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띄는 베스트셀러가 아님에도 여러 번 출간되는 책이 있다. 따로 이유가 있을 테지만, 그걸 또 여러 권 갖고 있는 독자로서는 별도의 주목을 하게 된다. 이번주에 나온 책 가운데는 폴 존슨의 <지식인의 두 얼굴>(을유문화사)과 앨런 재닉의 <비트겐슈타인과 세기말 빈>(필로소픽)이 그에 해당한다. 
















영국의 저널리스트 저술가 폴 존슨의 <지식인>은 을유문화사에서만 세번째다. 제목은 <벌거벗은 지식인들>에서 <지식인의 두 얼굴>로 바뀌었고 이번에 다시 표지가 바뀌었다. 내가 제일 처음 읽은 건 한언출판사에서 상, 하 두권의 <지식인들>로 1993년에 나왔었다. 이게 몇 년인가. 27년 전이다. 이 번역본은 <위대한 지식인들에 관한 끔찍한 보고서>(1999)라는 제목으로 한 차례 더 나왔다가 절판되었고, 같은 해에 을유문화사판 <벌거벗은 지식인들>이 나왔다. 아마 판권이 옮겨간 듯싶다. 이 을유판도 개정 번역판으로 지닌 2005년에 <지식인의 두 얼굴>로 나왔다가 이번에 15년만에 다시 개정판이 나온 것. 원저는 1988년에 나온 책이다. 


"‘지식인의 탄생과 기원’을 살피며 시작하는 이 책은 근대적 지식인들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자신의 사상과 위배되는 도덕적 모순을 보여 왔는지 방대한 자료 조사를 통해 탐사한다. 그 사례로 등장하는 루소, 셸리, 마르크스, 입센, 톨스토이, 헤밍웨이, 러셀, 브레히트, 사르트르, 촘스키 등은 단순히 '지식을 많이 가진 자'가 아니라 거대한 관념 체계를 형성하고 교조와 명령, 권유로 일반인들을 한쪽으로 몰아가며 세상을 움직이고자 한 사람들이다. 지식인의 위대한 성취와 함께 실제 삶에서의 이중적이고 모순적인 측면을 낱낱이 파헤친 이 책은 이들의 윤리성과 도덕성을 전면 재검토하면서 그들의 사상이 인류 발전에 이바지했다는 이유만으로 칭송받아 마땅하다는 일각의 의견에 반론을 제기한다."
















저자는 루소부터 다루고 있지만, '지식인'이란 개념이 탄생한 계기는 드레퓌스 사건이므로 원조 지식인은 에밀 졸라여야 한다(그리고 러시아 인텔리겐치야까지 포함하면 19세기 러시아 사상가들도 다룰 수 있다). 졸라를 제쳐놓은 것은 특이한 점인데, 아무리 훑어도 흠잡을 만한 구석이 없었던 것일까. 지식인의 이면을 다루기 전에 그 공도 함께 언급하는 것이 공정했을 듯싶다.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라면 졸라의 <전진하는 진실>(은행나무)도 같이 보는 게 좋겠다.
















앨런 재닉과 스티븐 툴민 공저의 <비트겐슈타인>도 처음 나왔을 때 제목은 달랐다. <빈, 비트겐슈타인, 그 세기말의 풍경>(이제이북스)이었다가 2013년에 출판사를 옮기며 <비트겐슈타인과 세기말 빈>이 되었고, 이번에 7년만에 다시 리커버판이 나왔다. 결코 베스트셀러가 될 책은 아닌데, 그래도 꾸준히 찾는 독자가 있는 듯싶다. 
















비트겐슈타인이 관련서로 그렇게 여러 번 나온 책으로는 레이 몽크의 <비트겐슈타인 평전>(필로소픽) 정도가 기억난다. 거의 다른 사례는 없지 않을까 싶다.


어찌하다 보니 나는 이 책들을 모두 갖고 있다. 세 번씩 나오는 것도 특이하지만, 그걸 다 갖고 있는 것도 당연한 일은 아닐 듯하다...


20. 01. 23.


댓글(3)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맘 2020-01-23 10: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식인과 관련한 수업도 해봤으면 좋겠네요^^공부하고 싶은 것은 많고 세월은 너무 잘 가고~

로쟈 2020-01-23 19:58   좋아요 0 | URL
네, 책은 무한한데, 인생 짧네요.~

2023-04-17 18:2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