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 새 아시아 문학선 22
메도루마 슌 지음, 곽형덕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일본과 관련하여 주의 깊게 본 두 개의 뉴스가 있다. 하나는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의 방일이다. 아베 총리가 관광 가이드라는 비아냥을 받을 정도로 극진하게 트럼프 대통령을 모시는 장면이 뉴스에 나왔다. 또 하나는 야스쿠니 신사에 2만 명 이상 함몰되어 있는 한국인 중 자신의 부모나 형제의 이름을 빼달라는 5년간의 한국인 가족들의 탄원을 일본 재판부가 2초 만에 거절 판결을 내린 것이다. 일본 법원은 5년간 피나게 노력한 사람들에게 아무런 설명 없이 한 주의 문장으로 기각 결정을 내렸다. 왜 이렇게 일본은 미국과 한국에 대해 두 개의 극단적인 태도를 보일까? 태평양 전쟁 패전과 원자폭탄 투하라는 끔찍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일본에게 미국은 보기만 해도 움츠려드는 트라우마가 있는 강대국일 것이다. 반면 한국은 35년 동안 자신들이 철저하게 짓밟았던 경험이 있는 만만한 나라일 것이다. 강자에게는 철저하게 약하고, 약자는 철저히 짓밟는 속성은 다만 일본인 뿐만 아니라, 인간의 폭력성의 근원적 본성일 것이다. 이것이 인간의 폭력성이 인간의 약육강식과 닮은 점이다.

 

오키나와 출신은 작가 메도루마 슌의 [무지개 새]는 바로 이런 인간의 폭력성을 다루고 있다. 오키나와는 원래 독립국가였다가 일본에 의해 점령되었고, 지금은 미군 기지가 있어서 일본에서도 가장 차별을 받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작가의 고향인 오키나와 북부는 오키나와에서도 더욱 차별을 받는 곳이다. 메도루마 슌은 바로 이런 오키나와의 문제점을 소설로 지적하는 작가이다.

 

[무지개 새]는 오키나와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처음에는 미군이나 미군 기지의 문제점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마유라는 어린 여성과 그 어린 여성을 이용해 남성들을 갈취하는 포주 역할의 가쓰야의 이야기를 다룰 뿐이다. 마유가 당하는 성적 학대와 그런 마유를 관리하는 가쓰야의 내면의 갈등이 담담하게 그려질 뿐이다. 초반에는 너무 잔혹한 성적인 표현으로 인해 읽기가 힘들 정도였다. 가쓰야는 마약에 취해 동물처럼 사육당하는 마유에 대해 동정심을 느끼지만, 그 감정에 끌려다닐 수 없다. 왜냐하면 자신 역시 히가라는 남자에게 학대를 당하는 처지이기 때문이다.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가쓰야와 마유가 어렸을 때부터 당했던 폭력과 학대가 드러난다. 가쓰야는 중학교에 올라가자마자 선배들에게 잔혹한 폭력을 당하고 돈을 갈취당한다. 그리고 그 조직 위에 '히가'가 있었다. 히가는 특히 가쓰야에게 집중적으로 잔혹한 폭력을 행하고, 가쓰야는 선생님이나 부모님에게 말도 못 하고 하가의 폭력을 당해야 했다. 결국에는 히가의 심부름꾼이 되어 돈을 갈취해서 상납하는 역할을 했다. 이로 인해 가쓰야는 동급생들에게도 배척을 당하게 된다. 마유가 당하는 폭력은 더 끔찍했다. 같은 여중생들에게 끌려다니며 성적인 학대까지 당하다가 결국 가쓰야에게 끌려와 마약에 중독되어 성적으로 이용당하고 있었다. 가쓰야와 마유에게 히가는 어릴 때 당한 폭력으로 인해 극한 트라우마를 느끼는 존재였다. 그러기에 그가 행하는 잔혹하고 끔찍한 폭력에도 소심한 반항 한 번 해 보지 못하고 벌벌 떨며 순응을 한다.

 

"그 후 3개월 동안 심호흡을 할 때마다 늑골이 아파 운동도 할 수 없었다. 뼈에 금이 간 것 같았지만, 폭력을 당한 사실을 부모님과 선생님에게 꼭꼭 숨기고 병원에도 가지 않았다. 가쓰야는 그때 자신이 피하지 않았아도 히가가 정말로 얼굴에 돌을 떨어드렸을지 생각했다. 히가라면 그러고도 남을 것이다. 이후 그와 계속 만나면서 그렇게 확신했다. 첫 대면에서부터 깊이 각인된 히가에 대한 공포심은 가쓰야의 가슴속에서 영원히 사라지지 않았다." (P 64)

 

소설 중반이 갈수록 가쓰야와 마유가 당하는 폭력과 함께 오키나와가 미군에게 당하는 폭력이 묘사된다. 미군 기지를 통해 생활을 이어가는 오키나와 사람들은 미군에게 순응적이다. 미군이 어린 여자아이들을 강간하고 살해해도 그것에 데모만 할 뿐이지 격렬히 저항하지 못한다. 그리고 그렇게 무기력하게 당하고 있는 오키나와 사람들의 모습에서 마유의 모습이 중첩이 된다.

 

"육교에서 바라보니 적어도 1000명은 넘어 보이는 데모대와 비교해 경찰의 기동대와 제복 경관은 다 해도 100명 정도뿐이다. 그런데도 데모대는 어디까지나 얌전하게 도로 끝을 따라 행진하고 있다. 잘 보니 빠른 걸음으로 육교 아래를 지나가는 데모대 안에는 담소를 나누고 있는 사람도 보였다. 분노를 표출하기는 하지만 결코 넘어서는 안 되는 선이 기지의 철조망처럼 사람들의 마음에 온통 둘러쳐져 있다. 그런 생각이 들었다. 기지를 철거해라, 범인인 미군 병사를 넘기라고 외치는 구호를 듣고 있자니 짜놓은 대본 같아서 참을 수가 없었다. 한여름 해변가에서 강제로 위를 보고 눕혀져 미군 병사 3명에게 팔 다리를 제압당한 소녀의 모습이 눈앞에 떠올랐다. 얼굴 전체를 거의 뒤덮을 정도로 검고 커다란 손으로 입을 틀어 막힌 소녀의 눈이 공원에서 가쓰야를 보고 있던 소학생 시절 누나의 눈으로 바뀌었다. 온몸에 땀이 쏟았다. 부릅뜬 두 눈에서 흘러내리는 눈물이 가쓰야의 가슴을 도려냈다. 응시하는 눈은 어느새 마유의 눈으로 바뀐다. 몸 깊숙한 곳에 비틀어 박힌 돌의 감촉에 가쓰야는 숨을 깊이 내뱉으며 더 이상 생각하지 말자고 자신을 타일렀다." (P 114)

 

소설의 후반으로 갈수록 히가의 폭력은 더 잔혹해지고, 가쓰야와 마유는 더 이상 버틸 수 없는 상황까지 간다. 그럼에도 가쓰야는 반항 한 번 해보지 못하고 하기의 폭력을 그대로 감당한다. 이 정도이면 폭발할 만도 하다고 생각하는 끔찍한 폭력과 학대에도 가쓰야는 빨리 그 폭력이 지나가기 만을 바랄 뿐 사소한 반항 한 번 못해 본다. 폭발한 것은 가쓰야가 아니라 마유이다. 마유의 반항은 뜻밖의 결과를 가져오고 그들은 히가에게서 해방 아닌 해방을 맛본다.

 

이 소설의 제목인 '무지개 새'는 오키나와 전설에서 오키나와 숲속에 살고 있는 새라고 한다. 베트남 전이 한창일 때 미군들이 오키나와 숲속에서 극한 훈련을 하다가 무지개새를 만나면 그는 베트남에서 살아올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런데 자신은 살아나오지만 주변 사람들은 모두 죽는다는 전설이 있다. 가쓰야는 중학교 때 오키나와 숲을 여행하면서 무지개 새를 만나기를 빌었다. 자신이 하기의 폭력에서부터 벗어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그러나 하기의 폭력에서 벗어나면 자신의 가족과 주변 사람들이 또 어떤 피해를 입을지 두려워 그 폭력에 묵묵히 순응해 갔다.

 

폭력이 무서운 것은 육체적 고통이 아니라, 폭력을 당하는 사람의 인격과 내면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특히 어린 시절에 경험한 폭력은 가해자에 대한 공포와 함께 폭력에 대해 무기력하게 순응하게 만든다. 그리고 그것은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와 국가도 마찬가지이다. 이 소설은 가쓰야나 마유가 당한 폭력을 통해 오키나와가 일본과 미국에 당하고 있는 폭력을 묘사한다. 그리고 폭력 앞에 무기력한 가쓰야와 마유의 모습을 통해 오키나와의 모습을 보여준다. 강하기에, 두렵기에 잔혹한 폭력 앞에서도 순응하는 모습을 잔혹하게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소설은 바로 그런 모습을 떨쳐 버리고 일어날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요즘 시끄러운 학교 폭력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학교 폭력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얼마나 한 아이의 인격을 파괴하는 것인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그 폭력에 대해 방관하고 있는 우리 사회와 그 폭력에 대한 처벌에 너무나도 소심한 우리의 모습을 생각해 보았다. 어려서 폭력을 당하는 아이는 그 폭력과 함께 철저하게 인격이 파괴되어 폭력 앞에 길들여지게 된다. 반대로 어려서 폭력을 통해 자신의 지위를 누리게 되는 아이들은 커서도 그 폭력을 이용해 약한 사람들을 괴롭히게 된다. 이것이 폭력 앞에 우리가 단호해져야 할 이유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