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신의 피로로 기진해 있는 동안 페이퍼 거리가 많이 밀렸다. 상당수는 누가 대신해주는 일도 아니어서(로쟈봇이 필요하다) 가끔씩 입막음이라도 해야 한다. 엊그제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발표되었는데(작년 수상자로 폴란드의 여성작가 올가 토카르축(토카르추크)과 올해 수상자로 오스트리아 작가 페터 한트케가 노벨상 작가 목록에 추가되었다) 이미 관련한 기사나 페이퍼가 다수 올라와 있기에 군말을 보탤 건 없다. 그저 소감 한마디 정도.

토카르축은 지난해에 맨부커상 인터내셔널(한강의 <채식주의자>가 수상한 번역상)을 수상했고(<방랑자들>이라고 번역돼 곧 나온다) 이번에 노벨문학상까지 소급해서 받게 되었으니 서구나 비유럽 독자들에게는 놀랄 만한 ‘데뷔‘다. 여성작가에 대한 안배도 고려했겠다(미국작가 조이스 캐럴 오츠는 올해도 고배를 마신 셈인데, 여담을 덧붙이자면 오츠는 너무 많은 작품을 썼다. 그녀의 소설을 다 읽는다는 건 불가능해 보일 정도다. 나는 수상의 가장 큰 장애가 그녀의 다작이라고 믿는 쪽이다). 40대 수상작가들의 전례가 없지는 않지만 비교적 이른 나이에 수상한 작가에 속하겠다.

그리고 올해의 수상자(이 차례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한트케는 그간에 ‘충분히‘ 소개된 편이다. 진작에 오스트리아문학(동시에 독어권 문학)의 대표작가로 자리매김되었기에. 무려 15년전, 엘프리데 옐리네크가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을 때 옐리네크가 보인 반응도 유명하다. ˝왜 한트케가 아니고?˝

자신이 상을 받을 만한 자격이 없다는 건 아니지만 순서가 이상하다는 것이다. 마땅히 한트케가 먼저 받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결과적으로는 15년만에 파격이 상쇄되었다. 순서가 바뀌고 좀 지체되긴 했지만 노벨상이 원래의 주인을 찾아간 것이기에.

한트케는 전위적인 작가(실험적이고 난해하다는 뜻)로 분류되기에 비록 노벨문학상의 후광을 등에 업었다고는 해도 노벨상 특수까지 낳을 것 같지는 않다(재고 정리에는 도움이 될 것이다). 그래도 만부까지는 나가지 않을까. 옐리네크의 스코어가 참고가 될 수도 있겠다.

중부유럽의 두 작가가 수상했는데 여전히 스웨덴 한림원이 보수적인 선택을 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유럽 대륙 바깥의 문학을 충분히 읽고 있는 건지 의구심을 갖게도 되는데, 그런 기타 지역 문학의 경우 유럽의 주요 언어로 번역되지 않으면 세계문학의 공간에 존재할 수도 없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번 수상자 발표는 도박사이트의 예상은 벗어났는지 모르겠지만 노벨문학상 심사위원회의 한계에서 벗어난 선택은 아니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ingles 2019-10-13 09: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로쟈봇 필요합니다~ㅎㅎㅎ 그렇잖아도 노벨문학상에 대한 샘의 의견이 궁금했는데, 제 예상(보수성!)과 맞네요~^^ 토카르축은 첨 접해봐서 반갑긴해요!

로쟈 2019-10-13 19:58   좋아요 0 | URL
네 새로운 작가도 있지만 놀랍진 않은 선정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