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새책'이란 카테고리를 새로 만든다.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지만 요즘 부쩍 과거에 출간됐던 책들의 재판, 개정판, 수정판 등이 자주 눈에 띄기 때문이다. '오래된 새책'이란 표현은 물론 '오래된 미래'를 떠올려주기도 하지만 종종 들르는 '북데일리'의 카테고리였기도 하다. '세계의 책'과 함께 나란히 빌어온 셈이 됐는데, 정작 북데일리에서는 사이트를 개편하면서 이들 카테고리를 '명퇴'시킨 듯하다. 그럼 '오래된 새책'은 '나대로의' 카테고리에서 '나만의' 카테고리로 지위가 격상되는 건가?

가장 먼저 다룰 책은 <번역의 윤리>를 구하러 구내서점에 들렀다가 발견한 레이코프와 존슨의 '출세작' <삶으로서의 은유>(서광사, 2006) 수정판이다. '수정판'이란 표현을 썼지만, 흔히 '개정판'이라고 부르는 것인데, 지난 95년에 나온 국역본 초판에 비해서 표지가 훨씬 화사해졌고 하드카바도 장정도 바뀌었다. 내용이야 그대로 보전된 부분이 더 많겠지만 형식은 '대폭' 수정된 것이라 하겠다.   

 

 

 

 

레이코프(/존슨)은 흔히 촘스키언어학에 반기를 든 '인지언어학'의 대표적인 학자들로 지목된다. 그들의 책을 다 읽어볼 기회는 없었지만 우연찮게도 다 사모아둔 처지인지라 이 '수정본'에도 관심이 간다. 개인적으로 <도덕의 정치>나 <코끼리는 생각하지마> 같은 정치평론쪽 책들을 나올 때마다 소개한 기억이 있는데, 이번에도 비껴가지는 못하겠다.  

Cover Image

사실 이 책과의 인연은 국역본이 나오기 전에 원저 'Metaphors we live by'(1980)를 사둔 시점으로 올라간다(왼쪽 표지). 제목을 직역하면 '우리가 달고 사는 은유들' 정도 될까? 대학가 서점에서 마스터본으로 샀던 듯한데 대학원에서 문체론 강의를 들을 때 부분적으로 참조했던 기억이 있다(기말 리포트를 쓰면서는 참조하지 않았지만). 국역본은 그 이후에 출간됐다. 찾아보니까 수정판은 2003년에 출간됐다(오른쪽 표지). 약간 증면이 됐지만 대차는 아니고 본문의 사례들에 어떤 변화가 있는 건지는 모르겠다. 여하튼 지난번 국역본이 절판된 상태인지라 새로 나온 책에 대해선 반가워할 이유가 충분하겠다. 

단, 이 페이퍼에 혹 자극을 받아서(내가 '약간의 영향력'을 발휘하는 탓에) 책을 사보시려는 분은 '삶으로서의 은유'라는 다소 '철학적인' 제목이 붙어 있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언어학' 책이라는 점을 유념하면 되겠다. 참고삼아, 목차와 제1장의 원문을 옮겨놓는다. 그리고 <코끼리는 생각하지마>에서 자세히 얘기되는 레이코프의 '프레임론'을 응용하고 있는 최근의 칼럼기사 하나도 같이. 내가 붙인다면 '이문열은 생각하지마'가 칼럼의 주제이다.  

Preface
Acknowledgments
1. Concepts We Live Bye
2. The Systematicity of Metaphorical Concepts
3. Metaphorical Systematicity: Highlighting and Hiding
4. Orientational Metaphors
5. Metaphor and Cultural Coherence
6. Ontological Metaphors
7. Personification
8. Metonymy
9. Challenges to Metaphorical Coherence
10. Some Further Examples
11. The Partial Nature of Metaphorical Structuring
12. How Is Our Conceptual System Grounded?
13. The Grounding of Structural Metaphors
14. Causation: Partly Emergent and Partly Metaphorical
15. The Coherent Structuring of Experience
16. Metaphorical Coherence
17. Complex Coherences across Metaphors
18. Some Consequences for Theories of Conceptual Structure
19. Definition and Understanding
20. How Metaphor Can Give Meaning to Form
21. New Meaning
22. The Creation of Similarity
23. Metaphor, Truth, and Action
24. Truth
25. The Myths of Objectivism and Subjectivism
26. The Myth of Objectivism in Western Philosophy and Linguistics
27. How Metaphor Reveals the Limitations of the Myth of Objectivism
28. Some Inadequacies of the Myth of Subjectivism
29. The Experientialist Alternative: Giving New Meaning to the Old Myths
30. Understanding
Afterword
References  

CONCEPTS WE LIVE BY

Metaphor is for most people device of the poetic imagination and the rhetorical flourish--a matter of extraordinary rather than ordinary language. Moreover, metaphor is typically viewed as characteristic of language alone, a matter of words rather than thought or action. For this reason, most people think they can get along perfectly well without metaphor. We have found,on the contrary, that metaphor is pervasive in everyday life, not just in language but in thought and action. Our ordinary conceptual system, in terms of which we both think and act, is fundamentally metaphorical in nature.

The concepts that govern our thought are not just matters of the intellect. They also govern our everyday functioning, down to the most mundane details. Our concepts structure what we perceive, how we get around in the world, and how we relate to other people. Our conceptual system thus plays a central role in defining our everyday realities. If we are right in suggesting that our conceptual system is largely metaphorical, then the way we thinks what we experience, and what we do every day is very much a matter of metaphor.

But our conceptual system is not something we are normally aware of. in most of the little things we do every day, we simply think and act more or less automatically along certain lines. Just what these lines are is by no means obvious. One way to find out is by looking at language. Since communication is based on the same conceptual system that we use in thinking and acting, language is an important source of evidence for what that system is like.

Primarily on the basis of linguistic evidence, we have found that most of our ordinary conceptual system is metaphorical in nature. And we have found a way to begin to identify in detail just what the metaphors are halt structure how we perceive, how we think, and what we do.

To give some idea of what it could mean for a concept to be metaphorical and for such a concept to structure an everyday activity, let us start with the concept ARGUMENT and the conceptual metaphor ARGUMENT IS WAR. This metaphor is reflected in our everyday language by a wide variety of expressions:

ARGUMENT IS WAR

Your claims are indefensible.

He attacked every weak point in my argument.

His criticisms were right on target.

I demolished his argument.

I've never won an argument with him.


you disagree? Okay, shoot!

If you use that strategy, he'll wipe you out.

He shot down all of my arguments.

It is important to see that we don't just talk about arguments in terms of

It is important to see that we don't just talk about arguments in terms of war. We can actually win or lose arguments. We see the person we are arguing with as an opponent. We attack his positions and we defend our own. We gain and lose ground. We plan and use strategies. If we find a position indefensible, we can abandon it and take a new line of attack. Many of the things we do in arguing are partially structured by the concept of war. Though there is no physical battle, there is a verbal battle, and the structure of an argument--attack, defense, counter-attack, etc.---reflects this. It is in this sense that the ARGUMENT IS WAR metaphor is one that we live by in this culture; its structures the actions we perform in arguing. Try to imagine a culture where arguments are not viewed in terms of war, where no one wins or loses, where there is no sense of attacking or defending, gaining or losing ground. Imagine a culture where an argument is viewed as a dance, the participants are seen as performers, and the goal is to perform in a balanced and aesthetically pleasing way. In such a culture, people would view arguments differently, experience them differently, carry them out differently, and talk about them differently. But we would probably not view them as arguing at all: they would simply be doing something different. It would seem strange even to call what they were doing "arguing." In perhaps the most neutral way of describing this difference between their culture and ours would be to say that we have a discourse form structured in terms of battle and they have one structured in terms of dance. This is an example of what it means for a metaphorical concept, namely, ARGUMENT IS WAR, to structure (at least in part) what we do and how we understand what we are doing when we argue. The essence of metaphor is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one kind of thing in terms of another.. It is not that arguments are a subspecies of war. Arguments and wars are different kinds of things--verbal discourse and armed conflict--and the actions performed are different kinds of actions. But ARGUMENT is partially structured, understood, performed, and talked about in terms of WAR. The concept is metaphorically structured, the activity is metaphorically structured, and, consequently, the language is metaphorically structured.

Moreover, this is the ordinary way of having an argument and talking about one. The normal way for us to talk about attacking a position is to use the words "attack a position." Our conventional ways of talking about arguments presuppose a metaphor we are hardly ever conscious of. The metaphors not merely in the words we use--it is in our very concept of an argument. The language of argument is not poetic, fanciful, or rhetorical; it is literal. We talk about arguments that way because we conceive of them that way--and we act according to the way we conceive of things.

The most important claim we have made so far is that metaphor is not just a matter of language, that is, of mere words. We shall argue that, on the contrary, human thought processes are largely metaphorical. This is what we mean when we say that the human conceptual system is metaphorically structured and defined. Metaphors as linguistic expressions are possible precisely because there are metaphors in a person's conceptual system. Therefore, whenever in this book we speak of metaphors, such as ARGUMENT IS WA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etaphor means metaphorical concept.

한겨레(06. 12. 08) 정치언어의 은유와 상징적 폭력

‘구원, 해방 그리고 문제 해결’이라는 강연의 제목부터가 의미심장했다. 한달 전 미국 로스앤젤레스 강연에서 언급한 ‘종말론’이 국내 언론에서 이미 문제가 되었고, 마침 한국의 정치 민주화 과정에서 지식인의 역할에 대한 책을 준비 중이었던 필자는 이문열씨의 강연에 궁금증이 한층 올라 있었다.

발언 요지는 다음과 같다. 한국 사회가 전반적으로 일종의 종말론적 상황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예가 정통성도 정당성도 없는 정권이 분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회주의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로마제국과 항쟁한 유대민족의 투쟁사가 수많은 인명 피해를 초래한 무모한 전쟁이었다고 평가한다. 물론 로마제국은 오늘날의 미국을 은유하고 있다.

2006년 11월29일 버클리대학 한국학연구소에서 행해진 이문열씨의 강연은 나에게 엄청난 충격이었다. 우선 이씨는 정치학의 초보 문법마저 무시하고 있다. 현 정부의 분배정책을 비판하려 했다면 ‘사회민주주의’(social-democracy)라는 용어가 적절하다. 그런데 최저생계를 위협받는 사람에게 기초생활을 보장하고, 산업재해를 당한 사람에게 보험금을 지원하는 복지국가를 만들자는 것이 바로 사회민주주의의 기본이념이다. 이것을 종말론적으로 생각한다는 것인가? 오늘날 유일한 강대국으로 군림하고 있는 미국의 힘은 세계체제를 무대로 작동하는 자본주의의 축적논리에 기반하고 있다. 이것은 군사력을 통한 로마제국의 팽창과는 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또한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을 반대하는 것은 우리의 생존을 위한 것이지, 무모하게 항쟁하다가 희생당하겠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인지과학의 연구 성과를 통해서 보면, 보통사람들이 세상사를 이해하고 정치적 판단을 내릴 때는 일정한 언어적 프레임이 작동한다. 이러한 프레임은 일상적인 삶의 체험이나 정치를 표현하는 언어적 은유를 통해서 결정된다. 예컨대 한국전쟁을 경험한 사람은 ‘빨갱이’라는 프레임을 통해서 사회주의를 이해하기 쉽다. 또 이라크를 ‘악의 국가’라고 표현하는 것은 미국의 대외전쟁을 정당화하는 전형적인 은유다. 이것은 언어적 고정관념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개인들의 이성적 사고를 방해하는 요인이다.

정치적 입장이 다른 것을 용인할 수는 있다. 그러나 입장 차이를 정치문법의 무지와 혼동할 수는 없다. 또 무분별한 정치적 은유가 정당화되어서도 안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씨는 한국민을 향해 상징적 폭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한국 사회는 극심한 가치관의 혼동에 싸여 있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치를 표현하는 언어가 더욱 정교하고 세련되게 변화되어야 한다. 이제는 정말이지 한국 정치판에서 ‘빨갱이’니 ‘좌파’니 하는 해묵은 언어적 유희가 사라져야 한다. 우리 정치는 오랜 희생 끝에 민주화를 이루었다. 이제는 그 내용을 채워가는 과제가 남겨져 있다. 이제부터가 중요하다. 생각의 차이를 극복하고 미래에 대한 합의를 만들어가야 한다. 그런데 미래에 대한 비전은 언어로부터 출발한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 사용의 관습이 바뀌어야만 하는 것이다. 즉, 언어의 민주화가 절실히 필요하며, 이것이 오늘날 지식인의 책무다.

한국의 대표적인 문필가요, 지식인을 자처하는 그가 이러한 언어의 민주화에 역행하고 있다는 것은 충격이 아닐 수 없다. 더구나 강연 내용이 이번에 출간한 소설의 내용이라고 하니 걱정이 앞선다. 그는 2300만부의 소설을 판매한 베스트셀러 작가가 아닌가!(홍성민/동아대 정치학과 교수, 미 버클리대 방문학자)

06. 12. 08-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