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린 일들 때문에 학교에 나오는 길에 이번주 '필름2.0'을 읽었다. 로버트 알트먼 감독의 부음에 부쳐진('로버트 알트먼의 부음에 붙여'가 제목이다. '붙여'가 맞나?) 김영진 편집위원의 칼럼과 "브라운관에서보다 스크린에서 훨씬 매력적인" 배우 김지수씨의 인터뷰 등이 흥미로웠다(김위원의 칼럼은 내친 김에 옮겨놓으려고 했지만 온라인에는 아직 떠 있지 않다. 덧붙여, 김지수씨는 뒤늦게 데뷔한 스크린에서 경이로운 눈망울을 보여준다). 

개봉영화 리스트 가운데 특별히 눈길은 끈 영화는 로베르토 안도 감독의 <세르쥬 노박의 겨울여행>. 배우 다니엘 오테이유와 그레타 스카키(스카치?)의 이름이 일단은 점수를 따고 들어가는데, '안나 무글라리스'라는 새로운 이름이 보태진다. 영화의 스토리라인은 <데미지>와 <비터문>을 뒤섞어놓은 거 같다. 좀 색다른 겨울의 시작을 이 영화와 함께할 수도 있을 듯하다. 흥미가 생긴 김에 관련기사와 이미지들을 찾아놓는다.  

세계일보(06. 11. 24) '세르쥬 노박의 겨울여행’, 유혹과 반전의 하모니

30일 개봉을 앞둔 ‘세르쥬 노박의 겨울여행’(2004)은 오랜만에 만나는 프랑스의 서스펜스 영화다. 시아버지와 며느리의 부적절한 관계. 소재는 마치 루이 말 감독의 ‘데미지’와 비슷하지만 영화 ‘세르쥬 노박의 겨울여행’은 자극적인 불륜을 소재로 하고 있다.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며 긴장을 늦추지 못하게 하는 것이 이영화의 특징.

프랑스의 베스트셀러 작가 다니엘(다니엘 오떼이유)은 아들의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이탈리아 카프리섬으로 가던 중 배 안에서 금발 미녀 밀라(안나 무글라리스)를 만난다. 다니엘은 그녀의 유혹에 이끌려 뜨거운 밤을 보낸 뒤 다음날 아들의 결혼식에 참석한다. 그런데 아들과 혼인서약을 하고 돌아서는 신부는 다름 아닌 밀라. 밀라는 이후 당혹스러워하는 다니엘을 끊임없이 유혹하고 두 사람은 돌이킬 수 없는 관계를 유지해 나간다.



연극연출가 출신 로베르토 안도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세르쥬 노박의 겨울여행’은 프랑스의 대표적인 지성배우 다니엘 오떼이유와 샤넬 향수 모델로 유명한 안나 무글라리스가 시아버지와 며느리로 출연, 위험한 사랑을 그려냈다. 딜레마에 빠진 다니엘 오떼이유의 깊은 내면 연기와 치명적인 팜므파탈로 변신한 안나 무글라리스의 연기가 돋보이는 작품. 할리우드에서 주로 활동하며 ‘대통령의 연인들’ ‘레드 바이올린’ 등에서 열연했던 이탈리아 출신의 여배우 그레타 스카키의 출연도 반갑다. 그녀는 며느리와 남편과의 부적절한 사실을 알게 되면서 절망하는 다니엘의 부인 역을 맡았다.(홍동희 기자)

06. 11. 25.

 

 

 

 

P.S. 원제는 '욕망의 대가(代價)'쯤 될 거 같고, 일단은 세 배우의 연기 앙상불이 감상의 포인트이겠다. 다니엘 오테이유(1950- )는 물론 <마농의 샘>(1987)으로 국내에서 이름을 알리게 된 배우인데(그는 이 영화에서 자신이 구애했던 여배우 엠마누엘 베아르와 동거하게 되며 둘 사이엔 딸이 하나 있다) , 이후에 여러 편 소개된 작품들 가운데 가장 인상깊은 영화는 역시 엠마누엘 베아르와 같이 공연한 <겨울의 심장>(1993)이다. '겨울 이미지'가 가장 어울리는 배우인가?  

그리고 이 영화에서 '팜므 파탈' 역을 맡은 안나 무글라리스(1978- )는 인상이 낯익어서 찾아보니 영화 <노보>(2002)에 나왔던 배우이다. 등잔 밑에도 정말 많은 배우들이 숨어있다. 1998년 데뷔 이후에 현재 16편 이상의 영화를 찍었으니까 현재 상한가를 치고 있는 배우이다.

마지막으로 그레타 스카키(1960- ). '그레타 스카치'가 맞는 표기인 듯한데, 입에 더 자연스러운 건 '그레타 스카키'이다.

 

 

 

 

이미 많은 영화에 출연한 이탈리아 출신의 '중견' 여배우이지만, 내가 본 영화들 가운데 가장 인상에 남는 건 그녀가 '팜므 파탈'로 출연했던 <가면의 정사>(1991)나 <바다 냄새 나는 여인>(1992)이다. 갓 서른 무렵에 찍은 영화들이니까 여배우로서도 가장 미스테리하면서도 농염한 자태를 뽐낼 때가 아니었나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inbahnstrasse 2006-11-27 15: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탈리아어에서 ch음이 i와 e 다음에 올 때는 '키'와 '케'가 된다네요.

로쟈 2006-11-27 22: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호, 그렇다면 '스카키'로 읽어도 되겠네요. 영화잡지들에서 '스카치'로 읽길래 제가 뒤떨어진 건가란 생각이 들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