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가 아리다. 남자가 보기에는....
그리고 아버지가 되어가는 남자에게는 더더욱....
중국의 근현대사도 우리나라와 이념은 다르지만 흡사한 격동기를 거쳐왔나 보다.
영화의 인물들은 모택동시대부터 등소평의 개방화 정책까지 관통해 나가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더더욱 이러한 사실을 인정하게 된다.

해바라기 (Sunflower, 2005)-감독 : 장양
모택동 집권 시 피바람이 부는 숙청의 와중에 영화 속의 아버지는 화가라는 이유만으로 집단농장에서 6년간의 노역을 마치고 집에 돌아온다. 아들은 못 알아 볼 정도로 성장했고, 서먹하기만 할 뿐이다. 아버지의 잃어버린 시간인 6년 동안 많은 것을 빼앗긴다. 화가의 생명인 손의 기능 뿐 만 아니라 가족과의 관계까지 느슨해져 버렸고 사랑을 표현하는 법에 서툰 아버지는 엄한 아버지의 모습으로 지금까지의 자유를 한순간에 잃어버린 아들과는 여전히 삐걱거린다.

고지식하며, 권위적이며, 강압적인 원리원칙주의자....우리나라나 그 나라나 “나쁜 아빠”라는 명제 앞에 언제나 붙는 저런 단어들 중 하나도 빼먹지 않고 모조리 갖추고 있는 영화 속의 아버지는 끊임없이 날 답답하게 만든다. 아들의 저항이 점점 더 무모하고 위험해져도 눈 하나 꿈뻑 안하는 냉혈 함까지 보여주는 순간에는 숨이 턱턱 막혀온다.
그런 모습에 질려 영화를 중도에 포기하려고 생각했지만 이 영화의 제목 “해바라기”가 길바닥의 가속방지턱마냥 뻑뻑하게 걸려온다. 영화의 초입부 때 해바라기는 잠깐 등장한 후 6년간의 노동현장에서 돌아온 아버지는 마당에 이 꽃을 심는다. 그리고 영화의 마지막 녹음 테잎 하나만을 남기고 사라진 아버지는 1년 후 아들의 집 앞에 해바라기 화분을 놓는다. 3번 출연하는 해바라기는 자식의 탄생, 재회, 아들이 아버지가 되었을 때를 묘사해준다. 마치 그 커다란 꽃덩어리에 씨를 잔뜩 머금고 하루종일 강렬한 태양을 바라보며 씨앗의 성장을 기원하는 그 꽃의 생물학적 특성 마냥....

24시간 전에 봤던 이 영화를 생각하면 아직도 아리다. 사랑을 표현하지 못하는 우리들 아버지들의 그 얼굴과 모습들이 떠오른다.
뱀꼬리 : 영화의 포스터로 쓰인 저 그림은 중국의 유명화가 “장샤오강”의 대가족 시리즈 중 하나. 영화 속 아들의 개인전에 나열되어있는 그림들 역시 이 화가의 작품들.


영화에서 등장하는 아버지와 아들, 그리고 어머니의 모습과 장샤오강의 그림들은 마치 영화를 위해 그려졌다고 생각될 만큼 잘 어울린다. 애절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