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인간의 신비를 재발견하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과학, 인간의 신비를 재발견하다 - 진화론에 가로막힌 과학
제임스 르 파누 지음, 안종희 옮김 / 시그마북스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진화론에 대한 시각

- 인간에 대한 신비보다는 진화론에 대한 입장을 밝힌 책인 것 같다.

 <과학, 인간의 신비를 재발견하다>를 읽기 시작하면서 떠오르는 책이 있는데, <다윈의 블랙박스>입니다. <다윈의 블랙박스>가 재미가 없어 읽다가 말았습니다.

 인간은 창조되었을까요? 진화했을까요?

 현재까지 자료로는 알 수 없고 둘 중에 하나를 선택했다면 그것은 개인의 의견, 신념, 신앙일 것입니다. 진화론을 전적으로 신뢰하지 않는 저에게 친구는 ‘악령’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하던 군요. (칼 세이건의 악령)

 진화론자는 창조론자를 설득하려고 하고 창조론자는 진화론자를 설득하려 합니다. 설득의 근거로 상대방 이론의 약점을 파고듭니다. 이러한 방식은 학문에 발전에 이롭습니다. 상대방이 지적한 약점에 대해 보완을 하면서 이론은 점차 완성되게 됩니다.

 뉴턴은 자신에 이론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하는 사람이 왈가왈부하는 것이 싫어서 논문 발표를 안 하기도 했습니다. 상대성이론도 논란이 있었고, 양자역학도 논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상대를 설득하기 위해서 동어반복보다는 자신의 이론의 완성 또는 상대편의 약점을 지적하더라도 이미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상대편의 오류를 지적해야 합니다. <다윈의 블랙박스>는 제가 알지 못했던 진화론의 약점이 있을까 싶어 구입했는데, 읽다가 말았습니다. 진화론의 약점을 통해 창조론을 증명하려는 것은 부정not과 반대opposite의 차이를 착각하는데 있습니다. ‘갑돌이가 갑순이가 보다 크다.’의 부정not은 ‘갑순이가 갑돌이보다 크다’것이 아닙니다. (이런 논리적 오류를 진화론자도 갖고 있더군요.)

 또한 진화론은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 아닙니다. 진화론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보다 보편적이거나 우월하지도 않으며 대체도 되지 않습니다.

 A라는 질병의 원인으로 세균감염이 밝혀졌습니다. 그러면 혹시 B라는 질병도 세균이 원인이 아닐까? 연구합니다. (‘아니다’라는 결론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C라는 질병이 유전적 질환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러면 혹시 B라는 질병이 유전질환이 아닐까 연구합니다. (‘아니다’라는 결론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D라는 질병이 면역질환으로 밝혀졌습니다. B라는 질병이 면역질환이 아닐까 연구합니다. 원래 과학이란 것이 오류를 포함한 가설을 거쳐 이론에 도달하게 됩니다.

 인체의 신비에 관하여 말하자면, 굳이 인체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너무 경이로운 것이 많습니다. 초등학교 때 사촌 형이 보았던 월간 과학 잡지 몇 권을 얻어왔습니다. (어렴풋한 기억에 ‘소년 과학’이었던가?) 뒷부분에 독자가 질문하고 선생님이 답하는 코너가 있었습니다. 그 독자의 질문은 수소 분자와 산소 분자가 물 분자를 만들었는데, 왜 성질이 전혀 다르냐고 물었습니다. 선생님의 답변에 대부분은 분자의 개념에 대해 교과서에 있는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저도 똑 같은 의문(아마 그 학생도 같은 의미로 질문했다고 생각했는데,)이 있었지만 그 의미는 달랐습니다. ‘수소 분자와 산소 분자의 물리학적, 화학적, 양자역학적 성질이 모두 파악되었을 때, 물 분자의 성질을 예측할 수 있느냐? 혹시 그럴 가능성이 있느냐?’가 궁금했습니다. 저는 정말 신비롭고 경이로웠습니다.

 이 질문에 답을 할 수 있으려면, 우주에 존재하는 원리는 모두 파악되었다는 증명이 필요하고 원리 없이 존재하는 것이 없어야 됩니다.

* 새로 정리된 문제들 (http://blog.aladin.co.kr/maripkahn/3287045)

 영spirit에 관한 것은 비물질적인 것, 관념으로 생각했을 때, 사람이 인식은 관념을 통해 알기 때문에 사람의 관념의 왜곡을 벗어난 관념의 객관적인 연구는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있습니다. (아! 누가 한말인지 모르겠다. 과학자였나, 철학자였나? 내가 만들어낸 말인가?)

* 실재와 관념 (http://blog.aladin.co.kr/maripkahn/3488399)

 이 책의 진일보한 용어는 진화론의 한계라는 표현입니다. 당연하지 않습니까? 진화론은 무한한 것이 아니고 단지 도구적 개념입니다.

 개인적으로 인간의 창조론과 진화론 중 굳이 택일할 이유도 없습니다. 살아서는 자료의 축적을 기다릴 뿐이고, 조금 있다가 저 세상에 가면 예수님께 한번 물어보지요. 지적 설계 중 어느 정도 우연히 작용했는지. (물어보는 김에 몇 가지 더 여쭤보지요. ; 근세 유럽 국가의 기독교 선교를 내세운 아메리카 원주민 학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미국 흑인 노예 제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갈릴레이 종교 재판에 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2010년 한국 교회는 예수님의 낮은 곳을 임하셨던 철학을 잘 실천하고 있는지?)

* 밑줄긋기
p 210 자아는 (중략) 자체적으로 통일성과 영속성을 갖춘 ‘실재’이다. 영적인 인간정신의 이중적 특성

(알라딘 신간 서평단 도서 서평입니다.)

* 책 제목에 ‘과학’이라는 용어 붙어 있는데, ‘과학’은 증거를 모으는 것이다. ; 이 책에 새로운 증거는 없는 것 같다.
*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하지만, 실재하는 것일까?
* 양자역학의 비결정론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그 비결정론적 특징이 발현되는 방식이 양자적 속성들의 실재성과 양립하기 어려운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자연과학> 12호 중에서 ; 영화 ‘매트릭스’나 ‘13층’처럼 ; 내가 존재한다고 누가 보장할 수 있을까?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립간 2010-03-10 15: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http://www.aladdin.co.kr/shop/wproduct.aspx?ISBN=M702435163
http://www.aladdin.co.kr/shop/wproduct.aspx?ISBN=M872435068

군자란 2010-03-10 17: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대체 뭔말인지.... 하고 싶은 이야기가 뭔가요?????(제가 수준이 안되서 그런지 죄송)

마립간 2010-03-11 08:15   좋아요 0 | URL
진화론의 미비 및 약점을 통해 창조론을 지지하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의미로 글 썼습니다. 제가 봐도 조금은 횡설 수설한 느낌이 있네요.

군자란 2010-03-11 09: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 뜻 이었군요!!! 자주 들를 것 같습니다. 좋은 글 부탁 드립니다...

마립간 2010-03-11 12:51   좋아요 0 | URL
군자란님의 의견도 부탁드립니다.

조선인 2010-03-11 10: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는 내가 실재하다고 생각한다. 고로 나의 실존을 위해 최선을 다 한다... 이게 凡人의 수준인 거 같네요. ^^

마립간 2010-03-11 12:45   좋아요 0 | URL
조선인님, 평범속에 진리가 있습니다.^^

무흔 2010-03-15 13: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세상의 모든 과학은 절대적 진리라는 것이 없습니다. 그 때까지의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하는 이론이 있을 뿐이지요. 그런 점에서 진화론은 훌륭한 이론입니다. 물론 상대성이론도 훌륭한 이론이구요. 또한, 그 이유로 창조론(지적설계론 포함)은 과학이 될 수가 없는 겁니다. 만약 진화론이 틀리다고 하면 다른 이론이 그 자리를 차지하겠지요. 단, 지금까지의 창조론은 절대로 아닐겁니다. 창조론은 신념이지 과학이 아니니깐요. 마립간님께서는 의학을 전공하시는 분이니 이 점을 가장 정확히 알고 계시리라 판단됩니다. 그런데, 마립간님조차 창조론과 진화론을 비교하시니 좀 황당합니다.
하여튼 오랫만에 이렇게 댓글을 다는군요. 좋은 하루 되시길...

마립간 2010-03-15 17:28   좋아요 0 | URL
Velociraptor 친구, 오프라인에서 만났어도 이렇게 서재에서 글을 보니 반가우이. 진화론과 창조론을 비교한 것은 내가 아니고 이책의 저자가 비교를 했네. 그리고 창조론이 맞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진화론이 맞다고 생각하지 않는 양비양시론이 내 입장일세. 그런데 나를 빼고 별점 4개~5개일 줄이야. (누군가는 창조론도 진화한다고 하더군.)

무흔 2010-03-15 19: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공간에서 토론을 하니 괜찮은 것 같군. 그런데, 내가 댓글을 단 이유는 서로 약점을 파고 든다는 문구가 마음에 안들어서이지. 어떻게 과학인 진화론이 창조론의 약점을 파고 들 수가 있겠나? 위대한 신이 했다고 하면 모든 것이 설명되는 창조론에 맞서서 감히 어느 이론이 이길 수가 있겠나?
친구. 난 위의 책은 읽지도 않았고 자네의 양비양시론을 반박할 뜻은 없네. 단지, 맞고 틀리고를 떠나서 현재까지의 과학은 진화론을 지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고 싶었던 거지. 예를 들면 상대성이론도 언젠가는 또 다른 이론에게 자리를 넘겨주어야 하겠지. 천동설이나 뉴튼역학과 마찬가지로. 하지만, 현재까지는 상대성이론을 반박하는 이론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네. 하여튼 반갑네 친구야...

무흔 2010-03-15 19: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이번에 새로 나온 도킨스의 책 읽어 봤나? 읽고 싶으면 알려 주게.. 내가 배달해 줄테니.. 참고로, 자네가 읽은 위의 책이나 다윈의 블랙박스라는 책은 과학서적이라고 말하기 어렵다는 것이 내 견해일세..

마립간 2010-03-15 18:29   좋아요 0 | URL
나도 <과학, 인간의 신비를 재발견하다>와 <다윈의 블랙박스> 모두 과학책으로 보지 않으이. 차라리 '과학'이란 용어를 붙이지 않으면 좀더 좋은 평가를 주었을 것 같네. 출판사도 어려운데, 절판된 책이 아니면 사서 보려 하네. 한산한 내 서재일세. 가끔 댓글을 남기구려.

지나가다 2010-03-17 14: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생물학에서 진화론은 대표적으로 전통적인 다윈니즘, 신다위니즘, 비다위니즘(Beyond Darwinism)등이 있습니다. 모두 생물이 진화한다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단지 그 진화현상에 대한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다를 뿐이지요.
공룡멸종론이 공룡이 멸종했다는 가설이라고 믿는 바보는 없겠죠?
공룡이 어떻게 멸종했느냐에 대한 가설과 추론들이 바로 공룡멸종론이지요.
진화론도 마찬가지입니다.
생물이 진화한다는 가설이 아니라 생물이 어떻게 진화하느냐에 대한 이론이 바로 진화론이지요. 생물이 진화한다는 것은 가설이 아니라 사실입니다.

마립간 2010-03-17 15:10   좋아요 0 | URL
의견에 동감합니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는 단지 생물이 진화했다는 사실과 근거들이 창조론까지 부인할 정도 완벽하지 못하며 그것을 창조의 근거를 삼고 있다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