이, 떠돌이 악사, 건달, 도둑 같은 하층민을 주인공으로 하는 소설로 나뉜다. 두 부류의 문체와 소설의 짜임새 및 완성도에서 보이는 차이는 이들이 긴 시간에 걸쳐 쓰인 작품들임을 알려준다."
개인적으로 올해 강의의 주요 과제 중 하나가 중세문학까지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다. 자연스레 중세의 기사로망스와 스페인 피카레스크소설을 <돈키호테>의 전사로 다룰 수밖에 없다. 프랑스문학에서는 크레티앵 드 트루아와 라블레의 작품들을 올해 안에 다룰 예정이다.
피카레스크 소설로는 작자 미상의 <라사리요>(대역본을 포함 세 종의 번역본이 나와있다)와 마테오 알레만의 <구스만 데 알파라체>(아카넷)가 <돈키호테>에 영향일 미친 작품들이다. 직접 강의에서 다루지는 않겠지만 참고해보려고 한다. 근대소설사의 대략적인 전개는 기사로망스(프랑스)->피카레스크소설(스페인)->돈키호테->모험소설(영국)->교양소설(독일)->사회소설(프랑스)로 이어진다. 물론 연속적인 관계가 아니라 계승과 변형의 관계다. 이러한 이행과정을 그 배경이 되는 사회경제적 변화와 연관해서 해명하는 것이 근대소설 발생과 진화 해명의 과제다. 기본 골격은 세워두었기에 살을 붙여서 세계문학 강의로 출간할 예정이다. 이 또한 올해의 과제다...
20. 0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