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간경향에 실은 북리뷰를 옮겨놓는다. 순천의 김승옥 문학관 방문을 계기로 <무진기행>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 적었다.



주간경향(18. 11 . 19) 전근대에서 근대로의 이행


김승옥은 한국문학의 살아있는 전설이다. 1962년 신춘문예로 등단한 김승옥은 20대 중반이 되기 전에 대표작 <무진기행>을 포함한 문제작들을 발표하고 한국문학사에서 지울 수 없는 이름이 되었다. 1960년대 문학의 상징으로서 그의 성취는 무엇일까. 이번 가을에 <무진기행>의 무대이면서 작가의 고향 순천을 찾으면서 다시금 던지게 된 물음이었다(작가는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나서 전남 순천에서 성장한다).

김승옥 문학의 대명사는 <무진기행>이다. 다섯 권짜리 전집도 나와 있지만 한 편만 남긴다면 문학사가나 독자들의 선택은 단연 <무진기행>이 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작가는 이 작품에 대한 비평적 환대에 동의하지 않는 편이다. 같은 시기에 쓴 작품으로 <차나 한 잔> 같은 단편이 뛰어나다면 <무진기행>은 진부한 소설이라고 스스로 평가절하한다. 작가가 인용하기도 한 앙드레 지드의 말대로 작품에는 작가의 몫과 독자의 몫, 그리고 신의 몫이 존재한다면 <무진기행>에서 작가의 몫은 크지 않았다는 뜻이 될까. 그는 진부한 단편소설을 썼을 뿐이지만 독자와 신은 그 작품을 문학사적 걸작으로 탈바꿈시켜 놓았다. 여기서 ‘신의 몫’은 역사, 구체적으로는 한국현대사로 바꿔 읽어도 좋겠다.

한국의 1960년대는 4·19혁명과 5·16쿠데타와 함께 시작한다. 그와 동시에 급진적인 근대화가 진행되는데 도시화와 산업화는 그 근대화의 두 얼굴이다. 이러한 ‘근대 혁명’을 통해 한국 사회는 새로운 사회, 새로운 시대로 진입한다. 하지만 그 혁명적 변화가 단기간에 이루어졌기에 전근대와 근대의 공존과 갈등은 필연적이었다. <무진기행>에서 무진(순천)과 서울은 시골과 도시의 대명사로서 전근대와 근대의 공간을 대표한다. 그리고 소설의 서사는 서울에서 출세한 주인공 윤희중이 바람을 쐰다는 명목으로 고향 무진을 방문했다가 되돌아오는 여정을 따라간다.

<무진기행>에 대한 많은 독후감은 윤희중이 무진에서 겪은 일들과 음악교사 하인숙과의 만남 등에 초점을 맞춘다. 하지만 한국 사회 근대화를 상징적으로 재현한 작품으로 읽는다면 이 작품의 성취는 귀향과 이향의 구조에서 찾을 수 있다. 실제로 ‘빽이 좋고 돈 많은 과부’를 만나 제약회사 상무까지 된 주인공은 자신을 전무로 승진시키려는 아내의 계획에 따라 잠시 무진으로 내려오며 이사회 참석이 필요하다는 아내의 전보를 받자마자 급히 상경한다. 무진에서 자신의 과거 모습을 떠올려주는 음악교사를 만나서 연민의 감정을 느끼지만 과거나 고향은 그의 현실과 장소가 될 수 없다. 이러한 판단에 무진의 명물이라는 안개는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는다.

주인공의 여정은 전근대에서 근대로의 이행을 압축하며 이는 사회학의 용어를 빌리면 공동사회에서 이익사회로의 이행에 대응한다. 그와 함께 우리는 불가피하게도 고향을 상실하며 ‘심한 부끄러움’을 느낀다. <무진기행>의 결말이 그러한데, 이 부끄러움이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의 선택을 정당화한다. <무진기행>은 이 진부함을 너무도 정확하게 그려냈다.

 

18. 11. 14.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제트50 2018-11-14 16: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언젠가 아침 생방송 음악프로에서
진행자가 무슨 얘기 끝에 중고교 때
감동적으로 읽은 책들을 보내보라고
하더군요. 즉시 컴 켜고 사연난에
생각나는 대로 목록을 올렸지요^^
잠시 뒤 진행자가 제가 보낸 내용을
읽었습니다. 어쪔 자기랑 똑 같다고..
그러면서 한 마디.˝근데 김승옥이
빠졌다...˝ 대학 졸업후 지금의
남편을 만나 김승옥을 알게됐습니다.
그 서울 1964년 겨울을 비롯해서...
로쟈님 해석이 새롭네요.
조만간 무진기행 다시 볼 거예요^^*

로쟈 2018-11-15 00:44   좋아요 0 | URL
네, 즐독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