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서재 사진을 클릭하면 엄청 큰 그림으로 뜨는 데
다래의 가지런한 이가 오늘따라 눈에 더 들어온다.
젖살이 아직 통통한 저 얼굴과 근심하나 없이 웃고 있는 저 모습.
지금은 윗니 아랫니 숭숭 구멍 뚫리고 눈에는 고집이 한 가득하고...
저 사진 다래가 예쁘게 나오지는 않았지만 표정에 꾸밈이 없고 시원스러워서 좋다.
아이들의 웃는 모습을 예전만큼 보지 못 한다.
아침에 잠 깨우러 가면 뭐가 즐거운지 자면서도 웃던 아이들인데.
그 웃음을 이제 보기 힘들다.
공부해라, 학원가라 그러면서 아이들의 웃음을 저지한다.
그럼 이 아이들이 나중에 활짝 웃을 수 있을까.
머루는 학교 갔다와서 엄마가 집에 없으면 따르르 전화하더니만
요즘은 집에 와서 엄마가 없으면 전화를 하지 않는다.
전화하고 싶지 않데나...
학습지 어디어디 풀어라하는 소리밖에는 못 들으니...
아, 내가 어쩌다 이런 엄마가 되었나.
다래는 저의 생기를 아직 간직하고 있지만
머루는 물에 불어 풀어진 미역같다.
노는 것이 좋고 책읽는 것이 좋고 레고나 카프라 학는 것이 좋은 아이를 책상앞에 붙들어 놓고 영어해라 수학해라 문제집 풀어라 그러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일까.
성미산학교 얘기를 듣고 보면서 그 곳에 가면 머루나 다래가 행복해 질까 잠깐 생각했다.
어지간히 열심히 해서는 제 빛도 못 내고 허덕이는 아이들.
다이아몬드처럼 다듬어지면서 빛을 내기는 커녕 오히려 윤기를 잃는 아이들.
그 와중에 나는 머루를 영어 학원에 넣었다.
성미산학교는 무슨...
맘이 요란벅적하다.
자유롭고 독창적인 자신만의 사고를 펼칠 수 있는 그런 사람.
이것이 엄마의 바램이자 소신이건만
오히려 기존의 틀 안으로 꾸역꾸역 밀어넣고 있는 나를 발견한다.
아이들아, 미안하다.
엄마가 고민해 볼께.
너희들의 밝은 웃음 더 자주 볼 수 있도록 말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