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의 일인자 2 - 1부 마스터스 오브 로마 1
콜린 매컬로 지음, 강선재 외 옮김 / 교유서가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마의 1인자] 2권에서는 1권에 이어지는 누미디아왕 '유그레타'의 전쟁이 막을 내리고, 북쪽의 게르만 민족과의 새로운 전쟁이 시작된다. 이 과정에서 무능한 로마 지위관들로 인하여 마리우스의 명성은 더욱 더 높아지고, 원칙적으로는 한 번 밖에 하지 못하는 집정관의 자리를 계속해서 연임하게 된다. '새다 영웅을 부른다!'는 말처럼 당시 남쪽의 누미디아와 북쪽의 게르만 민족의 침입이라는 위기상황이 이탈리아 촌놈으로 불리는 마리우스를 로마의 영웅으로 만든 것이다.


2권의 시작은 마리우스의 첫 번째 집정관 취임식으로 시작된다. 마리우스는 영원한 라이벌인 메텔루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누미디아 전선에서 로마로 가서 집정관이 당선된다. 그리고 무능한 메텔루스로 인해 교착상태에 빠진 누미디아와의 전쟁을 끝내기 위해 누미디아의 새로운 사령관으로 파견이 된다.


그러나 당시 로마의 군대는 그 군대를 편성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역량이 매우 강했다. 메텔루스는 마리우스를 괴롭히기 위해 자신의 군대를 모두 이끌고 철수한다. 결국 마리우스는 새로운 군대를 편성해야 했지만, 계속되는 전쟁으로 인해 더 이상 군대에 편성될 수 있는 평민은 없는 상태였다. 이 때 마리우스는 획기적인 계획으로 최하층민들에게 로마군대에 편입하게 하고, 그들에게 땅을 주려는 계획을 실행한다. 이것은 로마인의 특권의식에 젖어있던 보수층의 반발을 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리우스는 효과적으로 군대를 편성해서, 누미디아 전쟁에서 승리한다.


이 과정에서 술라가 서서히 두각을 나타낸다. 그는 마리우스의 부장으로서 누미디아 전쟁에 참여했다. 그리고 누미디아의 동맹궁이 마우레티니아 왕국으로 잡입 해 유그레타의 장인이 되는 보쿠스왕을 설득해 유그레타를 생포하게 된다.  






이렇게 누미디아와의 전쟁이 마무리되는 과정에서 북쪽 게르만 민족의 위협이 시작된다. 게르만 민족의 남하하자 위기를 느낀 로마 원로원은 '카시우스'에게 누미디아 전투에 참여했던 메텔루스의 군대를 주어 대비케 한다. 그러나 카시우스는 형편없는 전술로 참패하고 3만 5천명의 병력을 잃는다.


이로 인해 카이피오라고 불리는 권투스 세빌리우스가 8개군단을 이끌고 게르만민족에 대항하기 위해 북쪽으로 올라간다. 이 책에서 카이피오는 최악의 보수적인 군인으로 묘사된다. 그는 로마의 정통귀족인 파트라키 가문의 출신으로서 자신이 로마의 가치를 대변한다고 믿었다. 전투의 초반에는 그는 운이 좋았다. 그가 북쪽으로 갔을 때 게르만족은 이미 떠났고, 연합했던 텍토사게스족만 남아 있었다. 텍토사게스족 성에서 예전에 그들이 그리스를 침공했을 때 가져왔다던 엄청난 황금이 숨어져 있다는 전설이 있었다. 카이피오는 그것을 운좋게 찾아낸다. 그는 전투에는 관심이 없고 오직 보물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다가 게르만민족이 다시 연합해서 남하하고 그 병력이 80만 정도라는 보고가 로마에 도착한다. 로마 원로원은 급히 증원병력을 보내기로 결정하고 '나이우스 말리우스'에게 10개군단을 주어서 카이피와를 돕게 한다. 말리우스가 현 집정관이기에 카이피오는 말리우스의 지휘 아래로 들어가 군대를 합류해야 하지만 카이피오는 말리우스가 형편없는 가문의 출신이라고 무시하고 혼자 독자적으로 싸움을 준비한다. 그 결과 게르만민족에게 카이피오의 8개군단과 말리우스의 10개군단이 차례로 전멸당하는 참패를 당한다. 이 전투를 '아라우시오전투'라고 하고, 이 전투에서 대략 10만명의 로마 군사들이 죽임을 당한다. 결국 이 전투로 인한 로마는 위기감을 느끼고, 모든 전례를 깨고 마리우스를 한 번 더 집정관으로 선출하게 된다.


 

또 2권에서는 카이사르 가문의 둘째 아들인 가이우스 율리우스 2세와 아우엘리아가 결혼 하는 장면이 나온다. 후에 등장하는 '카이사르'의 어머니로도 잘 알려져 있는 아우엘리아는 로마에서 이름난 가문과 부를 가지고 있었고, 뛰어난 미모로 인해 많은 남성들의 청혼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그녀는 가문의 명성밖에 없는 율리우스를 만나고 그와 결혼한다.



2권에서는 당시 로마가 처한 외적 위기상황과 내적 위기 상황을 잘 묘사하고 있다. 카르타고와의 전투 이후 로마 내부의 부패로 인해 로마의 군대는 질적으로 형편없는 상황이었다. 그로 인해 남쪽의 누미디아와 북쪽의 게르만 민족과의 전투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남쪽에서는 수치스러운 항복을 하고, 북쪽에서는 10만명이 전사하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했다. 결국 위기를 느낀 로마인들은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인물인 마리우스를 연속해서 집정관으로 당선시킨다. 이탈리의 변방 출신이 마리우스가 집정관이 된 이유는 카이사르 가문과 혼인을 맺은 이유도 있지만, 당시의 위기 상황 때문이기도 하다. 결국 로마 보수층의 어리석은 고집이 '마리우스'라는 인물을 키운 것이 된다. 그리고 그 '마리우스'와 함께 '술라'라는 인물까지 두각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후에 둘의 대립으로 인해 로마 원로원은 사실상 무력화되게 된다. 역사는 항상 앞을 내다보지 못하고 당장 자기 것만 지키려고 하는 보수층의 선택이 얼마나 어리석은 것인지를 보여 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