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움받을 용기 (반양장) -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들러의 가르침 미움받을 용기 1
기시미 이치로 외 지음, 전경아 옮김, 김정운 감수 / 인플루엔셜(주)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제부터인가 우리 사회에서 프로이트가 전지전능한 인생의 해석자가 되었다. 프로이트는 모든 원인을 과거와 타인에게 돌린다. 내 모습에 절망하는 이들에게 프로이트는 이렇게 위로한다. '네가 이렇게 된 것은 모두 과거의 탓이야!' '네가 비뚤어진 것은 모두 부모의 학대 때문이야!' '네 잘못이 아니니, 너를 학대할 필요 없어!' 인생의 절망에 빠져서 모든 것을 포기하고, 자기를 혐오하는 사람들에게 프로이트는 잠시의 위로를 준다. 그러나 그렇게 프로이트와 친구가 되어 과거에만 얽매여 있다면 우리는 과연 앞으로 나갈 수가 있을까?

프로이트에 익숙한 한 젊은이가 늙은 철학자를 찾아온다. 이 젊은이는 자기혐오와 세상과 타인에 대한 증오로 가득 차 있었다. 그는 세상은 복잡하며, 인생은 불행하다고 생각한다. 반면 늙은 철학자는 세상은 단순하며 오늘이라도 행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젊은이는 철학자에게 따지듯 질문하고, 철학자는 젊은이에게 차근차근 아들러의 심리학을 설명해 준다. 이것이 바로 기시마 이치로의 [미움받을 용기]의 내용이다. 이 책은 아들러의 심리학을 대화 형식은 일반인도 매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야기해 주고 있다.

프로이트에게 친숙한 현대인에게는 아들러의 심리학은 다소 생소하고 충격적이기까지 한다. 먼저 아들러는 프로이트의 트라우마 개념을 완전히 부정한다. 트라우마란 없다는 것이다. 반면 인간은 목적을 가지고 움직인다는 것이다. 자신이 트라우마에 빠져 있다고 생각한다면, 어떠한 목적 때문에 트라우마를 선택했다는 것이다. 과거 아버지의 폭력으로 인해 트라우마에 빠져 사회생활과 대인 관계를 포기한 사람이 있다면, 그는 자신의 울타리 속에 칩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트라우마를 수단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결국 인간은 목적을 가지고 스스로의 감정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분노에 빠져 자신을 통제하지 못하다고 말하는 사람도 사실은 자신의 목적을 위해 분노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아들러는 트라우마 이론을 부정하면서 이렇게 말했네. '어떠한 경험도 그 자체는 성공의 원인도 실패의 원인도 아니다. 우리는 경허을 통해서 받은 충격 - 즉 트라우마 -으로 고통을 받는 것이 아니라, 경험 안에서 목적에 맞는 수단을 찾아낸다. 경험에 의해 결정괴는 것이 아니라, 경험에 부여한 의미에 따라 자신을 결정하는 것이다'라고 (P 36)"

"말 그대로일세, '경험 그 자체'가 아니라 '경험에 부여한 의미'에 따라 자신을 결정한다는 말이지. 가령 엄청난 재해를 당했거나 어린 시절에 학대를 받았다면, 그런 일이 인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전혀 없다고 할 수는 없네. 분명히 영향이 남을 테재.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런 일이 무언가를 결정하지는 안는다는 점이야. 우리는 과거의 경험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가'에 따라 자신의 삶을 결정한다네. 인생이란 누군가가 정해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선택하는 걸세, 어떻게 사는가도 자기 자신이 선택한 것이고, (P 37)"

이렇게 말하면 프로이트의 트라우마라는 개념 속에 숨어있던 사람은 더 이상 숨을 곳이 없다. 과거의 상처 나 타인의 잘못 때문이며 자기 책임을 회피하던 사람은 아들러의 심리학에 벌거벗은 것처럼 자신의 속마음을 그대로 드러나게 된다. 아들러에 의미면 인생은 결국 결국 자신이 선택하는 것이다. 결국 불행한 상태에서 벗어나 행복한 상태가 되는 것 역시 자신의 선택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아들러가 강조하는 것이 바로 '용기'이다. 익숙한 자신의 환경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선택하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조금 불현하고 부자유스럽긴 해도, 지금의 생활에 익숙해져서 이대로 변하지 않고 사는 것이 더 편하니까. - 중략- 비유하자면 오래 탄 차를 운전하는 상태인 거네. 다소 덜거덕거려도 차의 상태를 고려해가며 몰면 되지. 하지만 새로운 생활양식을 선택하면 새로운 자신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고, 눈앞의 일에 어떻게 대처할지도 몰라. 매리를 예측할 수 없어서 불안한 삶을 살게 되지. 더 힘들고, 더 불행한 삶이 기다리고 있을지 몰라. 즉 인간은 이런저런 불만이 있다라도 '이대로의 나'로 사는 편이 편하고, 안심되는 거지. 생활양식을 바꾸려고 할 때, 우리는 큰 '용기'가 있어야 하네. 변함으로써 생기는 '불안'을 선택할 것이냐, 변하지 않아서 따르는 '불만'을 선택할 것이냐 (P 62-3)"

이 용기에는 심지어 타인에게 미움받을 용기까지 필요하다고 말한다. 저자는 진정한 자유란 타인에게 미움을 받는 거라고 말한다. 타인의 시각에서 자유로워져서 스스로 인생의 주체가 되는 것이다. 열등감 역시 타인의 시각에서 남과 타인을 비교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고 말한다.

"단적으로 말해 '자유란 타인에게 미움을 받는 것'일세. 자네가 누군가에게 미움을 받는 것. 그것은 자네가 자유롭게 살고 있다는 증거이자 스스로의 방침에 따라 살고 있다는 증표일세. (P 186)"

"남이 나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리든 마음에 두지 않고, 남이 나를 싫어해도 두려워하지 않고, 인정받지 못한다는 대가를 치르지 않는 한 자신의 뜻대로 살 수 없어. 자유롭게 살 수 없지. (P 187)"

이 책을 읽을 때마다 세상과 타인에 대한 원망의 옷으로 감추고 있던 자신의 모습이 벌거벗은 듯이 드러나는 느낌을 받았다. 책 속의 철학자와 대화하는 젊은이는 매번 소리를 친다. 이런 말도 안 되는 이야기가 어디 있냐고. 그런데 이런 젊은이의 목소리가 읽는 동안 내 안에서 똑같이 울려 나온다. 그러나 젊은이가 점점 아들러의 심리학을 받아들이고 자신에 대한 책임과 타인에 대한 사랑을 인정하듯이, 나 역시 이 책을 읽으면서 점점 아들러의 심리학을 받아들이게 된다. 마치 나를 얽매고 있던 것들이 풀어지는 듯한 느낌이다. 지나치게 세상이나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고, 자기 열등감에서 벗어나지 못하거나, 과거의 상처에 얽매여 있는 사람들에게 꼭 읽도록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