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틀 포레스트2 보면서 내내 투덜댔다.
작가의 일기다 일기..
거기다 그림체는 왜 이리 답답한지, 지우개로 좀 지워주고 싶은 느낌이다. 그래도, 먹는 걸 좋아하는 나니까 꾸역꾸역 읽어간다.
작심하고 고향음식이랑 고향에 대해 말하고 싶었나보다..
이권에선 이런 대목이 눈에 들었다. 작품의 매우 끝 부분에 아무말 없이 자식을 두고 간 어머니가 딸이 스무살이 된 어느날 편지를 보낸다.
p147 ~148
무언가 실패를 하고 지금까지 내 자신을 되돌아 볼때마다 난 항상 같은 일로 실패를 하게 되는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어.
열심히 살아온 것 같은데 같은 곳을 뱅글뱅글 원을 그리며 돌아온 듯한 느낌이 들어서 침울해지고..
하지만 난 경험을 많이 해봤으니까 그게 실패건 성공이건 완전히 같은 장소를 헤매는 건 아니겠지. 그래서 "원"이 아니라 "나선"이라고 생각했어
맞은편에서 보면 같은 곳을 뱅글뱅글 도는 것처..럼 보여도 분명히 조금씩은 올라갔던지 내려갔던지 했을 거야.
그럼 조금은 더 낫지 않을까?
근데 그것보다도
인간은 '나선' 그 자체일지도 몰라.
같은 곳에서 뱅글뱅글 돌면서 그래도 뭔가 있을 때마다 위로도 아래로도 자랄 수 있고, 물론 옆으로도..
내가 그리는 원도 차츰 크게 부풀고 그렇게 조금씩 '나선'은 커지겠지.
그렇게 생각하니까 좀 더 힘을 내야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어
매일 술이나 먹고, 책을 읽어도 매일 이해하는 것만 이해하면서 같은 자리를 뱅뱅 돌아도 조금씩 나의 원도 커지고 있는 거겠지?

아침상
오늘도 심심하게 무친 고사리에 오징어 무국으로 하루를 시작했다.
내게도 햇볕이나 비나 바람이나 추위로 부터 날 보호해줄 집이 생길까?
지금은 그냥 방에 있지 집에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