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영화감독 빔 벤더스 특별전에 개최된다는 소식은 지난주에 영화잡지들을 통해서 접했다. 벤더스 자신이 7년만에 내한할 예정이라는 얘기도 들린다. 어차피 영화제를 구경 가볼 만한 처지가 아니어서 무뚝뚝하게 전해듣고 말았는데, 한 관련기사에서 ''파리, 텍사스' 다시 만난다'란 타이틀을 보게 되니까 감정이 없을 수 없다. 극장에서 개봉하지 않았던 그의 초기작들을 대부분 보지 못했지만 <파리, 텍사스>(1984)야말로 내가 가장 좋아하는 그의 영화이자 '내 인생의 영화'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대학 1학년때 한 변두리극장에서 이 영화를 혼자 보며 나는 눈물을 흘린 기억이 있다). 10년만 젊었더라도 이런 영화제 같은 건 다 챙겨봤을 터인데 나로선 좋아하는 영화의 스틸사전을 몇 장 감상하는 정도로 입막음을 해둔다.

문화일보(07. 03. 12) '파리, 텍사스’ 다시 만난다
독일 출신의 거장 빔 벤더스 감독의 대표작들을 한 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 행사가 열린다. 영화사 스폰지와 독일문화원이 공동주최하는 ‘빔 벤더스 특별전’. 15일부터 28일까지 서울 종로의 스폰지하우스(구 시네코아)에서 열리는 이번 특별전에 맞춰 벤더스 감독도 내한할 예정이어서 그의 영화를 사랑해 온 영화팬들에겐 더없이 희소식이 되고 있다.
벤더스 감독은 ‘페널티킥을 맞은 골키퍼의 불안’(1972)으로 데뷔해 칸, 베니스, 베를린 영화제 등에서 수상하며 주목 받았다. 칸 영화제에서 비평가상을 받은 ‘시간의 흐름 속으로’(1976),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받은 ‘파리, 텍사스’(1984) 등은 국내 영화팬들에게 그의 이름을 알린 대표작들이다. 이후 그는 ‘베를린 천사의 시’(1987)로 다시 칸 영화제 감독상을 거머쥐었다. 그는 특히 주인공이 여정을 떠나는 ‘로드무비’ 형식을 통해 황량한 현대인의 내면과 소외감 등을 효과적으로 표현한 감독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번 특별전에 상영되는 작품은 모두 10편. 벤더스 감독의 대표작들이 빠짐없이 들어가 있어 그의 작품 세계를 한번에 조망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 우선 그의 ‘로드무비’ 가운데 초기 대표작으로 분류되는 ‘도시의 앨리스’(1973)와 ‘시간의 흐름 속으로’, ‘미국인 친구’(1977)가 상영된다. 한국 팬들이 가장 많이 기억하고 있는 작품 ‘파리, 텍사스’, ‘베를린 천사의 시’도 다시 상영되며 일본의 거장 오즈 야스지로에게 바치는 다큐멘터리 영화 ‘도쿄-가’(1985)도 상영작 리스트에 올랐다.
또 쿠바 뮤지션들에 대한 헌시 ‘부에나비스타 소셜클럽’(1999)과 감동적인 음악 다큐멘터리 ‘더 블루스:소울 오브 맨’(2003) 등을 통해선 그의 음악에 대한 애정도 확인할 수 있다. 9·11 테러 이후의 미국을 그린 ‘랜드 오브 플렌티’(2004), 인간에 대한 깊은 성찰이 돋보이는 ‘돈 컴 노킹’(2005) 등 최신작들도 다시 관객들을 만난다.

특별전에 맞춰 14일 내한하는 벤더스 감독은 17일까지 국내에 머물며 공식 기자회견, 무대인사, 감독과의 대화시간 등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다. 지난 2000년 부산국제영화제에 ‘밀리언 달러 호텔’ 출품차 한국을 찾은 다음 7년 만의 방한이라 더욱 관심을 모은다.
빔 벤더스 특별전은 28일까지 서울 상영을 마치고 부산(국도극장·3월29일~4월11일), 광주(광주극장·4월13~19일), 대구(동성아트홀·4월26~29일), 대전(대전아트시네마·5월3~9일) 등 4개 도시를 돌며 지방 순회상영을 이어간다. 서울 상영에 관한 정보는 스폰지 홈페이지(www.spongehouse.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강연곤기자)
07. 03. 13.
P.S. 아는 사람은 다 알겠지만, 벤더스는 로드무비의 대가이며 <파리, 텍사스> 또한 로드무비이다. 대략적인 줄거리는 이렇다: "멕시코와 미국의 접경 지역 부근, 텍사스주의 어느 황량한 마을에 탈진한듯 보이는 한 남자가 걸어온다. 그의 이름은 트래비스. 의식을 잃은 트래비스의 소지품에서 '월트'란 이름을 발견한 의사는 연락을 취하게 되고, 로스앤젤레스에 살던 월트는 형 트래비스를 4년만에 만나게 된다. 그동안 형의 아들인 헌터를 맡아 기르던 월터와 그의 아내 앤은 헌터가 트래비스를 아버지로 인정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기른 정에 얽매여 헌터를 잃게 되진 않을까 우려한다." 그 헌터에게 트래비스는 어릴 적 암마에 대한 기억을 떠올려주며 함께 엄마/아내를 찾아나서기로 한다. 아래는 아들 헌터가 어렴풋하게만 기억이 남아있는 엄마의 사진을 건네받고 쑥쓰러워 하는 모습.




"기억을 잃어버린데다 실어증까지 걸려버린 트래비스는 아들과 함께 떠나버린 아내를 찾아나서게 되고, 그녀가 아들의 부양비를 매달 입금해 오고 있는 은행에서 무작정 기다리다 결국 아내를 발견한다. 하지만 그토록 그리워하던 아내는 환락가의 여자가 되어 었다. 손님은 여자를 볼 수 있고, 여자는 손님을 볼 수 없는 유리벽이 있는 방에서 손님으로 가장한 트래비스는 아내를 만난다. 아내는 얼굴도 보지 못하는 이 손님의 사연을 기꺼이 들어주겠다고 하고, 트래비스는 자신과 제인의 이야기를 해준다."
그게 영화 포스터에 가장 자주 쓰이는 바로 그 장면이다. 트래비스의 이야기를 들으며 제인은 점차 이 '손님'이 자신의 남편이란 걸 알게 되고 흐느낀다. 이야기를 마친 트래비스는 헌터가 있는 곳을 가르쳐주고는 다시 정처없는 길을 떠난다. 아래는 은행에서 기다리는 동안 헌터가 다시금 엄마의 사진을 꺼내보는 모습.

저명한 극작가 샘 셰퍼드가 각본을 쓴 이 영화의 음악은 라이 쿠더가 맡았다(벤더스와 쿠더는 <부에나비스타 소셜클럽>에서도 조우한다). 그 건조하면서도 서정적인 기타 소리가 다시금 듣고 싶군. 물론 제인역을 맡은 나스타샤 킨스키의 매력도 빼놓을 수 없다.

참고로, 영화의 대본은 '샘 쉐파드'의 <파리, 텍사스>(예니, 1987)로 출간된 적이 있다. <아빠는 출장중> 대본과 함께 내가 고이 모셔두고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