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역학에는 거의 틀림없이 더 근본적인 무언가가 있다. 그건 파동함수와 파동함수가 사는 힐베르트공간이라고 하는 무한 차원의 공간이다. 


입자들은 생겨나고 없어질 수 있으며, 또한 동시에 여러 곳에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 파동함수는 과거, 현재, 미래 모두 단 하나이며 슈뢰딩거 방정식이 지배하는 대로 힐베르트 공간에서 움직인다.


그러나 만일 파동함수가 물질의 궁극적 실체가 옳다면 파동함수는 도대체 어떤 괴물인가? 그것은 무엇으로 이루어졌있는가? 힐데르트 공간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


그것들은 그저 순수하게 수학적인 대상이며, 답은 아무것도 없다!  따라서 다시 한번, 물리적 실체의 기반을 깊게 탐구할 때, 우리는 그 토대 자체가 순수하게 수학적이라는 힌트를 발견한다.


힐베르트 공간을 수학을 쌩짜로 전혀 모르는 이에게 설명하는 문과적인 방법이 있을까? 결국 비유로 설명할 수 밖에 없겠지... 중첩, 얽힘, 결어긋남, 경로합, 터널링효과...


결국 이런 설명은 장님에게 코끼리가 어떻게 생겼는지 설명하는 것과 비슷한 것 같다. 태어나서 부터 색깔을 모르는 데 노랑, 빨강. 초록, 파랑을 설명한다고 알 수 있을까?


하지만, 이 세상의 완벽함을 추구하는데 세상에 가장 편집적인 성향을 드러내는 물리학자들이 말도 안되는 평행우주를 다중우주를 현실적인 실체로 이야기 한다. 물리적인 실체로...


하기사, 하나, 둘, 셋이라는 자연수도 사실 우리 머릿 속의 개념이기는 하지... 우리 머릿 속 사고 체계도 사실은 추상적인 사실을 우리는 구체적인 사실로 인식하기는 하지...


그런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의 의식은 현재의 우주 만을 인식할 수 밖에 없다.

다른 우주를 이해하려면, 의식에 대한 지식이 어떤 식으로 든 확정되어야 한다.

의식을 어떤 식으로 든 다른 평행 우주를 인식할 수 있는 능력으로 확장 시켜야 한다.


그런 점에서 관측자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인간의 의식이라는 교차점이 다중 우주, 평행 우주를 이해하는 중요한 척도이다.


과학은 자연의 궁극적 신비를 결코 풀지 못할 것이다.

자연을 탐구하다 보면, 자연의 일부인 자기 자신을 반드시 탐구해야 할 시점이 반드시 찾아오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물리학은 관측 대상만 집중적으로 파해 칠 뿐 관측자 인 인간을 탐구 대상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이렇게 된 것은 인간의 의식이 물리적 대상으로 될 수 없기 때문이 아니라 물리학이 인간의 의식을 탐구할 정도로 진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연 이 사실을 온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까? 그냥 기독교에서 말하는 식으로 예수를 맏는 다고 하면 천당을 간다고 하듯이 평행우주를 믿는 다고 하면 내가 과학적인 사람이 되는 것인가?


일반 상대성이론으로 블랙홀이라는 사실을, 빅뱅으로부터 평행우주를 받아 들여야 한다는데... 더 이상 어떤 논리로 저항할 수 있다는말인가?


그냥 믿는다고 하면 믿어지나...


하지만, 양자의 세계가 중첩, 뒤얽힘, 경로합, 터널링효과라는 확실한 사실을 보여주고 있는데...어떻게 안 믿을 수 있겠는가?


맥스 테그마크의 유니버스는 계속 내게 가장 설득력있게 내 마음을 두드리는 책이다.

다른 데로 갈 수 없다.  이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그 자리에서 계속 맴돌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3 - 세계의 시간, 제2판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3
페르낭 브로델 지음 / 까치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 다시 한번 읽을 수 있을 까 했는데... 오늘 마무리 했다.
번역, 책 상태가 맘에 들었다. 10만원 쓰고 2달 정도 몰입해서 읽었다면 그정도에 가성비는 꽤 좋았다. 좋은 책을 다시 만들어준 분들에게 고마움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책을 다 마치고 나서 마지막 질문. 그럼 우리는 지금 어디에 위치에 있을까? 영국이 120년을 누렸던 그 패권을 미국은 언제까지 쥐고 있을 수 있을 까? 미국의 패권을 1차 대전 이후로 친다면 100년이 벌써.... 과연 중국이 그 퍠권을 가져올 수 있을 까? 결국 금융, 돈, 자본이라는 이야기인데...


기술이야 시간의 문제이지 언젠가는 중국이 따라가겠지만, 전체주의 국가라는 시스템이 갖고 있는 한계(시진핑 일인 독재)를 과연 치고 나갈 수 있을 까? 또, 트럼프 현상(바이든도 큰 틀에서는 비슷)이라는 것은 결국 미국 사회가 예전의 보편적인 가치라는 가면이라도 써가며 세계를 주도해 갔지만 지금은 결국 중국이 두려워 일방주의로 후퇴하는 모습이라는 건데...


결국 자본이라는 것이 어디로 흘러 갈 것인가? 자본의 속성을 알아야겠다.


이 책은 그 자본의 속성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베네치아, 피렌체, 제노바, 안트베르펜, 암스테르담, 런던, 지금은 뉴욕 그 다음은 베이징 아니면 상하이는 아닐 것 같다. 대안도 보이지 않는다.


재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