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쇠의 생활백서 #20
-예술의 정의
마님과 함께 어제 우연히 케이블로 채널을 돌렸을 때 나왔던 영화는 바로바로바로
"러브 엑츄얼리" 였었다.

지극히 마님의 취향이며, 마님이 정의 내리는 "좋은 영화란 이런 것"을 대변해줘도
전혀 모자람이 없는 마님스타일의 영화이다.
이미 봤음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시청삼매경에 허우적거리는 마님..그에 비해
한번 봤기에 그냥 심드렁하게 지켜보기만 하는 마당쇠였다고나 할까...
영화가 끝난 후 마님의 말씀.
"영화는 자고로 저렇게 보고 나서 사람을 행복하고 기쁘게 해줘야 해..
물론 모든 예술행위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쥐....호호호"
딴지 걸고 싶어졌다..
"하지만 그런 일방통행적인 생각이 예술의 다양성을 침해하는 것은 아닐까?"
마님은 이것이 도발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하긴 마님은 영화를 보다가도 왠지 그로테스크
하면서 찝찝한 과정과 결말을 보여주는 영화는 진절머리를 내면서 채널을 돌려버리니까..
(그러면서 CSI 광팬인 이유는 알다가도 모르겠다..)
"예술은 사람을 기쁘고 즐겁게 해주기 위해 태어났어...!! 이래봐도 내가 예술가잖어..!!
그런 근본을 직시하지 않고 예술의 다양성을 논의하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생각되는데??"
간이 배밖으로 나왔다..
"그렇다면 그 먼 옛날 그리스 원형극장에서 공연되었던 비극적인 내용의 희곡은 뭐야.??
그리고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은 어떻게 설명해야 하지..?? 엉~!! 엉~!!"
"누가 비극을 예술이 아니라고 했나..단지 요즘같이 각박한 세상엔 저렇게 사람마음을
밝고 행복하게 해주는 예술이 주류를 이뤄야 한다는 이야기지..!! "
"에헤~ 시대적인 현실을 가지고 예술을 좌지우지하지 말라고..~~~
다양성, 표현의 자유, 다양성, 표현의 자유,다양성, 표현의 자유, 다양성, 표현의 자유,다양성,
표현의 자유, 다양성, 표현의 자유, (깐죽깐죽) 블라블라~~ 주절주절~메롱~~ 에헤헤헤"
이때 기습적으로 작렬하는 마님의 하이킥....
곳이어 노게이라의 암바나, 사쿠라바의 기무라, 마크 콜먼의 넥크랭크에 버금가는 마님의
필살기 간지럼 신공에 의해 난 방바닥을 세번 때리는 탭아웃으로 기브업을 선언해 버렸다.
그래...영화는 보는 사람들에게 기쁨과 행복만을 줘야해....꺼이꺼이..이게 아닌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