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일이 많아서 여유가 있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역시나 몸 따로 마음 따로다. '이달의 읽을 만한 책'을 뒤늦게 꼽는 이유다(그래도 10일은 넘기지 않으려고 분발심을 발휘한다). 책과 관련해서는 서울국제도서전이 있는 달이어서 분위기는 좋은 편이다. 하기야 요즘은 여름이 독서의 계절 노릇을 하고 있으니.
![](http://image.aladin.co.kr/product/12374/42/cover150/895464902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6835/29/cover150/895463794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995/99/cover150/8954636268_1.jpg)
1. 문학예술
지난달 세상을 떠난 필립 로스를 기념하려고 한다. 다수의 책이 번역돼 있어서 그냥 최근에 나온 책들로 세 권을 골랐는데, 구애받을 필요는 없을 듯하다. 개인적으로는 하반기에 로스의 대표작들을 읽는 강의를 기획해보려고 한다(<울분>과 <미국의 목가>만 강의에서 다룬 바 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4696/28/cover150/895465135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4696/26/cover150/895465136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4923/20/cover150/8954651380_1.jpg)
필립 로스 전담 번역가이기도 한 정영목 교수의 소설론과 번역론이 최근에 나왔는데, 로스의 책들과 같이 읽어봐도 좋겠다. 최근작으로는 피츠제럴드의 또 다른 대표작 <밤은 부드러워라>(문학동네)가 있다. 몇년 전에 시공사판 번역본(<밤은 부드러워>)으로 강의한 적이 있는데, 2학기에는 새 번역본으로 강의를 진행하려고 한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3177/25/cover150/k80253285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4688/17/cover150/893566470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64/57/cover150/8990641136_1.jpg)
예술분야에서는 조르조 바사리의 대작 <르네상스 미술가평전>(한길사)을 고른다. 과거 탐구당판이 이번에 다시 나왔는데, 번역과 교정이 썩 좋은 상태는 아닌 듯하다. 그럼에도 대안이 없는 게 또한 현실이다. 소장용이나 도서관 대출용으로 생각하면 되겠다. 10여 년 전에 나온 평전 <조르조 바사리>(미메시스)도 어딘가 있을 텐데, 다시 찾는 것도 일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3195/5/cover150/8932030952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3091/34/cover150/897682291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3178/24/cover150/8994606513_1.jpg)
2. 인문학
역사 쪽으는 김기봉 교수의 <내일을 위한 역사학 강의>(문학과지서사)와 함께 제임스 빌링턴의 <러시아 정체성>(그린비), 그리고 이훈의 <만주족 이야기>(너머북스) 등을 고른다. 각각이주제거리여서 '역사학'과 '러시아사', '만주사' 카테고리를 따로 만들어도 되겠지만, 일단은 한권씩만 읽는 걸로.
![](http://image.aladin.co.kr/product/14644/75/cover150/894118190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3091/27/cover150/8976822838_1.jpg)
지역 쪽으로는 라틴아메리카 관련서들이 한꺼번에 많이 나왔는데, 그 가운데 <2018 라틴아메리카: 세계화 시대의 라틴아메리카>(SNUILAS), <라틴아메리카 명저 산책>(그린비)와 임호준 교수의 <즐거운 식인: 서구의 야만 신화에 대한 라틴아메리카의 유쾌한 응수>(민음사)를 고른다. 라틴아메리카 문학을 다시 다루게 되면 필히 참조해볼 만한 책들이군.
![](http://image.aladin.co.kr/product/14923/16/cover150/893648627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1088/71/cover150/893648616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8652/39/cover150/8936486055_1.jpg)
3. 사회과학
북미 정상회담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는데, 바야흐로 변화의 시대다(이번 지방선거도 정국 변화의 방향타가 되어줄 것이다). '창비담론 아카데미'의 공부 결과를 묶은 <변화의 시대를 공부하다>(창비)에 눈길이 가는 이유. 책은 창비담론 가운데 부제대로 '분단체제론과 변혁적 중도주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공부 주제가 두 가지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출발점 정도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분단체제와 87년체제가 과연 극복, 지양될 수 있을까. 올해의 중요한 분기점이 될 거라는 전망은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 추이만 지켜볼 일은 아니고, 각자가 변화의 시대를 읽는 공부도 해야겠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3928/18/cover150/896051627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4794/39/cover150/895736962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4841/1/cover150/8984077119_1.jpg)
남북관계와 북한에 대한 이해를 돕는 책으로 박한식, 강국진의 <선을 넘어 생각한다>(부키)가 필독에 값하는 책이고, KBS제작팀의 <누가 북한을 움직이는가>(가나출판사), 그리고 프랑스의 북한 전문가들이 쓴 <100가지 질문으로 본 북한>(세종서적) 등이 시의성 있는 책들로 참고할 만하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4860/70/cover150/895561550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4801/14/cover150/896735521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4842/8/cover150/k852532452_1.jpg)
4. 과학
좀 두꺼운 책이지만 마이클 셔머의 <도덕의 궤적>(바다출판사), 그리고 리처드 메이비의 <춤추는 식물>(글항아리)을 고른다. 의학 분야의 책으로는 반전운동으로 노벨평화상까지 수상한 심장내과 의사 버나드 브라운 박사의 '공감과 존엄의 의료'론, <잃어버린 치유의 본질에 대하여>(책과함께)도 덧붙인다. 본인뿐 아니라 가까운 가족을 환자로 둔 독자라면 필히 읽어봄직하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0044/19/cover150/k582533962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4438/96/cover150/895769450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4924/26/cover150/8937429330_1.jpg)
5. 책읽기/글쓰기
<대통령의 글쓰기>의 저자 강원국의 <강원국의 글쓰기>(메디치미디어)가 이달에 나온다. 글쓰기의 새 기준을 마련해줄 수 있을지 궁금하다. 독서론으로는 책을 안 읽는 현 세대를 '책혐시대'라고 부르는 김욱의 <책혐시대의 책읽기>(개마고원), 그리고 며칠 전에 언급한 클라이브 제임스의 <죽음을 이기는 독서>(민음사)를 고른다. 이 정도면 좀 비장한 독서가 되는 건가.
18. 06. 10.
![](http://image.aladin.co.kr/product/14126/62/cover150/8972758493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758/33/cover150/895275982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7/46/cover150/8937461226_2.jpg)
P.S. '이달의 읽을 만한 고전'으로는 헨리 제임스의 <나사의 회전>을 고른다. 다작의 작가여서 읽을 만한 작품이 많지만, 국내에서는 <나사의 회전>이 가장 많이 읽히는 듯싶다. 헨리 제임스 입문 격으로 읽어보면 좋겠다. 나대로는 <여인의 초상>을 강의하면서 헨리 제임스의 세계에 좀더 깊이 들어가볼 참이다. 땡볕 더위가 닥치기 전에 바짝 읽어두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