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학 강의에서 주로 다루는 건 근대소설이다. 자연스레 ‘근대‘와 ‘소설‘이 각각 어떻게 탄생하고 변모해나가는지 관심사가 될 수밖에 없다. 근대의 형성과정은 복합적이지만 나는 홉스봄의 견해에 따라 18세기 후반 산업혁명(영국)과 시민혁명(프랑스)이라는 이중혁명의 결과로 설명한다. 그에 따르면 장기 19세기는 1789년에서 1914년까지이며 유럽 근대문학사는 이 시기 문학의 역사를 해명해야 한다.

근대 형성의 여러 지표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철도와 기차의 등장이다. 증기기관차에서부터 고속철도의 등장까지 철도의 역사는 곧바로 근대화의 역사가 된다(한국에서라면 1905년 경부철도의 개통이 중요한 분기점이다. 식민지 근대의 서막이었다). 근대소설에서도 철도와 기차가 나오는 장면들이 자연스레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에밀 졸라도 루공-마카르 총서의 한권을 철도에 할애한다. <인간짐승>의 주인공이 기관사인 것은 그 의도의 결과다). 근대소설에 대한 이해에 철도의 역사에 대한 참조가 필수적인 것은 그 때문이다.

철도의 역사를 다룬 책이 몇권 나와있지만, 크리스티안 월마의 <철도의 세계사>(다시봄)은 ‘결정판‘으로서 의미가 있다. ‘철도는 어떻게 세상을 바뀌놓았나‘가 부제. 각 대륙과 각국의 철도 역사를 망라하고 있어서 전체적인 시야에서 변화의 과정을 살펴보도록 해준다. 이 주제의 책들을 참고한다면 소설에서 철도가 나오는 장면들이 다르게 읽힐 것이다(러시아문학 가운데서는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와 <크로이체르 소나타>, 그리고 도스토옙스키의 <백치> 등을 떠올리게 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맘 2019-05-26 2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나카레니나의 기차와 역은 소설보다는 영화장면으로 떠올라 소설을 읽으면서도 영화에 의해 지배받았던 것 같아요 수증기와 두꺼운 외투 큰 가방 추위로 젖은 눈(eye) 흑백의 러시아..가짜에 의해 진짜가가려져버린걸까요는ㅎㅎ

로쟈 2019-05-26 23:05   좋아요 0 | URL
그레타 가르보를 떠올리게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