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산책을 하다, 문득 나의 인터넷 아이디를 돌아보니 슬그머니 웃음이 났다.

스물의 나의 아이디는 붉은바위 였었다. 이 대목에서 나이드신 많은 분들이 웃으실 듯 하다. 중국혁명소설 '붉은 바위'라는 책에서 따온 것이 맞다. 내가 스물이었다는 점을 생각해주시라. 그때는 미제와 장개석의 모진 고문과 압박 속에서도 굳세게 노동현장과 농촌에서 싸우는 그들의 모습이 너무 멋지고 그렇게 살아야 겠다며 불끈 했었다.. 내가 게으르고, 개인주의적이며, 특히 폭력을 싫어한다는 점을 고려하기엔 너무 어렸었다.

그 다음은 작은나사였다. 이것도 많은 분들이 예상하듯이 '뇌봉'이라는 책에 나오는 한구절에서 따왔다. 노래에도 인용된 '삐걱되는 세상 작은나사로 살겠다'는, 자신을 공부시켜주고 사람대접 받게해준 혁명정부를 위해 작은 나사못의 역할이라도 해내고 싶다는 구절이다. 이 책은 위의 붉은 바위와는 비교도 되지 않게 지겨운데, 왜냐면 뇌봉이라는 이인간이 인간이 맞나 싶게 완벽한 혁명인간이기 때문이다. 고아로 자라난(출신 성분조차 완벽!!) 뇌봉은 혁명조국을 위해 사고로 죽은 22살까지 가장 어려운 곳에서 모든 걸 바쳐서 일한다.. 뭐 내가 그러겠다는 결의는 당근 아니었다. 그저 가진 천성이 게으르고 능력이 일천할지라도 아주 작은 것이라도 보템이 되는 일을 성실히 하자는 결심이었다.  

마지막이 휘모리다. 드디어 책에서 빠져나왔다. 우리 90년대 끝학번들은 제대로된 선도 없이 이리저리 휘둘리며, 망가지는 학생운동의 틈바구니 속에서 살아왔다. (내가 입학했을때 과학생회 일꾼 수가 졸업할 때 학교 전체 일꾼 수와 같아졌다) 나는 데모가 신나지 않았다. 뭐 열심히 데모 하지도 않았고, 그래도 세상이 잘못된 거 같기는해서 저기 끝줄에 보이지도 않는 자리에 십년간 서 있었다. 학교 선배들 만나면 제일 많이 듣는 얘기가 '야 금새 그만둘 거 같은데 어째 니가 아직 있냐'는 소리다 --;; 뭐 어쨌거나 지금은 신나게 데모하고 싶다. 내 옆에 한사람 한사람과 눈 맞추고, 하고 싶은게 뭔지 함께 이야기하면서 활동하고 싶다. 성과가 적더라도 놀듯이 재미있게!! 스물의 거창함이 서른에는 가늘고 길게로 바뀌었다 ^^ 

하는 일은 없으면서 아이디 이야기가 너무 길어졌는데, 이러저런 생각이 든 것은 민경우 선배님의 책을 오늘 읽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 글은 386 민족민주진영 활동가들에게 저자가 보내는 편지다. 그 자신도 386 NL활동가이다. 통일신문에 이 책에 난 내용들이 올라왔을 때, 변절이라는 둥 온갖 말을 들은 것으로 안다.  

이제 읽기 시작한터라 내용에 대해서는 뭐라 말할 수 없지만, 자신이 20년간 해온 운동에 대해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용기, 얼마든지 토론할 수 있다며 내미는 손 나는 이런 사람이 좋다. 더구나 저기 멀리 제도권에 들어간 후 지가 버린 조직을 이러쿵 저렇쿵 하는 것이 아니라, 굳건히 버티고 서서 인파이팅을 하고 있다는 것이 너무 좋다. 나는 인파이터들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많은 이들이 분열주의자라고 손가락질 하지만, 그들 대부분은 누구보다 조직을 사랑하기에 악역을 감당하는 것 아니겠는가. 

나에게는 저자와의 아주 작은 에피소드도 있다. 저자가 학생운동에 대한 책을 내었을때 우연한 기회에 술자리에 옆에 앉은 저자에게 강짜를 부린 적이 있다. 96년 연대항쟁에 대한 재평가가 없는 학생운동 역사책이 무슨 의미가 있겠냐고 억지를 부리는 내게, 그건 내 몫이 아니라는 얘기를 하셨다. 그래, 이 책을 보니 그건 우리의 몫이고, 이런 책이 저자의 몫인듯 하다.

동지에게는 봄날처럼 따스하게 대하고 

사업은 여름날처럼 뜨겁게 하고 

개인주의는 추풍낙엽 쓸 듯이 하고 

적들에게는 엄동설한처럼 냉혹해야 한다. 

뇌봉 中


댓글(12) 먼댓글(1)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서평] 진보의 재구성 - 어느 실천가의 반성과 전망
    from 바다가보고싶어 2009-08-03 14:14 
    언제가 영화평론가 정성일이 지금은 고인이 된 ‘정은임의 영화음악’이라는 프로에서 중국의 신예거장 영화감독 “지아장커”를 소개했다. 그는 “지아장커”라는 젊은 중국영화감독이 왜 앞으로 세계적인 거장이 될 수 밖에 없는지를 설명하며 다른 중국의 선배 거장감독들이 “지아장커”에 대해 언급한 말을 인용했다. “오직 그만이..
 
 
푸른바다 2009-07-29 09: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몸은 많이 좋아지셨나요?^^ 대학교 때 '붉은 바위'나 '뇌봉' 같은 책을 탐독하셨다면 운동권의 끝발치에만 계셨던 것 같지는 않은데요^^ 어림잠아 추론해 보건데 저와 휘모리님과는 10년 이상의 나이 차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제가 학생 때도 이런 책은 '골수'들만 읽었었거든요^^ 저는 운동권의 끝발치 중에서도 발톰의 끝 정도에 있었는데, 이런 류의 책들, 예를 들어 '강철은 어떻게 단련되는가' 등의 책들은 제목만 봐도 내용은 이미 알 것같은, 또 정서에 썩 맞지는 않는 책들이었거든요^^

무해한모리군 2009-07-29 09:52   좋아요 0 | URL
읽고자 하지 않아도 읽을 수 밖에 없는 ㅎㅎㅎ
제가 워낙 친절한 성미라 읽어라 하면 온몸으로 저항하지 못하는...

조선인 2009-07-29 09: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경우 선배가 새 책을 냈군요. 보고 싶네요.

무해한모리군 2009-07-29 09:57   좋아요 0 | URL
통일뉴스에 쓰셨던 걸 정리해서 내셨더라구요.

머큐리 2009-07-29 1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았어요...읽을께요...읽으면서 반성도 좀 하고 그러지요...자진납세???

무해한모리군 2009-07-29 10:21   좋아요 0 | URL
전두환 정권에 골깨지게 싸운 분들이신데요.
전 선배들 진짜 존경해요.. 말로 다 할 수 없을 만큼..

카스피 2009-07-29 1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붉은 바위,뇌봉이라 예전에 헌책방 다닐적에 자주 보던 책들이네요.요즘은 헌책방도 불온서적 검사한다고(일년전인가 헌책방에서 이책들을 판매했다고 쥔장이 검찰에 불려갔지요)해서 싸악 사라진것으로 알고 있읍니다.
휘모리님 조심하세요.개인 이메일도 열람하는 세상인데 혹 알라딘도 검사할지 모르니 몸조심 하세요 ㅜ.ㅜ

무해한모리군 2009-07-29 11:11   좋아요 0 | URL
합법 출판물이고, 알라딘에도 있었는데...
저야 무지렁인데요 뭐 ^^

하늘바람 2009-07-29 13: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휘모리님일때부터 알게 된 것같아요.
휘모리님 좋아요

무해한모리군 2009-07-29 14:39   좋아요 0 | URL
한 몇 년 됐습니다 휘모리가 된지..
행복하게 살자고 하는 짓인데 제가 즐거워야 남의 마음도 훔치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

생각하는조댕 2009-08-03 14: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경우형 책에 대한 멋진 리뷰(?)네요...^^

무해한모리군 2009-08-03 18:54   좋아요 0 | URL
많이 달라지셨구나 하는 생각이 들던데요 ^^
정식으로 리뷰 곧 올려야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